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sirak 2008.03.10 14:57
안녕하세요. 아래는 저희 직원에게 공지했던 연차내용입니다.

지금 아래 연차를 만드신 분이 퇴사를 하셨는데

아래 연차내용을 읽고 사람들마다 해석을 달리해서..

저희는 경력입사자의 경우 3월 1일 입사자의경우 입사하자마자

3월부터 다음해 2월 28일까지 만근월 12개월 * 1.25개해서 15개의 연차를 인정해주고

다음해 3월1일이 되면 다시 연차 15개가 생기는걸로 판단을 했는데

다르게 판단을 하는사람이 계셔서요.

아래 내용을 근로기준법에 맞게 해석해주실수 있는지요.

공지 연차

연차계산과 경력인정 관련 아래사항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기준일: 2007년 3월 1일(추후1월1일로 변경예정)

2. 경력인정기준:
    (1) 당법인 입사전 요식업 1개업장에서 근속2년이상 근무자로
          경력증명서(또는 해당업체의 근무기간 중 소득금액증명)를
          제출한 경우에 한함. 2개업장에서 각1년씩은 인정안됨.
    (2) 1항의 경우 2007년3월1일 이전 경력입사자부터
          특히 주임급 이상은 경력인정한 것으로 볼수 있는데도
         소급해서 경력증명서를 받아야 하는지요 아니면 그냥
         인정해주어도 되는지요?

3. 연차계산 (3월1일기준):
    (1) 만 1년 이상 근속자: 2007.3.1-2008.2.28 기간 중 15개 사용가능
      (만1년후 퇴사의 경우 15일을 사용하거나 수당으로 계산해줌)
    (2) 경력입사자(2월28일 이전 입사자): (1)항과 동일
    (3) 경력입사자(3월1일 이후 입사자): 입사 만 1개월 이후부터 15/12x잔여개월수로
            사용가능 하지만 3개월미만 근무 후 중도퇴사 시 연차인정 안하고
            무급휴가 처리하며 일할 공제함.

    (4) 근속1년 미만자: 해당없음. 만1년되는 시점부터 15개가 발생하지만
             사용기간이 2월28일로 제한되므로 15/12x잔여개월수(2월말기준)
             부득이한 경우 미리 사용할 수 있으나 만1년 이후 사용분에서 차감함.
             이 경우도 중도퇴사시 미리 사용한 것은 무급휴가 처리 일할 공제함
           
     (5) 3월1일이후 신규입사자: 해당없음.
             부득이한 경우 4항에 준함.
            
    (4) 연차일수계산: (가) 만 1개월후부터 계산
                                (나) 소수점이하 반올림

4. 경조휴가, 공가, 출산 등 예외적인 특별휴가와 주휴는 연차사용과 별개임.
5. 병가의 경우 진단서제출 해야하며 연차에서 차감하고 연차없는 경우는 무급처리함.


연차 휴가 운영 방법

1.        기본적으로 1개월 기준으로 주 평균 근로시간은 52시간을 초과해선 안 된다.
-        직원 근로 일정표를 적절히 조정 충분한 휴식 시간을 부여토록 한다.
-        유급 주 휴일은 1일(적체 사용 불가), 근로자의 날(5/1)
-        월차 및 공휴 폐지
-        생리휴가 무급 전환(사정에 따라 쉴 수 있으나 급여에서 공제 함)

