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분명히 짚고 넘어가셔야 합니다. 회사측이 은근슬쩍 법망을 빠져나가기 위해 근로자의 임금 구성항목과 액수 등을 조정한 것으로 보이는데 임금은 근로자가 일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이자 근로조건이므로 회사측이 일방적으로 변경시킬 수 없으며 변경한다하더라도 그 효력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대로 지켜보며 시간을 끌게 되면 회사측이 "근로자들도 묵시적으로 동의한 것 아니냐?"고 나올 수도 있으므로 명시적으로 새로운 임금명세서에 대한 이의제기를 하셔야 합니다.

2. 다만, 재직한 근로자의 입장에서 회사측을 상대로 개인 대 개인의 형식으로 항의하는 것은 큰 부담이므로, 이 명세서를 두고 동료근로자들과 상의하여 "건의서"를 보내십시오. 건의서의 요지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회사를 위해 성실히 근로해온 근로자들입니다. 그런데 갑작스럽게 임금명세서의 항목들이 변경되어 의하함을 금치 못하겠습니다. 본인들은 임금명세서의 변경된 항목이나 액수에 대해 동의한 바가 없으므로 이 점 양지하여 원상복귀시켜주시기 바랍니다."는 정도가 되겠습니다. 건의서에는 동료근로자들이 모두 연대서명하여(어느 한명이 총대를 매게 하는 일은 없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회사측에 제출하시고 1부 보관해두세요. 이러한 건의서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하더라도 차후 법적인 다툼이 있을 때 근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번거롭더라도 꼭 하십시오.

3. 회사측이 근로자의 근로조건을 좌지우지하는 것을 막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노동조합을 조직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입니다. 노동조합은 개별근로자의 약정을 보완하여 근로자들이 단체로 뭉쳐 회사측에 교섭하는 법적으로 보호된 단체로서 사장이 근로조건을 자신의 손아귀에서 주무르는 현상을 막을 수 있는 수단입니다. 갑작스럽게 노조를 설립하는 것이 부담된다면 "2"처럼 동료근로자들과 함께 이 사건을 풀어나가는 노력을 전개해보시고, 동료들 서로간의 믿음을 단단히 확인하신 후 노조설립으로 이어지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노조설립에 관한 보다 자세한 해설은 노조설립 해결방법 코너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직장인들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저번에 답변글 고맙습니다.
>제가 알아본결과 저희회사는 단속적.감시적 근무에대해 인가 받은 적은 없다는 답변이 왔습니다.
>그리고 5월에 퇴사한 직원이 연.월차에 대해 진정서를 제출한결과 그 퇴직한 직원에게 연.월차를 지급하라는 노동부의 지시가 떨어진 이후에 급여명세서가 이번달부터 바뀌어져 나왔는데 너무 의아스럽더군요..
>한번 비교해 주시고 이것이 근무시간과 맞게 제대로 된건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
>2004년 6월 급여명세서입니다.
>=================================================================================================
>                 지  급  내  역                                 /*/                     공  제  내  역
>=================================================================================================
>  본   봉   /  연장근로수당 / 야간수당 /휴일수당  /*/  소 득 세/               /   주 민 세    / 의 료 보 험
>-----------------------------------------------------------------------------------------------
>1,070,000 /                     /              /             /*/              /                 /                 / 25,260     
>----------------------------------------------------------------------------------------------
>년차 수당 /    월 차 수 당 / 생리수당 /물가수당 /*/  국민연금 /  재형저축  /   고용보험  / 국민저축      
>-------------------------------------------------------------------------------------------              /                    /              /             /*/   54,450   /                /    5,260      /     
>-------------------------------------------------------------------------------------------
>직책 수당 /   위 험 수 당  / 면허수당 /작업수당 /*/가지급금  / 장려기급    /  식 대       /     
>-------------------------------------------------------------------------------------------
>              /  100,000        /              /             /*/  11,000   /                  /                /
>---------------------------------------------------------------------------------------------
>   상여금  /                    /              / 지급총액 /*/             /                 /                /   공제계
>-------------------------------------------------------------------------------------------
>              /                   /               /1,170,000 /*/             /                 /                /   95,970
>==============================================================================================
>
>퇴직한 근로자에게 연월차수당을 지급한이후에 바뀐
>2004년 7월 급여명세서입니다.
