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s7407 2004.04.05 19:14
전 정신병동근무하는 보호사인데 딴 직원들 다나오는 야간 수당을 보호사들만 못받구 있습니다
직책은 간호조무사이며 한달근무표는 한달에 8일을 쉬고  나이트 (밤8시부터~아침8시)10개 데이근무가(아침8~저녁8시)12개 정도로 일요일 평일 구분없이 근무표가 짜여진대로 일을  하고있습니다. 급여는 기본급이 522800.연장수당이223700.직무수당이50000.자격수당이40000월차수당이21690.관리수당40000으러 지급 받고있으면
병원측에 이러한 상황을 애기 해보았지만 답변이 명분치 못하여 제가 나름대로 정리 하여 병원측에다
질의 하고자 합니다 ,밑에 질의 내용에 틀린점이 없나 빠진것이 없나 등등 많은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

질          의          서


업무에 수고가 많으십니다.

금번 보호사 임금 계산지침에 대한 보호사 전체 의견을 물어 문의사항을 질의합니다.

Ⅰ. 지침
1. 일급 = 월차가 하루 일급이다
2. 시급 = 월차 / 8시간
3. 연장수당 = 시급 X 연장시간 X 1.5 (월 55시간 인정)
4. 기본급 = 병원 내규
5. 휴일할증 임금수당 = off(휴일) 4개이므로 없음
6. 연차수당 = 年11개 퇴직시 지급
7. 야간수당 = 기본 8개로하고 9개부터 측정

Ⅱ. 질의

1. 교대 근무시 연장시간 및 수당적용 여부

1) 근로기준법(이하 근기법이라 한다) 제49조 의거 연장시간
1일 8시간, 1주 44시간, 연장(초과)은 1주 56시간 초과 할 수 없다. 즉 말해서 하루 연장포함해서 10시간 이상 근로할 수 없음을 근기법에서 규정하고 있는바. 현행 허병원에서의 보호사 근로시간은 하루 12시간, 연장시간 1주 평균 104시간 (근무표 참조)근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2) 그렇다면 특례연장근로 시간에 대한 적용여부는 다음과 같다.
(근기법 제49조), (대법원 판례 91다 14406)의하면 실제 근로시간은 사용자의 지휘명령하에 있는 시간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근로자가 그의 노동력을 사용자의 처분가능한 상태에 둔 시간이면 근로시간이 되며, 실제로 사용자가 그 시간에 노동자의 노동력을 경제적 목적을 위하여 사용했느냐의 여부는 문제되지 않는다.
(직종별 사례업종 : 식당종업원, 병원근로자, 버스기사 등.....) 위 사항을 볼때 보호사 근무형태는 정신과의 특성상 업무의 중단없이 연속적임은 본 병동 책임간호사 뿐아니라 정신과 관련 치료진은 다 인정하는 부분이다.
3) 따라서 실 근로시간 하루 12시간(8시간 + 연장 4시간)이다. 다시 연장수당
공식에서 인정시간 55시간이 아니라 104시간이다(근무표 참조).
공식예 : 연장수당 = 시급 X 104시간 X 1.5
위 공식대로 하는 것이 이유 없다 하겠다.

2. 야간수당 (근기법 제 55조)
근기법에 의하면 (시간 X 50/100) X 시급  으로 지급하라. 고 규정하고 있다.
당 병원에서의 지침은 기본 “N근무”(야간근무) 8개 기본으로 하고 8개이상 9개부터 수당인정은 사용자의 관련근거를 무시하고 인건비를 줄이려는 업무형태라 할 수 있다.  타 부서와 비교하면 야간근무 1개를 해도 수당 인정되며, 심지어 같은 병동 간호사도 마찬가지로 1개를 근무해도 그대로 수당 인정 되는데, 왜 보호사라는 직책이라고 해서 수당이 무시되는가? 아니면 보호사는 돈 안주고 일 시켜도 된다는 관념에서 지침을 정했는지 그에 대한 책임 있는 답변 바랍니다.

3. 휴일할증 임금수당 (근기법 제54조) (대법 90다 14089, 91, 5, 14)
당 병원에서의 지침은 “off근무 (휴무)”4개 주어지므로 수당은 없다.
근기법과 대법원판례에 의하면 주휴일 근로는 물론 단체 협약이나 취업 규칙에 의하여 휴일로 정해진 날의 근로의 경우도 지급되어야 한다.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보호사 이기 때문에 지급 안하는 것인지 책임 있는 답변 바랍니다.


4. 월 급여 계산공식
근기법 근거
           ( 44시간 + 8시간) X (365 / 7)/12=226시간
                              




보호사 적용
            (104시간 + 12시간) X (365 / 7)/12=504 시간
                                                          


위에서 보았듯이 현 보호사  특례 연장근로 시간으로 계산하면 월504시간 근무 인정된다. 그렇다면 근기법 시간과 비교하면 278시간(504 - 226 = 278)이나 초과 근무한다. 이 또한 근기법에 위법한 적용 방식이 아닐 수 없다.
병원에서 인정하는 시간(지침2,3참조)과는 다소 차이가 나며, 이러한 이유를 명백히 밝혀 주시길 바랍니다.

5. 보호사중 연봉 계약자에 있어서 위와 같은 조건들이 적용되어 재 게약이 맞다고 함이 이유 없다. 하겠습니다.
추후 질의사항은 많으나 병원 내 여러 정황으로 보아 우리의 처지를 충분히 이해하고 자기 맡은 직분에 대해서 열심히 일할 수 있도록 가장 기본적이고 근로자의 기본권 마저 무시당하는 일이 없도록 현명한 판단 있어시길 바랍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저도 고용보험 수급자에 해당하는지... 2004.04.07 698
☞저도 고용보험 수급자에 해당하는지... 2004.04.07 420
배째라고 나오네요 ㅠ_ㅠ 2004.04.07 398
☞배째라고 나오네요 ㅠ_ㅠ 2004.04.07 440
부당전직등... 2004.04.07 443
☞부당전직등... 2004.04.07 589
학원강사로 부당해고 당함(3개월간 일하였음) 2004.04.07 609
☞학원강사로 부당해고 당함(3개월간 일하였음) 2004.04.07 1794
문의드립니다 2004.04.07 519
☞문의드립니다 2004.04.07 539
고소 고발에 대한 문의입니다. 2004.04.07 633
☞고소 고발에 대한 문의입니다. 1 2004.04.07 719
퇴직금 2004.04.07 374
☞퇴직금 2004.04.07 400
확실하게 받을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2004.04.07 436
☞확실하게 받을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2004.04.07 786
좀 애매한 것 같아서 질문합니다... 2004.04.07 805
☞좀 애매한 것 같아서 질문합니다... 2004.04.07 626
해고 및 퇴직금에 관한 질문입니다. 2004.04.07 709
☞해고 및 퇴직금에 관한 질문입니다. 2004.04.07 599
Board Pagination Prev 1 ... 3906 3907 3908 3909 3910 3911 3912 3913 3914 3915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