2003.09.09 16:50
우선 저희회사 근무 시간은
평일:주간1조(08:00 ~ 15:00) , 주간2조(15:00 ~ 22:00) , 야간1조(22:00~ 08:00) , 야간2조(22:00 ~ 08:00)
주말 및 공휴일: 주간1,2조(08:00 ~ 17:00  격주) , 야간1,2조(17:00 ~ 08:00)
상기처럼 짜여져 있습니다.
야간은 예로 야간1조가 9월9일 22:00 출근하여 9월10일 08:00 퇴근하구 야간2조가 9월10일에 같은방식으로
근무를 서게 됩니다.
저는 입사이래 야간에서만 쭉 근무를 서왔는데요..상기의 근무 시간을 따져보면 한달에 근무시간이 주간근무자와 차이가 거의 없으며, 공휴일이 있는달은 야간이 주간보다 10시간 가까이 더많은 시간을 근무서고 있습니다.

하기는 처음은 입사당시(2001.11.22) 월급명세서이며
두번째(2003.08.11)는 최근월급명세서입니다.
어딘가가 미심쩍고 부당한거 같아서요...

이런상황에서 야간 근무의 경우 근무외수당및 휴일근무수당 은 어찌 계산되는건지요?

주번째 월급명세서 근무외수당이라는거 받은지 2달되엇습니다.(항의에 항의 끝에)
이번달에는 아예 나오지도 않았네요..--;
과연 이 계산이 맞는건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근거자료있으시면 답변 주실때 더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주,야간 근무자 둘다 월차 없습니다.

게다가 기타수당(입사당시 옷이라도 깔금히 입으라며 옷값으로주었던) 이 어느샌가 휴일수당으로 자리잡고 있네요..


입사당시 월급명세서
급여코드: 034-0071 
근무시작일:00  근무종료일: 00  근무일수:31 

기본급: 625,000  직책수당: 0  직무수당: 96,980  시간외수당: 0 
등급수당: 0  식대수당: 100,000  교통비: 0  월차수당: 0 
연차수당: 0  연장수당: 0  특근수당: 0  휴일수당: 0 
심야수당: 0  어학수당: 0  근속수당: 0  차량유지비: 0 
퇴직금: 0  인센티브: 0  상여금: 233,020  기타수당: 50,000 
지급총액: 1,105,000 

소득세: 7,390  주민세: 730  의료보험료: 18,700  국민연금: 41,400 
고용보험료: 5,520  보증보험료: 0  전월미공제: 0  기타공제: 0 
공제총액: 73,740 
실수령액:1,031,260 

최근 월급명세서
급여코드: 034-0071   
근무시작일:00  근무종료일: 00  근무일수:31 

기본급: 687,000  직책수당: 0  직무수당: 105,000  시간외수당: 85,760 
등급수당: 0  식대수당: 100,000  교통비: 0  월차수당: 0 
연차수당: 0  연장수당: 0  특근수당: 0  휴일수당: 50,000 
심야수당: 0  어학수당: 0  근속수당: 0  차량유지비: 0 
퇴직금: 0  인센티브: 0  상여금: 257,000  기타수당: 0 
지급총액: 1,284,760 

소득세: 6,650  주민세: 660  의료보험료: 23,640  국민연금: 47,700 
고용보험료: 5,780  보증보험료: 0  전월미공제: 0  기타공제: 0 
공제총액: 84,430 
실수령액:1,200,330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관례`의 기준은? 2003.09.17 411
【답변】 `관례`의 기준은? 2003.09.18 431
출산휴가 사용 후 퇴직이 가능한가요 2003.09.17 389
【답변】 출산휴가 사용 후 퇴직이 가능한가요 2003.09.17 453
출퇴근조건이 달라졌을경우 2003.09.17 384
【답변】 출퇴근조건이 달라졌을경우 2003.09.17 361
부당해고 후 구제신청의 기회를 놓쳤습니다. 2003.09.17 357
【답변】 부당해고 후 구제신청의 기회를 놓쳤습니다. 2003.09.17 455
담당 노무사에게 말을 해도 되나요?? 2003.09.17 339
【답변】 담당 노무사에게 말을 해도 되나요?? 2003.09.17 349
그만두면서받을 급여를 가지가지이유로 안줄려합니다 2003.09.17 648
【답변】 그만두면서받을 급여를 가지가지이유로 안줄려합니다 2003.09.17 525
임금체불관련 2003.09.17 343
【답변】 임금체불관련 2003.09.17 420
임금체불관련 2003.09.17 341
【답변】 임금체불관련 2003.09.17 323
개인적인사정으로퇴직하는경우중에서 부모의 사망이란? 2003.09.17 714
【답변】 개인적인사정으로퇴직하는경우중에서 부모의 사망이란? 2003.09.17 973
체불임금(퇴직금산정시 연,월차관계), 사업주의 횡포 질의 2003.09.17 473
【답변】 체불임금(퇴직금산정시 연,월차관계), 사업주의 횡포 질의 2003.09.17 557
Board Pagination Prev 1 ... 4253 4254 4255 4256 4257 4258 4259 4260 4261 4262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