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jung21 2004.08.03 17:58

며칠전 아래와 같이 질문을 드리고, 답변을 받은 회원입니다.
몇가지 추가로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1.압류등의 조치를 취한 직원들과 압류나 소송등을 계획하고 있는 직원들과의 우선순위는 어떻게 되는겁니까?
미리 압류를 건 직원들이 압류조치한 금액을 다 배당받기 전에 다른 직원들(똑같은 체불임금이지만 법적조치가 늦은)이 뒤늦게 압류를 건다면 모두 동등한 자격에서 체불임금 비율로 배당받게 되는 것입니까?
아니면, 미리 압류를 건 직원들이  배당받기 전에만 다른 직원들이 압류등의 조치를 취하면 동등한 자격으로 배당받을 수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2.압류조치를 취할 때 드는 비용은 어느정도인지 궁금합니다.
현재는 약 5000만원정도의 회사자산에 대해 압류를 걸때 소요되는 비용은 얼마정도가 됩니까?

3.아래 질문에 주신 답변내용을  확인하는 것인데, 압류를 통해 배당받는 금액이 체당금(3개월급여,3년퇴직금)보다 많이 배당받았을 경우에는 체당금은 받을수 없다라는 답변이시지요?

그렇다면, 직원들중 체당금으로 갔을때 거의 손해가 없는 직원들은 압류걸지 말고, 체당금을 받더라도 손해가 큰 직원들이 압류금으로 배당받는게 손해가 큰 직원들에게는 도움이 된다는 얘기가 맞는지요.


다시 한번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아래---------------------------------
안녕하세요.

회사(법인)의 경영 악화로 인해 대부분의 직원들이 2~10개월정도의 임금이 체불되어 있습니다.
그중 많은 직원은 퇴사를 했고,
마지막으로 남아 있는 몇명의 직원들은
대표로 부터 체불임금에 대해 어떠한 지급약속을 이행하지 않을 시에는 압류조치를 하는데에 동의한다는 공증을 받아 둔 상태입니다.

이미 퇴사한 직원들 중 일부는 개인별로, 단체로 노동부에 고소를 하고 가압류->소액재판->압류 절차에 들어가 있기도 하고요.

회사에는 재산이 거의 없는 상태로 알고 있고, 다만, 공제조합에  몇천만원이 보증금으로 들어가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체당금으로 간다하더라도 많이 체불되어 있는 직원들의 경우에는 손실이 많습니다.(3개월 임금,3년퇴직금 뿐이니까요)

회사는 아직 운영이 되고 있는 상태지만, 어려워 보이는 상황입니다.

이상과 같은 상황에서 2가지를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첫째, 공증을 받아둔 일부직원들이 압류신청을 할 경우에 나머지 노동부에 고소한 직원이나 아니면, 그냥 기다리고 있는 직원들은 압류건 금액에 대해서 어떠한 권리가 주어지는지 궁금합니다.
압류조치를 한 직원들만 그 금액을 나누어 가지는 건지 말입니다.

둘째, 압류조치를 해서 받더라도 개인별로 비율에 의해 주어지는 금액은 체불임금에 많이 못미치는 금액입니다. 그렇다면, 압류를 통해 일부 확보하더라도 체불임금에 못미치는 금액은 2차로 회사가 도산처리등을 통해 체당금으로 받을수는 있는지 궁금합니다.

대부분의 직원들은 체당금만 받더라도 손실이 미미하지만, 일부 체불금액이 많은 직원들은 체당금으로는 턱없이 (약 30%정도만 ) 부족하므로 압류로 체불금액중 일부를 확보하고 나머지는 체당금을 받을 수 있다면 손실은 많이 줄어 들거라 생각되어 질문드리는 겁니다.

여기 묻고 답하기에 보니, 체당금을 먼저 받고 부족분에 대한 청구권리는 살아 있다는 답변을 보았는데, 제가 드리는 질문은 반대로 압류먼저 걸고, 나중에 체당금을 받을 수 있냐는 것입니다.

두서없이 궁금한 점들을 질문드렸습니다.

어떻게 처리되는 것이 가장 좋을 지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실업급여일 변경 및 불참시 급여는? 2004.08.09 4645
퇴직금을 재 청구할수 있는 기간이 있는지여? 2004.08.08 534
☞퇴직금을 재 청구할수 있는 기간이 있는지여? 2004.08.09 936
노동법률에 관한 책 좀? 2004.08.08 631
☞노동법률에 관한 책 좀? 2004.08.09 571
넘 답답하고 어떻게 해야 할찌 모르겠습니다. 2004.08.08 469
☞넘 답답하고 어떻게 해야 할찌(체불임금) 2004.08.09 580
택배운송수수료를 임금으로 볼수있는지요. 계약보증금을 받을수있... 2004.08.08 1099
☞택배운송수수료를 임금으로 볼수있는지요. 계약보증금을 받을수... 2004.08.09 808
이혼후 실업급여를 받을수 있을까요? 2004.08.07 1235
☞이혼후 실업급여를(퇴직일 다음날로부터 1년 이내에 지급받아야..) 2004.08.08 2417
퇴직시 서약서 작성문제와 인수인계에 대한 질문입니다. 2004.08.07 1202
☞퇴직시 서약서 작성문제와 인수인계에 대한 질문입니다. 2004.08.08 1963
근무시간을 증빙할때 이런것도 가능한지요? 2004.08.06 637
☞근무시간을 증빙할때 이런것도 가능한지요?(실업급여 수급자격 ... 2004.08.08 1033
해고관련 문의입니다....검색을 해도 나오지가 않네여.. 2004.08.06 461
☞해고관련 문의입니다..(경미한 행동인데 해고까지 하다니..) 2004.08.08 729
월평균 근무시간 산정문의.... 2004.08.06 1391
☞월평균 근무시간 산정문의....(점심시간과 간식시간이 휴게시간... 2004.08.08 2941
확인 부탁 드립니다.. 2004.08.06 427
Board Pagination Prev 1 ... 3684 3685 3686 3687 3688 3689 3690 3691 3692 3693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