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소 2007.09.28 15:19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연봉계약서에 각종의 수당의 구체적인 금액은 표시되어 있지 않고, 연봉총액에 포함한다고 되어 있다면, 이른바 포괄임금계약으로 보기 어려우므로 지급받지 못한 법정 수당에 대해서는 청구권이 인정됩니다.

2.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가 있거나 또는 회사의 취업규칙에서 연월차휴가를 '특정근무일'로 대체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는 경우라면 연월차휴가를 '특정근로일'에 대체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회사의 취업규칙에서 휴가로써 하계휴가와 각종 휴일등을 명시적으로 정하고 있다면 이러한 날들은 휴가 또는 휴일이므로 연월차휴가로 대체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회사의 취업규칙에서 하계휴가나 각종 휴일을 근무일로 정하고 있다면 연월차휴가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3. 근로계약기간 도중 퇴직하더라도 1년이상 근무한 상태라면 퇴직금이 발생하며, 퇴직금은 계산은 근로계약기간의 종료일과 관계없이 실제퇴직일(9월)을 기준으로 최종3개월의 임금으로 산정함 평균임금으로 계산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1. 연봉근로계약서에서 임금 및 퇴직금조항의 내용입니다.
>   연봉액 : 년     원(퇴직금 년      원포함)
>   월지급액: 월     원(연봉액/13)으로 되어 있습니다.
>   - 상기연봉액은 1/13로 분할하여 매월지급한다고 쓰여있고
>   - 그리고 연봉액에는 기본급, 시간외수당, 야간수당, 휴일근로수당, 연월차수당, 생리수당 등 제수당이 포함된 것으로 한다라고 써있습니다.
>   그러나 계약시는 연봉액만 쓰여있고 퇴직금과 제수당에 대한 금액은 쓰여있지 않았습니다.
> 이러한 상황에서 급여 지급시에는 기본급, 시간외수당, 월차수당, 생리수당으로 나누어서 지급하고 있습니다. 이럴때 각종수당을 인정해야하는지요? 그리고 월차수당이나 생리수당의 경우는 사용할지 안할지도 모르는데 연봉에 포함시켜서 지급해도 되는 것인지? 인정이 안된다면 퇴직시 받을수 있는지요?
>
>2. 연월차 대체관련
>   - 취업규칙에는 하계휴가, 국경일, 추석연휴, 설연휴, 신정연휴 및 기타 법정공휴일 등으로 대체사용하게 한다라고 되어있고 회사에서 공고함으로 대체하여 연차수당은 급여 항목에도 없습니다.
>   - 연봉근로계약서 상에는 이러한 날들은 근로자의 신청에 따라 연월차휴가를 대체하여 사용할수 있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   - 이러한 경우 근로자가 휴일을 신청한적도 없고 신청서를 회사에 제출한적도 없으나 취업규칙에 의거 회사의 일방적 통보로 인해 연월차를 사용한 것으로 인정해야 하는지, 아니면 연봉근로계약서에 준해 인정하지 않고 연월차수당을 요구할 수 있는지 어느 것이 우선인지 궁금합니다.
>
>3. 퇴직시 퇴직금 관련
>   - 저희 회사는 계약기간이 5월부터 익년 4월말까지입니다. 이런경우 제가 9월말에 퇴직시 퇴직금 정산은 어떻게 해야하는지요?
>
>위의 3가지 사항에 대해 수고스럽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수고하십시요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leekj62 2007.09.29 11:29작성
    질의한 사람입니다. 답변내용중 부족한부분이 있어서요. 1.에서 급여명세서에는 각종수당으로 나누어지급하는데 이것을 인정해야하는지요? 그럼에도 청구할수 있는지요?. 2.취업규칙에는 회사의 공고로 대체할수있다라고 되어 있지만, 연봉계약서에는 근로자의 신청에따라 대체사용할수 있다라고 되어있어 어느것이 우선이며 서류상으로 신청한적이 없을 경우 청구할 수 있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수고스럽지만 빠른답변 부탁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퇴직금산정시 연차수당 산입방법 (퇴직시 몇년간의 누적 연차수... 2007.10.12 3044
아파트관리실 퇴직금 2007.10.09 1039
☞아파트관리실 퇴직금 (매월 지급된 퇴직금) 2007.10.12 1348
남성 근로자도 육아휴직도 가능한지요? 2 2007.10.09 714
☞남성 근로자도 육아휴직도 가능한지요? (남성의 육아휴직) 2007.10.12 1101
임원의 채당금 수령 가능 여부 2007.10.09 1175
☞임원의 채당금 수령 가능 여부 (이사가 근로자인지) 2007.10.12 1144
연장,야간근로 문의 2007.10.09 682
☞연장,야간근로 문의(1일 8시간 초과 근무시) 2007.10.12 4021
토요일 연장근로 문의(주44시간 업체) 1 2007.10.08 904
☞토요일 연장근로 문의(주44시간 업체) 2007.10.12 1301
육아휴직자와 관련 연차수당 및 보전수당 계산 문의 2007.10.08 2032
산재장애 보상금 수령후 민사소송과의 문제 2007.10.08 2764
☞산재장애 보상금 수령후 민사소송과의 문제 2007.10.12 2929
특정한 직종 종사자에게만 주어지는 명목없는 직무수당 1 2007.10.08 800
☞특정한 직종 종사자에게만 주어지는 명목없는 직무수당(임금체계... 2007.10.12 832
산전후휴가 관련.. 2007.10.08 792
☞산전후휴가 관련.. (출산휴가기간과 육아휴직기간이 중복되는 경우) 2007.10.12 1882
임금포기로 인한 퇴직금 청구권 1 2007.10.08 899
☞임금포기로 인한 퇴직금 청구권 2007.10.12 787
Board Pagination Prev 1 ... 2644 2645 2646 2647 2648 2649 2650 2651 2652 2653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