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소 2004.02.03 01:35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유명한(?) 인사이트코리아 관련 사례를 소개하셨는데.....인사이트코리아 관련사례는 "불법파견에 대해서는 근로자파견법에서 정한 고용의제가 적용되는가"에 대한 법원의 최종적인 해답을 제시한 것입니다. 결론은 당해 파견근로가 불법이건 합법이건 관계없이 파견근로자를 2년이상 사용하는 경우, 사용회사는 근로자파견법 제6조 3항에서 정한 '고용의제'를 적용받는다는 것입니다. 기존까지는 합법파견근로에 대해서는 고용의제를 적용하고 불법파견근로에 대해서는 고용의제를 적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귀하가 문의하신 내용은 그러한 불법파견,합법파견근로에 따른 고용의제 적용여부라기 보다는 고용의제 적용시 반드시 정규직근로자로 고용하여야 하는 것인지 또는 임시직근로자,계약직근로자로의 고용은 안되는 것인지에 대한 것으로 보이는데.....

근로자파견법 제6조3항에서의 '고용의제'란, 근로기준법상의 파견근로자를 파견사업주가 아닌 사용사업주가 직접고용한 것으로 본다는 것입니다. 즉, 파견사업주에 의한 간접고용은 인정되지 않고 사용사업주에 의한 직접고용을 의무화 한것입니다. 다만 '직접고용'의 방법에 있어서 정규직근로자로의 고용, 임시직근로자로의 고용, 계약직근로자로의 고용 등 고용계약의 형태는 불문합니다. 어떠한 고용계약의 형태이건 사용사업주가 고용만 한다면 위 고용의제를 이행한 것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즉, 고용의제의 의무가 있는 사용사업주가 업무상 필요 등에 따라 당해 파견근로자에 대해 정규직근로계약을 맺지 못하고 임시직, 계약직근로계약를 맺는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고용의제를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지는 않습니다. 이는 또다른 비정규직근로계약을 양산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법개정의 필요성이 있는 부분이라 사료됩니다..

관련 법률조항에 대해서는 홈 --> 노동법령 코너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근로자의 권익보호를 위해 노력하는 저희 한국노총에 관심과 성원을 당부드리며,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2년 파견 후 사용사업체의 거취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
>2003년 09월 23일 대법원 판례를 보면...
>
>2년 파견 후 자체계약직으로의 전환 과정 중 근로자가 소송을 걸어 대법원이 판결하기를 2년 파견 후 이 근로자를
>
>정규직 직접고용하라고 판결이 나왔습니다.
>
>========================================================================================================
>
>"불법파견에 대한 정규직 직접고용" 법 개선돼야
>
>
>1. 대법원은 지난 9월 23일 (주)SK에 의한 (주)인사이트코리아 부당해고 관련 판결에서 피
>   고의 상고를 기각함으로써 부당해고를 인정한 원심을 확정했다.
>   이 같은 대법원의 최종 판결은 사업주에 의해 "위장도급계약" 형태로 만연해 있는 탈법
>   행위에 대하여 경종을 울린 것으로 민주노총은 이를 환영한다.
>
>
>2. 판결문에 따르면 재판부는 (주)인사이트코리아가 (주)SK와 경영의 독립성이 없는 사실상
>   의 자회사인 점, (주)SK가 (주)인사이트코리아 직원에 대한 인사관리를 직접 수행한 점
>   등에 근거하여 (주)SK가 '위장도급' 형식으로 노동자를 사용하기 위하여 인사이트코리아
>   라는 회사를 이용한 것에 불과하고 실제로는 (주)인사이트코리아 소속 노동자를 직접 고
>   용한 것으로 봐야한다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
>
>3. 이번 판결은 사업주에 의해 위 사례와 유사한 '위장도급'이 횡행하고 있는 현실에서 이에
>   경종을 울렸을 뿐만 아니라, 사업에 필요한 노동자를 정규직으로 직접 고용해야 한다는
>   사실을 반증하고 있다. 사실 사업주들은 정규직으로 고용할 수 있고, 고용해야 됨에도
>   불구하고 해고제한 등 현행 노동법상의 사용자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유력한 수단으로
>   광범위하게 '위장도급'과 '불법파견'을 활용해왔다.
>   이에 따라 이들은 계약해지라는 이름으로 늘 고용불안에 시달려왔고 각종 차별과 노동법
>   상 무권리를 그대로 감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
>
>4. 그러나 이번 판결은 이 사례를 '불법파견'이라고 규정하는 것에는 불명확한 입장을 가짐
>   으로써 한계를 같이 내포하고 있다. 이 판결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이 사업의 독립성과
>   인사노무관리의 독립성을 형식적으로는 강화하면서 역시 도급형태의 불법파견사업을 수
>   행한다고 했을 때, 해당 업체에 고용된 노동자를 직접고용된 노동자로 볼 것이냐는 점은
>   여전히 불확실하다.
