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소 2007.10.19 10:49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근로시간 과다로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3개월동안 각 1월간 근로시간이 주평균 56시간을 초과할 경우 근로기준법위반으로 자발적인 퇴사를 하더라도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다만 근로시간에 대해서 객관적인 자료로 입증을 해야 합니다. 최초 근로계약서를 56시간 이상으로 작성하였다 하더라도 그 계약은 무효로 볼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주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nodong.kr/402832

직장인들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제가 다니는 회사가 프렌차이즈 PC방 회사인데,
>
>이회사를 처음에 들어올때 근로계약서에
>
>하루 8시간 근무에 근무여건상의 추가 근무에 대한 내용이 명시되어있었고,
>
>그것을 알고 계약을 하기는 하였지만 근무하면서 항상 느끼는 거지만
>
>제 여가시간이 없다는게 제일 큰 단점입니다.
>
>평일은 물론이고, 주말에도 아르바이트생의 부재의 경우 24시간 근무하는 것은 당연시 되고있구요.
>
>이 회사를 다니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그러한 문제로 인해 회사를 그만두고 있는 실정입니다.
>
>이러한 경우에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요?
>
>근로계약서 내용을 인지하고서 계약을 한 경우이므로 해당사항이 없는건가요?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연,월차 산정방법. 2007.10.23 919
☞연,월차 산정방법.(소멸시효) 2007.10.26 1174
일용직 퇴직금 산정.. 2007.10.23 1496
☞일용직 퇴직금 산정..(일용직 근로자의 퇴직금 지급여부) 2007.10.26 10526
잔여 연차일수 계산법 2007.10.23 2130
☞잔여 연차일수 계산법(평균임금 산입방법) 2007.10.26 2221
근로기준법에 의한 각종 환경수당에 대해서 2007.10.22 1804
☞근로기준법에 의한 각종 환경수당에 대해서 2007.10.25 2572
주40시간제 근무하, 1년미만 근로자의 연차발생 기준일 질의 1 2007.10.22 1694
☞주40시간제 근무하, 1년미만 근로자의 연차발생 기준일 질의 2007.10.25 10658
퇴사자 주휴수당 지급여부 2007.10.22 1647
☞퇴사자 주휴수당 지급여부(퇴사일에 따른 주휴수당 발생여부) 2007.10.25 4674
연봉제 재계약이 안되고 있는데 실업급여 대상이 될 수 있나요? 2007.10.22 1468
☞연봉제 재계약이 안되고 있는데 실업급여 대상이 될 수 있나요? 2007.10.25 1463
확정 판결 전 복직... 2007.10.22 950
☞확정 판결 전 복직...(부당해고 구제신청) 2007.10.25 995
애매모호한재취업수당 2007.10.22 734
☞애매모호한재취업수당(조기재취업수당 지급기준) 2007.10.25 2188
연차휴가 사용 및 연차수당 지급의 건. 2007.10.22 1180
☞연차휴가 사용 및 연차수당 지급의 건. 1 2007.10.25 1440
Board Pagination Prev 1 ... 2634 2635 2636 2637 2638 2639 2640 2641 2642 2643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