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1.26 13:58
50인 이하의 제조회사에서 사무 직원으로 근무하는 여직원입니다.
(올해로 7년째 근무)
4월 25일이 출산 예정으로 다음달 2월 16일까지만 근무하고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쓰려고 합니다.
그런데 여태 회사에 근무하던 여직원들이 대부분 결혼과 동시에 회사를 그만 두었기때문에
관례도 아닌 관례가 되어버린 것처럼 저도 아이 출산을 앞두고 그만 두는 걸로 얘기를
해 놨습니다.
그래서 후임자로 뽑아 놓았는데 주위에서 출산휴가나 사용하라는 말을 듣고
찾아보니 회사에서는 아무런 금전적 피해없이 고용안정센타에서 출산급여 및 육아휴직급여를
준다고 합니다.
그래서 서류상으로만 휴직으로 하고 퇴직은 내년에 하는 걸로
총무과 차장님에게 부탁드리고 출산휴가와 육아 휴직을 써달라고 했더니만
출산휴가는 산전 30일과 산후 60일은 꼭 지켜야 하는데
제가 너무 일찍 휴가 신청을 하면 산전 30일에서 한달가량이 모자라고
산후에도 60일을 지켜야 하는데 일수가 모자라는것이라고 안되는 쪽으로 얘기하십니다.
(위 내용이 조금 틀리다는 건 찾아보고 알았슴다)
산후 45일이상을 지켜야만 출산 휴가가 인정된다고 하는 것도 확실히 알았슴다..
그 차장님은 서류상으로 퇴직할 맘으로 나가는 사람을 휴직처리해서
세금계산시나 월급나갈때 서류상으로 저를 포함해야 한다는 건 복잡한 일이라고 합니다.
(근데 원래 휴직 처리하면 그리 해 줘야 하는 거 아닌가요?)

요점을 말하면 산전후 90일을 저는 산전 63일. 산후 27일을 사용하고 바로 그 다음날로
육아휴직을 사용 할 수 없는 것인지요??
회사에서 서류상으로 복잡한 문제가 되는 건가요??
후임자를 뽑아놓았기 때문에 한달정도의 인수인계만 있으면 바로 출근 하지 않아도 되는데...

아니면 3월 첫째주까지 출근하면 산전 50일 산후 40일이라 육아휴직에 아무문제없는지요??
     - 산후 45일이상인데 저 같은 경우 산후 30여일정도 사용후 육아휴직을 사용하는데
        급여 계산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90일을 다 사용하고 난 후라 모자란 15일이상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 건가요?

p.s 노동부에 상담하니 간략적으로 고용보험에서 지급하는 급여 차이일 뿐이지
     휴가를 동시에 덧붙여 사용하면 산후 부족이나 산전 휴가의 과다로  두 가지 휴가를
     사용하지 못할껏까지는 없다는 내용을 들었습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임금계산법에관한질문입니다 2007.02.01 1119
☞임금계산법에관한질문입니다(월급 산출방법) 2007.02.02 1683
휴직관련 문의입니다. 2007.02.01 778
☞휴직관련 문의입니다.(산재 또는 개인적 질병의 의한 휴직) 2007.02.02 1478
연장근로제한위반 2007.02.01 1080
☞연장근로제한위반(연장근로의 상한선) 2007.02.02 882
너무 너무 급합니다. 부탁합니다. 2007.02.01 566
☞너무 너무 급합니다. 부탁합니다.(근로자 동의없는 아웃소싱의 ... 2007.02.02 985
퇴직이후 손해배상하라는 사업주에대한문의 2007.02.01 505
☞퇴직이후 손해배상하라는 사업주에대한문의 2007.02.02 675
결혼에 의한 사직 2007.02.01 420
☞결혼에 의한 사직(출퇴근 곤란으로 인한 실업급여 수급여부) 2007.02.02 696
시간외근무 및 특근비용 2007.02.01 1755
☞시간외근무 및 특근비용(연봉제의 연장근로수당 발생여부) 2007.02.02 2806
소사장제도입관련 문의 2007.02.01 1357
☞소사장제도입관련 문의 2007.02.07 2007
경영성과상여금 평균임금 산입여부 2007.02.01 616
☞경영성과상여금 평균임금 산입여부 2007.02.02 940
최저임금 적용에 대해서 여쭈어봅니다 2007.02.01 509
☞최저임금 적용에 대해서 여쭈어봅니다 2007.02.02 645
Board Pagination Prev 1 ... 2852 2853 2854 2855 2856 2857 2858 2859 2860 2861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