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인되는 법인회사이며 2002년 8월부터 회사가 시작되었고 제가 근무한 기간은 2002.9.1부터 2005.10.7 입니다.
회사에 사규는 2005.7.15 만들어졌습니다. 회사에서 전체적으로 모아 특정 조항에 대하여서만 설명을 하고 간단한 의견을 들은적은 이를 가지고 노동자들이 자주적으로 모여 논의하고 의견을 모은것은 없습니다.
기존에는 근로계약서를 쓰지 않고 구두상으로 사장과 개별적으로 임금인상등에 대한 합의를 하였습니다.
(일반적인) 임금체불은 없었습니다.
주5일 근무를 하였으며 년월차 휴가나 시간외 수당등은 지불이 된적이 없습니다.
노동조합은 없었습니다.

문제되는 것은 퇴직금이 며칠간 체불되었으며 공금으로 처리하는 비용들이 늦게 나왔습니다. 또한 기존에 년월차, 시간외 수당등 별도의 수당이 전혀 없었다는 것입니다.

1. 15인사업장에서 근로기준법의 년월차 적용 여부
2003년 근로기준법 개악으로 사업장규모에 따라 주5일제가 도입되고 월차가 없어지며 년차만 남았습니다.
그런데 주5일제는 사업장규모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15인사업장이라면 근로기준법상으로는 주5일제를 보장하고 있는것은 아닙니다.
상시 20인미만 사업장이므로 2011년 이전이라는 것만 있지요.
이경우 년월차에 대한 규정은 예전 근로기준법에 따르는 것인가요? 이 법의 시행일에서 상시 20인 미만 사업장이므로 개악되기전 노동법으로 판단을 하면 되는 것인가요?

2. 월차적용여부
2005.7.15 만들어진 사규에는 월차에 대한 내용은 없으며 1주간의 근무시간을 40시간으로 한다고 하였지 월차에 대하여 어떻게 처리를 한다는 조항은 없습니다. 근로기준법에서 월차가 바뀌었기 때문에 월차가 없다는 것이 회사의 설명입니다.

1번 조항과 연관이 되어 판단을 해야 할것인데요.

** 관련사규 *********************************************
제15조 【근무시간】
        ① 사원의 기본근무시간은 1일 8시간을 원칙으로 한다.
        ② 1주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하고 40시간으로 한다
           다만, 직무내용상 특수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법정근무시간 한도내에서 이를 조정할 수
           있다.

제19조 【휴가】
         ② 유급휴가
           1. 년차휴가
              가.사원은 1년간 8할이상 출근시 10일의 년차휴가가 주어진다.
              나. 1년 이상 근속한 사원에 대해서는 1년 당 1일의 가산휴가가 주어진다. 그 한도는 최고 25일로 한다.
              다. 회사는 사원에게 휴가 사용을 촉구하여야 한다.

제5조【포괄임금】
      회사는 일반직 사원에 대하여 본인의 동의하에 모든 수당을 포함하는 포괄임금제를 실시한다.

제16조【제수당】
       기타의 수당은 적용하지 않는다.
*********************************************************

3. 시간외 수당등에 대하여
위에 포괄임금과 관련한 사규가 있는데 여기서 기존에는 근로계약서를 쓰지 않고 구두상으로 임금인상등에 대한 합의를 하였습니다.
설사 수당을 포함한다고 하더라도 여기서 년월차휴가는 제외가 될 것입니다.
기존에 회사에서 정확한 출퇴근시간을 기록하고 있지 않았는데 이러한 경우 시간외 수당은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지요?
또한 위의 포괄임금제때문에 회사에서는 시간외수당을 주지 않고 빠져나갈 수 있는 구멍이 있는것이겠지요?

4. 시간외 수당, 년월차 수당등에 대한 지급기한
근로기준법에 따라 임금채권은 3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합니다.
그러면 현재로부터 3년 그전인 2002년 9월달 월차휴가는 그 다음달 임금지급일인 2002년 10월 25일로부터 3년이 넘었으니 지급요청을 할 수 없겠네요?

5. 퇴직시기계산
퇴직한것은 10월 7일 금요일로 계산이 된 것 같은데 주5일제이기때문에 10월 7일 금요일까지 근무를 했고 10월 8일 토요일, 10월  9일 일요일은 출근한 것으로 포함을 해야하나요? 이에 따라 약간씩 계산이 달라지겠네요.

6. 퇴직금
이번에 퇴직하면서 퇴직금이 퇴직한후 38일 늦게 지급되었습니다. 이러할 경우 퇴직금에 대한 지연이자는 38-14=24일이 맞나요?
이것이 맞다면  근로기준법 제36조의 2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이율에 의한 지연이자는 어디서 확인을 할 수 있나요?
"체불임금에 대한 지연이자 제도는 2005년 3월 2일 국회가 근로기준법 및 임금채권보장법 개정안을 통과시켜 오는 7월부터 시행된다"라는 기사는 알고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모르겠습니다.

또한 퇴직금에 대한 판단기준은 평균임금이며 여기에는 시간외 수당 및 년월차 수당등을 포함하여 기준으로 삼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당연히 늦게 지급된 퇴직금은 월평균 받았던 금액만으로 계산을 하였습니다.

근로기준법
제36조 (금품청산)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사유가 발생한 때로부터 14일이내에 임금·보상금 기타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간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

제36조의2 (미지급 임금에 대한 지연이자) ①사용자는 제36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급하여야 하는 임금 및 퇴직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그 지급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지급하지 아니하는 경우 그 다음 날부터 지급하는 날까지의 지연일수에 대하여 연 100분의 40 이내의 범위에서 「은행법」에 의한 금융기관이 적용하는 연체금리 등 경제여건을 감안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이율에 의한 지연이자를 지급하여야 한다.
②제1항의 규정은 사용자가 천재·사변 그 밖의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유에 의하여 임금지급을 지연하는 경우 그 사유가 존속하는 기간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본조신설 2005.3.31]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세부적으로 궁금하여 다시 한번 여쭤봅니다~ 2005.11.23 486
☞세부적으로 궁금하여 다시 한번 여쭤봅니다~ 2005.11.24 449
유급휴가 또는 무급휴가 사용시 주휴수당 발생여부 2005.11.23 2061
☞유급휴가 또는 무급휴가 사용시 주휴수당 발생여부 2005.11.24 4535
연봉계약기간 만료에 대해서 2005.11.23 1567
☞연봉계약기간 만료에 대해서 2005.11.24 1299
계약종료 재계약 취하서 2005.11.22 592
☞계약종료 재계약 취하서 2005.11.24 627
퇴직금산정관련 2005.11.22 525
☞퇴직금산정관련 2005.11.24 538
급합니다. 2005.11.22 552
☞급합니다. (해고무효확인소송) 2005.11.24 709
일용직 관한 질문여 ┌☆ 2005.11.22 800
☞일용직 관한 질문여 ┌☆ (근로내역확인서의 신고) 2005.11.24 7372
53357에 연결된 질문입니다. 2005.11.21 593
☞53357에 연결된 질문입니다. 2005.11.24 516
근무조가 22시부터 새벽6시까지 근로시 야간근로시간은 ... 2005.11.21 1850
☞근무조가 22시부터 새벽6시까지 근로시 야간근로시간은 ... 2005.11.24 1857
53481번의 이어진 질문입니다. 2005.11.21 509
☞53481번의 이어진 질문입니다. (퇴직금, 실업급여) 2005.11.23 545
Board Pagination Prev 1 ... 3192 3193 3194 3195 3196 3197 3198 3199 3200 3201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