>=================================================================================================
>                 지  급  내  역                                 /*/                     공  제  내  역
>=================================================================================================
>  본   봉   /  연장근로수당 / 야간수당 /휴일수당  /*/  소 득 세/               /   주 민 세    / 의 료 보 험
>-----------------------------------------------------------------------------------------------
>  800,000 /                     /   123,894/             /*/              /                 /                 / 25,260     
>----------------------------------------------------------------------------------------------
>년차 수당 /    월 차 수 당 / 생리수당 /물가수당 /*/  국민연금 /  재형저축  /   고용보험  / 
>-------------------------------------------------------------------------------------------              /    28,319       /              /             /*/   54,450   /                /    5,260      /     
>-------------------------------------------------------------------------------------------
>직책 수당 /   위 험 수 당  / 면허수당 /작업수당 /*/가지급금  / 장려기급    /  식 대       /     
>-------------------------------------------------------------------------------------------
>              /  100,000        /   100,000 /  17,787  /*/              /                  /                /
>---------------------------------------------------------------------------------------------
>   상여금  /                    /              / 지급총액 /*/             /                 /                /   공제계
>-------------------------------------------------------------------------------------------
>              /                   /               /1,170,000 /*/             /                 /                /   84,970
>==============================================================================================
>저같은 경우에는 연장 근로수당이라든지 휴일수당이 포함되어있지 않을뿐더러 근무시간에 비해 수당이 너무 적게 책정된것 같다는 겁니다.저같은 경우에는 일요일이나 국경일에 일한 날도 많습니다.
>야간근무시간도 많았구여..그것은 증빙할 자료가 있습니다.
>이건 일년내내 획일적으로 근무시간에 관계없이 똑같이 나온다는 것도 참고해 주셨음 하는 바람입니다.
>분명 급여를 계산함에 있어 뭔가 잘못된 책정이라는 것밖에는 생각이 안듭니다,.공휴일에 일하는 날도 많은데 왜 휴일수당은 없으며 야간에 근무한날도 많은데 수당이 잘못된것같고 저보다 더 일찍 퇴근하는 기사들에게는 연장근로 수당이 있는데 이를 어떻게 봐야하나요?
>한번 비교해 주시고 답변 바랍니다.
>참고로 주 56시간 이상 근무한 날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이를 증명할 자료들고 있습니다.
>저의 입사 일자는 2002년 11월입니다.
>
>참고 위에 계속 표가 깨져서 나오는데 28,319원은 월차수당입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감시, 단속적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근로시간과 휴게시간 및 ... 2004.08.04 11037
☞감시, 단속적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근로시간과 휴게시간 및... 2004.08.04 5865
체불임금에의한 사직과 임금을 받기 위한 방법은 어떻게 하는 것... 2004.08.04 559
☞체불임금에의한 사직과 임금을 받기 위한 방법은 어떻게 하는 것... 2004.08.04 704
공문서 위조신고하자 보복한 행위 2004.08.04 1696
☞공문서 위조신고하자 보복한 행위 2004.08.04 2329
☞☞공문서 위조신고하자 보복한 행위 2004.08.04 838
업무상 장애와 공상의 차이점에 대해서 답변 부탁드립니다. 2004.08.04 603
☞업무상 장애와 공상의 차이점에 대해서 답변 부탁드립니다. 2004.08.04 2168
파견직 근로자의 부당해고 2004.08.03 1056
☞파견직 근로자의 부당해고(흡연을 이유로 해고를 당했는데..) 2004.08.04 2713
학원에 근무하는데, 시간외근무에 관한 문의 2004.08.03 804
☞학원에 근무하는데, 시간외근무에 관한 문의 2004.08.04 766
제 월급에서 어머니 가게의 월세,관리비를 뺀다고 합니다. 2004.08.03 1010
☞제 월급에서 어머니 가게의(일한 부분의 임금은 전액 지불받을 ... 2004.08.04 529
퇴직금이 제가 계산한것과는 차이가 많이 나는데요~~!! 2004.08.03 622
☞퇴직금이 제가 계산한것과는 차이가 많이 나는데요~~!! 2004.08.04 616
체불임금과 압류 관련 추가 질문 드립니다. 2004.08.03 646
☞체불임금과 압류 관련 추가 질문 드립니다. 2004.08.04 1437
통상임금과 관련하여 2004.08.03 534
Board Pagination Prev 1 ... 3689 3690 3691 3692 3693 3694 3695 3696 3697 3698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