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소 2005.12.26 20:30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개정된 민사집행법에서는 급여의 (가)압류에 대한 상한액을 정하고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급여의 의미는 월급여액뿐만 아니라 , 정기 상여금 , 비정기 상여금 , 각종 수당 , 퇴직금 등을 모두 합산한 금액을 말합니다. 즉, 월급여액외에 상기의 급여성 금품에 대해서도 압류대상에 해당합니다.
다만, 급여성 금품 총액이 120만원 미만인 경우라면 압류가능금액은 0원이지만, 급여성 금품 총액이 120만원~240만원이라면 압류가능금액은 급여성 금품 총액에서 120만원을 공제한 금액이며, 급여성 금품 총액이 240만원∼600만원이라면 압류가능금액은 급여성 금품 총액의 1/2에 해당하는 금액이므로, 이를 감안하여 계산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래 소개하는 민사집행법 및 민사집행법시행령을 참조바랍니다.

--------------------------------------------------
참고> 민사집행법 제246조 (압류금지채권) ①다음 각호의 채권은 압류하지 못한다.
   1. 법령에 규정된 부양료 및 유족부조료(유족부조료)
   2. 채무자가 구호사업이나 제3자의 도움으로 계속 받는 수입
   3. 병사의 급료
   4. 급료·연금·봉급·상여금·퇴직연금,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성질을 가진 급여채권의 2분의 1에 해당하는 금액. 다만, 그 금액이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최저생계비를 감안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금액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또는 표준적인 가구의 생계비를 감안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각각 당해 대통령령이 정하는 금액으로 한다.
   5. 퇴직금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성질을 가진 급여채권의 2분의 1에 해당하는 금액
   ②법원은 당사자가 신청하면 채권자와 채무자의 생활형편, 그 밖의 사정을 고려하여 압류명령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소하거나 제1항의 압류금지채권에 대하여 압류명령을 할 수 있다.
   ③제2항의 경우에는 제196조제2항 내지 제5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참고> 민사집행법 시행령
제3조 (압류금지 최저금액) 법 제246조제1항제4호 단서에서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의한 최저생계비를 감안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금액"이라 함은 월 120만원을 말한다.
제4조 (압류금지 최고금액) 법 제246조제1항제4호 단서에서 "표준적인 가구의 생계비를 감안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금액"이라 함은 제1호에 규정된 금액 이상으로서 제1호와 제2호의 금액을 합산한 금액을 말한다.
   1. 월 300만원
   2. 법 제246조제1항제4호 본문의 규정에 의한 압류금지금액(월액으로 계산한 금액을 말한다)에서 제1호의 금액을 뺀 금액의 2분의 1
제5조 (급여채권이 중복되거나 여러 종류인 경우의 계산방법) 제3조 및 제4조의 금액을 계산함에 있어서 채무자가 다수의 직장으로부터 급여를 받거나 여러 종류의 급여를 받는 경우에는 이를 합산한 금액을 급여채권으로 한다.
---------------------------------------------------------

직장인들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저희 회사에 가압류자가 여러명 있는데..
>예전같은 경우엔..
>급 상여 상관없이 1/2공제를 해서 나눠났는데..
>지금 같은 경우엔..
>최저생활보장인가 해서 1,200,000원 지급하고 그 외 부분만 압류를 합니다..
>헌데..
>상여가 짝수월 25일 급여와 상여가 같은날에 나오는데..
>그럴경우..
>급여는 1,200,000원이 넘기 때문에 우선 1,200,000원 지급하고.. 그 외 부분 압류..
>상여는 1.200.000원 이하인데..
>상여는 어케 처리를 해야하는지..
>본인한테 지급을 하는건지.. 아님 압류를 해놔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급여가 허위로 신고되어 있다면... 2004.01.30 1181
☞급여가 편법으로 지급되는것 같네요..답변부탁요 2006.11.17 2345
☞급여가 세달치..곧잇음 네달치가 밀리는 상황인데 사표를 쓰라고... 2004.03.29 750
☞급여가 반만 들어왔습니다. 2004.06.02 439
☞급여가 두달반이나 밀린상태이며, 사직신청을해도 사직을 안해줍... 2004.05.18 518
☞급여가 더 나온 황당 사건(담당자 착오로 과지급된 임금) 2007.10.22 1814
☞급여가 말이죠..... 2004.04.12 377
☞급여.. 2004.04.12 381
☞급여,퇴직금,체불금에 대해 (지불각서나 체불임금 확인서) 2006.11.02 5061
☞급여 항목중에서...(감봉액수는 회사가 마음대로 할 수 있나요?) 2006.05.22 1398
☞급여 항목에 대하여 통상임금의 해당 유무 (주40시간제 적용시 ... 2008.06.16 1998
☞급여 체불에 의한 가압류... (가압류 재산을 회사가 집행할 수 ... 2007.12.17 955
☞급여 체불.. 2004.01.08 355
☞급여 체계변경 (기존급여액의 하향변경이 예상되는 인센티브제도... 2008.12.15 2144
☞급여 차등 인상과 관련하여 질의드립니다. 2006.12.27 863
☞급여 지급 유예시 퇴직금 (평균임금산정시 체불 또는 지연급여도... 2008.12.15 1834
☞급여 지급 기준일에 대해 문의합니다. 2005.03.14 2568
☞급여 일할계산 (주중입사자의 주휴일 부여 여부) 2008.02.15 3020
☞급여 일수 적용에 관한 질의 (월급여의 일할 계산) 2007.11.02 6403
☞급여 인상분(급여인상에 대한 약정을 지키지 않는데..) 2004.06.27 592
Board Pagination Prev 1 ... 5057 5058 5059 5060 5061 5062 5063 5064 5065 5066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