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소 2006.07.31 11:38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회사사정으로 인하여 휴업을 할 경우에는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고용관계가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상황에서 사업주가 1주간 대기하라고 하였다면 휴업급여를 지급해야 합니다. 노동청에 진정을 통해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 휴업으로 인하여 근로관계가 불투명할 경우 근로자로써 다소 당황스러울 것입니다. 계속 대기를 할 것인지 퇴사를 할 것인지는 본인이 결정해야 할 것입니다.

제45조【휴업수당】
①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휴업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휴업기간중 당해 근로자에 대하여 평균임금의 100분의 70이상의 수당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평균임금의 100분의 70에 상당하는 금액이 통상임금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상임금을 휴업수당으로 지급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계속이 불가능하여 노동위원회의 승인을 얻은 경우에는 제1항의 기준에 미달하는 휴업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직장인들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더운데 수고가 많으십니다.
>
>저는 대학을 갓 졸업하고 지방 신문사에서 수습직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
>지금이 수습 3개월째인데 사장이 월급 주는 것을 미루고 미루고 해서
>
>월급날로부터 보름이 지나 겨우 월급을 받았습니다.
>
>그리고 제 월급은 겨우 60만원에 불과합니다만,
>
>입금된 돈을 확인해보니 45만원이더군요.
>
>따지려고 해도 연락이 되지 않는 실정입니다.
>
>곰곰히 생각해보니 한달 4주 기준으로 해서 1주일분을 제하고 준 것 같습니다.
>
>사실, 사장이 회사를 운영할지 안할지 좀 쉬면서 생각해봐야겠다면서
>
>전 직원들한테 며칠동안 회사를 쉬라고 했거든요.
>
>그때 일주일 쉬랬는데 아마 그걸 공제한거 같습니다.
>
>하지만 그건 제 의지로, 자발적으로 쉰것도 아니고
>
>회사에서 그렇게 쉬라고 해놓고선 맘대로 월급을 공제할 수 있는건가요?
>
>시급제도 아니고...
>
>그런 부분에 대해 사전에 미리 언급한적도 없었구요.
>
>(입사할 때 서면으로 급여에 관한 계약서같은걸 작성하지도 않았거든요)
>
>게다가 일주일 쉴 때 일거리도 주길래 그 일도 집에서 다해서 회사로 보냈는데 말이
>
>죠.
>
>그러니까 요약해서 말씀드리자면,
>
>1.제 의지가 아니라 회사 사정으로 쉬라고 해놓고 한마디 말도 없이 월급을 맘대로 조
>
>정한다는게 가능한건지, 정말 저는 45만원밖에 못받는지 알려주세요~~
>
>2.그리고 이런 경우, 퇴직 의사를 밝히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퇴직이 되는 건가요?
>
>회사를 다시 운영한다는 말이나 연락이 현재 없습니다.
>
>
>저도 참... 얼마 되지도 않는 돈가지고 이런 말하려니 답답합니다만 첫 직장이라고 들
>
>어간 곳에서 이런 일을 겪으니 황당합니다.
>
>꼭 좀 도와주세요~~
>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연봉제하의 심야수당및 고용보험 해당사항(포괄임금 정산제) 2006.07.31 1337
여성 생리휴가 수당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 2006.07.31 2327
임금·퇴직금 격일제 근로자에 대한 최저 임금 계산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2006.07.31 1461
임금·퇴직금 퇴직금에 대해서 여쭤봅니다. 2006.07.31 544
여성 출산휴가와육아휴직을 연달아 쓸경우 육아휴직비를 받을수 있는지? 2006.07.31 2566
» 임금·퇴직금 사장이 임의로 임금 공제를...(휴업급여) 2006.07.31 1205
근로시간 주40시간에 대한 잔업 및 노조.. 2006.07.31 1779
임금·퇴직금 퇴직금에 대해 질문입니다..^^(5인미만 사업장) 2006.07.31 984
☞ 연차 수당 계산의 질의... 2006.07.31 536
연차 수당 계산의 질의... 2006.07.30 789
☞이런 경우의 체불 임금은 어찌 해야 합니까? 2006.07.31 450
이런 경우의 체불 임금은 어찌 해야 합니까? 2006.07.31 382
☞퇴직금관련 2006.07.31 437
퇴직금관련 2006.07.31 422
☞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휴일근로수당 지급에 대하여 2006.07.31 613
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휴일근로수당 지급에 대하여 2006.07.31 435
☞퇴직금 관련문의 (연봉에 포함된 퇴직금) 2006.07.31 534
퇴직금 관련문의 2006.07.31 447
☞토요근로수당을 줄 경우 해당일 연장수당 산정은? 2006.07.31 800
토요근로수당을 줄 경우 해당일 연장수당 산정은? 2006.07.31 715
Board Pagination Prev 1 ... 2847 2848 2849 2850 2851 2852 2853 2854 2855 2856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