>
>
>5. 따라서 실질적인 고용관계를 중심으로 파견과 도급을 구분하는 기준을 구체화하고 이것
>   을 근거로 도급을 위장한 불법파견에 대해서는 바로 해당 노동자를 정규직으로 직접 고
>   용하도록 간주하는 '고용의제'조항을 꼭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제도개선은 정부가 마련
>   하고 있는 비정규보호 입법과정에서 반드시 포함해야 할 것이다.
>
>
>
>* 참조 - 연합뉴스 관련기사
>
>"파견근로자, "실질고용"땐 정식직원"[대법]
>
>(서울=연합뉴스) 고웅석 기자 = 파견근로자라도 고용사업주와 실질적인 근로계약관계에 있었다면 사업주가 직접 고용한 근로자로 봐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내려졌다.
>
>대법원 1부(주심 이용우 대법관)는 "SK㈜에 실질적으로 2년 넘게 고용됐는데도 SK가 정식 근로자로 고용승계하지 않은 것은 부당하다"며 지모씨 등 3명이 중앙노동위원회를 상대로 낸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청구소송 상고심에서 원고승소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24일 밝혔다.
>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원고들이 소속된 인력파견업체는 형식상 독립된 법인이나 실질적으로는 SK의 자회사이고, SK는 정식 직원과 원고들을 구별하지 않고 업무지시, 직무교육실시, 휴가사용승인 등 제반 인사관리를 직접 시행했으며, 임금인상도 정식직원들과 연동해 결정한 사실이 인정된다"고 밝혔다.
>
>재판부는 "따라서 원고들과 SK 사이에는 고용관계가 성립됐다고 보고 SK가 원고들의 근로제공 수령을 거부한 것은 부당해고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원심의 결론은 정당하다"고 덧붙였다.
>
>지씨 등은 인력파견업체인 인사이트코리아에 소속돼 형식적 업무도급계약이 체결된 SK에 파견돼 2년여간 근무해오다 2000년 11월 `계약직 근로자로 신규채용하겠다'는 SK측 제의를 받아들이지 않아 해고되자 소송을 냈다.
>
>
>===========================================================================================================
>
>제가 궁금한 것은 2년 파견 후 그 근로자를 회사 자체 계약직으로(6개월, 1년) 전환이 가능한지 알고싶습니다.
>
>만약에, 자체계약직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면 위의 대법원 판례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도 알고싶습니다.
>
>그럼... 수고하십시요.
>
>
>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실업급여와 급여체불 문제.. 2004.02.04 674
계약직의 임금에대해 2004.02.03 370
☞계약직의 임금에대해 2004.02.04 523
근무개월수가 10개월정도인데 실업급여 탈수 있나요? 2004.02.03 2295
☞근무개월수가 10개월정도인데 실업급여 탈수 있나요? 2004.02.04 4112
부당해고를 당했는데 당장 어떡해야죠? 2004.02.03 374
☞부당해고를 당했는데 당장 어떡해야죠? 2004.02.04 436
남의 사업자를 빌려 사업을 하였으며, 현재는 사망한 상태로 체불... 2004.02.03 636
☞남의 사업자를 빌려 사업을 하였으며, 지금 현재는 사망한 상태로.. 2004.02.04 535
임금체불과 그외 사항 문의입니다. 2004.02.03 404
☞임금체불과 그외 사항 문의입니다. 2004.02.04 394
최저임금 적용 ? 2004.02.03 349
☞최저임금 적용 ? 2004.02.04 374
실업금여에 대해서요... 2004.02.03 484
☞실업금여에 대해서요... (실업급여수급기간은 퇴직일로부터 12개... 2004.02.03 736
위로금 지급방법에 대하여... 2004.02.03 472
☞위로금 지급방법에 대하여... (퇴직금과 별도의 위로금의 처리) 2004.02.03 854
☞☞위로금 지급방법에 대하여... (퇴직금과 별도의 위로금의 처리) 2004.02.04 463
상용직에서 퇴사후 정규직으로 신규채용되었을때 년차계산은? 2004.02.03 837
☞상용직에서 퇴사후 정규직으로 신규채용되었을때 년차계산은? 2004.02.03 728
Board Pagination Prev 1 ... 4030 4031 4032 4033 4034 4035 4036 4037 4038 4039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