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소2 2004.06.07 19:01
안녕하세요 노동OK.입니다.

연봉제에 월할퇴직금이 있었다고 한다면 1년을 근로하지 않았다면 부당이득으로 반환해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좀 억울하시다면 이하 내용을 참고로 실마리를 풀어가시기 바랍니다.

5인이상 사용한 사업장이라면 연차, 월차수당, 시간외근로수단이 지급되어야 합니다. 연월차휴가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라면 연월차휴가에 대한 수당이 임금액에 세부항목으로 되어있는지 확인하시고, 근로시간을 8시간 이상으로 한 경우 그 시간에 대해 급여를 지급했는지 또한 가산임금을 적용했는지를 살펴보세요.

결혼퇴직제를 여성에게만 유독 적용한다면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이라 할 것이니, 이 부분도  위의 사항들과 함께
노동관서에 진정 또는 고소하세요.

좋은 일 있으시길 바랍니다.





>무단퇴사로 법적재제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질문한 사람입니다.
>부장님과 상담결과 부장님께서 니는 니갈길가라 우리는 죽이되든 밥이되든 알아서 할꺼다
>라고 하셔서 일단 무단퇴사는 아닌거 같은데 맞죠?
>사장님도 저 월욜부터 당장 안나오는거 아시냐고 여쭤보니
>부장님이 알아서 하신다고 그러셨거든요.
>자기가 사람 늦게 뽑고한 개인 과실도 있으니 그부분은 자기가 알아서 할 문제다 라고 하셨거든요.
>그럼 전 무단퇴사는 아닌거 같은데...
>사장님이 퇴직금 주고 나가라고 하셨답니다.
>저는 2003년9월에 입사하여 월급으로 받다가 2004년 4월 연봉계약과 함께 사장님께서
>퇴직금을 주셔서 같이 받았습니다.
>저희 회사는 퇴사시에 퇴직금을 주는게 아니라 1년에 한번씩 연봉계약할때 줍니다.
>사장님이 근로노동법에 1년미만 근로자는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고 되어있고
>연봉계약서에도 그렇게 되어있다고 하셨다고 퇴직금 줬던걸 다시 달라십니다.
>퇴사일은 6월 4일입니다.
>줘야하는건 맞는거 같은데 안줘도 되는걸 줘놓고 다시 달라고 그러시니 넘 치사해서
>혹시나 하는 맘에서 여쭤봅니다.
>그래도 전 사장님을 비롯해서 다 절 왕따시키고 온갖 눈치를 다 받아도 하루라도 인수인계해주고
>나가야 한다는 생각에 내일이면 후임자가 오겠지라는 생각으로 4일까지 근무했습니다.
>아직 사람도 안뽑았습니다. 전 부장님과 상담할때 주말마다 와서 인수인계하겠다고 했으나
>부장님은 업무는 자기가 가르치면 된다고 올 필요도 없고 오지마라고 하십니다.
>전 제가 할수 있는데 까지 회사입장을 고려해서 근무했는데 빨리 퇴사하는게 미워서
>퇴직금 주고 나가라는게 넘 맘이 찹찹합니다.
>전에 답변 받았을때 업무상의 차질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고 하셔서 인수인계할 것을 다 세밀하게
>정리해서 부장님께 넘겨 드렸습니다. 업무상의 차질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되어집니다.
>정말 퇴직금을 돌려 드리고 나오는게 맞을까요?
>그리고 전 5월 25일에 퇴사 의사를 밝히고 6월 4일자로 퇴사했습니다.
>급여일은 25일입니다. 5월 25일 급여를 받고 그 뒤로 근무를 한 10일간(26일~4일)의 급여부분도
>받을수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그 부분을 정산시 세금공제후 실 수령액에서 근무기간을 정산하는지
>아니면 세금공제 전 연봉분할 월급여액에서 근무기간을 정산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저희 회사는 여성차별이 좀 심합니다.
>저 전에 근무했던 언니는 결혼 하면 나가야한다는 걸 듣고 몰래 결혼하고
>임신해서 퇴사했습니다.
>그래서 저도 인수인계받는 중에 임신이 아니라 결혼하면 퇴사해야한다는 소릴 들었고
>결혼은 늦게 할 생각이라 계속 일에 임했습니다.
>그리고 저희는 여자가 저뿐이라 생휴,월차,뭐 그러거 없습니다.
>근무하면서 생리통으로 조퇴한 적은 세번있고 두번은 한시간 일찍 조퇴했고 한번은 오전근무만했습니다.
>나머지는 정산해서 받아본적 없습니다.
>회사에 결근은 토요일에 아버지 사고로 병원에 가느라 하루 했습니다.
>그때도 전화로 통보드렸고 사장님도 인정해 주셨습니다.
>9월 15일 입사하여 6월 4일자로 퇴사면 생휴,월차 뭐 그런거 청구하면 정산해서 받을수 있을까요?
>자꾸 질문 드려 죄송합니다...제가 이런일이 첨이라 넘 무섭기도하고 어이없기도 하고...
>갑자기 퇴직금을 돌려드려야하니 그만한 금액 마련하기도 어렵고 해서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휴일·휴가 주말알바 주휴일 1 2018.11.14 617
휴일·휴가 회사 제도와 근로기준법 연차발생기준 상이할 시 문제의 소지 질의! 1 2018.10.08 617
근로시간 내용들이 이곳저곳 카테고리에 많이들어가는데.. 분노로 쓴 글을 ... 1 2018.07.02 617
고용보험 4대보험가입 불이행 2018.06.20 617
임금·퇴직금 임금체불 진정 후 손해배상 가능여부 1 2017.12.13 617
임금·퇴직금 퇴직시 인수인계기간동안 근무일에서 제외되었어요 1 2016.08.05 617
임금·퇴직금 근로기준법위반 1 2016.02.21 617
임금·퇴직금 통상임금 및 연차수당 문의 1 2014.11.04 617
해고·징계 부당해고.... 2 2014.09.03 617
근로시간 아래 681번 질의에 보충 질의 1 2013.07.02 617
Re: 국민연금관련건 2000.03.31 617
국민연금관련건 2000.03.31 617
노동부를 다녀와서-5인이하 사업장 2000.06.20 617
Re: 퇴직금산정시 근로자수 산정기준 2000.07.29 617
Re: 퇴직금이 아직 지급되지 않고 있습니다. 2000.10.26 617
Re: 1년 이상된 아르바이트도 퇴직금을... 2000.11.13 617
상장되지 않은 주식보유에 관한 질문 2001.01.17 617
Re: 강제퇴직 관련(파견근로자의 해고) 2001.02.02 617
정말 고맙씁니다... 2001.03.13 617
급여에 퇴직금을 포함해도 되는지... 2001.05.08 617
Board Pagination Prev 1 ... 3343 3344 3345 3346 3347 3348 3349 3350 3351 3352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