2.        연차 휴가 내용 및 적용
-        1년간의 계속 근로연수를 초과하는 시점(1년간 개근 시)에서 15일의 유급휴가 부여 함
-        기본적으로 계속 근로연수가 1년 미만인 입사 초년도는 연차 휴가가 없으나 1개월간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사용할 수 있음.  단 1년 이후 발생되는 유급휴가 15일에서 초년도 사용 휴가일수는 공제 함. 중도 퇴직 시 근무 연한 대비 초과 사용한 휴가에 대해서는 퇴직금 및 기타 제 비용 산정 시 정산토록 함
-        따라서 입사 초년도 근로자의 경우 근로시간의 탄력적 적용을 통해 충분한 휴식과 개인의 생활에 필요한 시간을 부여토록 하되 연차의 사용은 최소화 하도록 각 매니저들이 관리토록 함.
-        연차계산은 편의상 해당년도 1월1일에서부터 12월31일을 기준으로 산정 함.
-        연차 15일은 입사 후 1년이 되는 시점에서 발생하나 1/1~12/31기준에 의거 발생 당해 년도의 시점에 의해 해당 개월 수 계산하여 시행 함.
예) 2006년 3월 1일 입사자의 경우
    2007년 2월28 시점에 15일의 연차 발생하나 2007년 사용 연차는
10개월/12개월*15일 = 12.5일(12일의 연차 + 1일의 반 연차)
이후 2008년부터 15일의 연차 사용함.
-        연차휴가는 당해 년도에 모두 소비하도록 권장 함.
(당해 년도 사용 권유에도 불구하고 회사의 사정에 의거 남은 휴가는 다음해에 수당으로 지급함)
-        계속 근로연수가 1년 이상인 근로자의 퇴직 시 연차 휴가의 정산은 퇴직시점의 해당 월 수를 12개월로 나누어 적용 연차를 계산하고 사용 연차를 공제하고 남은 부분을 정산 연차 퇴직금으로 지불하게 됨. 해당 년도 적용 연차보다 더 많이 사용 했을 시는 퇴직금 또는 기타 정산 비용에서 공제 함.




3.        가산 휴가
-        3년 이상 계속 근로한 경우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부여함.
-        가산휴가의 계산방법은 근로연차에 의해 아래의 표에 의해 집행 됨(연차로만 계산 됨)
-        연차휴가(가산휴가 포함) 계산표
2-3년차        4-5년차        6-7년차        8-9년차        10-11년차        12-13년차        14-15년차        16-17년차
  15일         16일         17일         18일          19일          20일          21일         22일


-        가산 휴가 포함 최대 휴가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함.
-        업장 사정에 따라 발생하는 휴가의 경우 연차 휴가를 우선 사용한 것으로 함
예) 백화점 휴장에 따른 휴일 – 연차 휴가 사용으로 처리
    단, 근로시간 탄력적용에 의한 조정으로 처리할 수 있음.

4.        입사 전 경력 평가
-        기본적으로 입사 전 경력은 최소 만 2년 이상의 전일제 근무로서의 동종업종 및 해당업무의 경우에 한하여 인정하나,
-        현실적으로 경력 평가를 객관적으로 하기 어렵고 또 경력 인정을 위해 필요로 하는 근무 경력에 대한 상세한 증빙 등에 대한 자료 제출이 쉽지 않은 점을 감안
-        만 2년 이상의 경력이 인정되는 근기 또는 이해 해당하는 객관적 자료 제공 시
-        경력자의 연한에 관계없이 입사 2년 차에 해당하는 연차 15일을 부여 함.
-        이후 가산휴가는 입사자의 연한 증감에 비례한 규정에 따름.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직위해제 , 사직하려고 하는데 잘안되네요 2008.03.14 1222
☞직위해제 , 사직하려고 하는데 잘안되네요 2008.03.21 1017
취업규칙 내 병가관련 항목의 해석여부 2008.03.13 1433
☞취업규칙 내 병가관련 항목의 해석여부 2008.03.21 1645
1년 계약직의 육아휴직 2008.03.13 1199
☞1년 계약직의 육아휴직(계약직 근로자의 육아휴직 부여 여부) 2008.03.19 2833
회사주식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2008.03.13 615
☞회사주식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2008.03.19 421
퇴직금지급 받을수 있을까요? 2008.03.13 754
☞퇴직금지급 받을수 있을까요? 2008.03.19 513
년차수당 관련 2008.03.13 833
☞년차수당 관련(소수점으로 발생된 연차휴가 부여방법) 2008.03.19 1844
사이트상 사례에 관한 해설이 잘못된듯.(기간제 근로자의 무기근... 2008.03.13 606
☞사이트상 사례에 관한 해설이 잘못된듯.(기간제 근로자의 무기근... 2008.03.19 534
결혼으로 인해 출퇴근시간4시간소요로 퇴직결정 2008.03.13 689
☞결혼으로 인해 출퇴근시간4시간소요로 퇴직결정(실업급여 수급 ... 2008.03.19 671
유급휴일의 근무시간 2008.03.13 832
☞유급휴일의 근무시간 2008.03.19 1371
회사(노조사무실)출입 금지 2008.03.13 794
☞회사(노조사무실)출입 금지 (해고된 조합원에 대해 회사가 노조... 2008.03.16 1624
Board Pagination Prev 1 ... 2518 2519 2520 2521 2522 2523 2524 2525 2526 2527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