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소 2004.11.29 12:49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퇴직 전 미사용 연월차휴가청구권이 있다면 근로자는 자유의사로 이 청구권을 소진하고 퇴직할 것인지 아니면 퇴직시 미사용 연월차휴가에 대한 수당으로 지급받을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소진할 것을 결정하였다면 회사측에 연월차휴가청구서를 제출하여 명시적인 연월차휴가 청구를 하시고 1부를 보관해두십시오. 혹시라고 있을지 모를 법적 다툼에 대비하기 위해 귀하가 정당한 권리행사를 한 것임을 증명받을 증거자료로 보관하자는 취지입니다.

2. 다만, 연차휴가와 월차휴가는 그 사용에 있어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월차휴가의 경우 회사의 승인 사항이 아니므로 근로자가 원하는 시기에 자유롭게 신청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연차휴가는 회사가 시기변경권(근로자가 원하는 시기에 연차휴가를 부여하는 것이 업무상 막대한 지장을 초래한다면 다른 시기에 사용할 것을 지시할 수 있습니다.)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차휴가를 신청한 후에는 회사가 시기변경권을 행사할 것인지 여부를 기다려야 합니다. 물론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하게할 목적으로 시기변경권을 행사한다면 그 부당함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

3. 사직서 제출은 회사가 정한 절차에 따라 제출하게 됩니다. 회사에 사직서 제출의 과정을 어떻게 정하고 있는지 알 수 없으나 특별히 정하고 있는 바가 없다면 회사의 최고책임자에게 제출하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최고책임자로부터 인사권을 위임받아 근로자의 채용, 사직서 수리, 배치전환 등의 권한을 행사하는 자가 있다면 그 자에게 사직서를 제출하여도 무방합니다. 사직서는 제출했다고 하여 곧 효력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사용자로부터 사직서가 수리되어야 하므로 인사권한을 위임받은 자에게 사직서를 제출하였더라도 최고책임자의 수리여부를 확인하는 꼼꼼함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 노동문제 해결방법 → 각종 상담사례 → 38번 게시물【사직서를 제출했으나 회사가 수리해주지 않을 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직장인들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팀장이 2주동안 퇴직처리 못해준다고 버티고 괴롭히고 회유하고 저주당하고..
>
>인사과에서는 팀장의 허락이 있어야만 회사 사직서를  준다고 하고..
>
>결국은 월요일에 자필로 제가  직접 사표를 내려고 합니다.
>
>사표를 내는 경우, 약 1달간동안은 더 다녀야한다는 규정이 있읍니다.
>
>만약, 제가 휴가와 년월차를 합해서 약 14일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
>하루라도 더 다니기 싫어서요.. 너무 정신적으로 고통스럽습니다.
>
>제가 2주는 회사는 더 다니고, 나머지 2주는 년월차와 정기휴가를 이용하면 한달이 채워지는데
>
>이 가능성을 이용하여 퇴사가 가능한지요?
>
>그리고, 사직서는 인사권이 있는 팀장에게 내도 법적인 근거가 충분하게 되는지요?
>
>아니면, 인사과에 내야하는 지요?  가급적이면 팀장에게 내었으면 합니다.
>
>빠른 답변 바랍니다.
>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노동부 출석요구에 대한 자료준비 2008.05.06 2236
☞노동부 출석 및 몇가지 질문 (권고사직과 해고) 2007.07.26 1911
☞노동부 체당금 신청 후 체당금을 받지 못해 법원소송에 관련해서... 2006.11.12 2815
☞노동부 진정후에도 계속되는 임금체불시 어떻게 해야하나요?? 2004.05.31 1792
☞노동부 진정을 마무리 되었지만....(체불임금 지급지연) 2004.10.27 747
☞노동부 진정에 관련해서.. 2004.02.18 447
☞노동부 진정서에서 불인정한 연장근로수당 2007.10.31 1954
☞노동부 진정서 제출 기한(임금채권 소멸시효 기간) 2007.06.13 3860
☞노동부 진정건에 대한 처리절차..(진정과정에서 해결되지 않으면?) 2004.12.28 749
☞노동부 진정-민사-법인재산 경매/배당-노동부 재조사 관련 2007.11.13 1378
☞노동부 진정 후 근로감독관의 답변에 대한 질문 있습니다. 2008.01.02 2112
☞노동부 진정 전에 받아놓을 수 있는 서류?? 2007.07.24 842
☞노동부 임금지급 지시를 받았음에도 돈을 안주겠다고 합니다. 어... 2005.01.14 1818
☞노동부 예시 연봉근로계약서 (연간 가산급여시간수 452시간) 2006.04.20 3328
☞노동부 믿고 기다려도 될까요? 2004.08.25 389
☞노동부 근로감독관의 행태에 대하여 조언을 구합니다. (불친절공... 2007.04.13 6047
☞노동부 공시 최저임금 2004.04.09 1011
☞노동부 공무원을 고발하고 싶습니다.근데 힘이 없어서...... 2005.05.23 634
☞노동법이 우선인가요? 사규가 우선인가요??(급합니다....) 2007.04.13 3625
☞노동법이 어덯게 적용되는지에(연차휴가 산정) 2004.09.13 1308
Board Pagination Prev 1 ... 5032 5033 5034 5035 5036 5037 5038 5039 5040 5041 ... 5861 Next
/ 5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