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소 2008.06.19 09:48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노동조합(근로자과반수를 대표하는 노동조합)과의 서면합의가 있다면 귀하가 말씀하시는 대로 특정근로일에 연차휴가를 사용토록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다만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에서 하기휴가기간이 (유급 또는 무급)휴무일,휴가일,휴일등으로 정해져 있다면 이를 근무일로 변경해야 합니다.(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절차 또는 단체협약의 변경절차) 왜나하면 근로기준법 제62조는 연차휴가의 특정근로일대체사용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휴무일,휴가일,휴일에 연차휴가를 사용하는 것은 법리상 모순이 있기 때문입니다.

2. 근로기준법 제61조에 따른 연차휴가사용촉진제도에 따른 것임에도 근로자가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않고 근로하는 경우 회사는 연차수당(연차휴가미사용유급근로수당)의 지급의무가 없습니다. 하지만 근로기준법 제62조에 따른 연차휴가 근로일 대체사용 제도는 다릅니다. 즉 통상의 연차휴가와 마찬가지로 노사간에 합의한 연차휴가사용일에 특정 근로자가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않고 근로를 제공하고 연차휴가미사용에 대한 유급보상(연차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근로기준법 제62조(유급휴가의 대체)에 따라 직원의 연차휴가 사용을
>특정시기를 지정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는지요?
>
>예를 들어
>직원 1인 평균 20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하는 경우
>연차휴가의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하계휴가 기간 7월부터 8월말까지 정하고
>이 시기 중 월 ~ 금까지 5일을 개별 기수로 나누어
>(예, 7. 7 ~ 7. 11 : 1기, 7. 14 ~ 7. 18 :2기..... 이런식으로)
>직원 전체가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지요
>물론 노동조합과 서면합의를 전제로 합니다.
>
>이럴경우
>의무적으로 사용하기로 서면합의했는데
>근로자가 휴가계획을 제출하지 않거나
>제출하지 않고 노무를 제공한 경우 어떻게 되는지요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5일제근무사업장 토요일 1시까지 근무시 수당계산은? 2 2008.07.02 2484
☞5일제근무사업장 토요일 1시까지 근무시 수당계산은? 2008.07.04 1171
아웃소싱 관련문의 입니다. 2008.07.02 1002
☞아웃소싱 관련문의 입니다.(근로자의 동의 여부) 2008.07.04 1182
병가를 내야 할지 휴직원을 내야할지 궁금합니다. 2008.07.02 2302
☞병가를 내야 할지 휴직원을 내야할지 궁금합니다. 2008.07.03 2101
퇴사처리 2008.07.02 2554
☞퇴사처리(휴직종료와 동시에 퇴사) 2008.07.03 1433
출산휴가중 월차수당 공제?? 2008.07.02 946
☞출산휴가중 월차수당 공제?? 2008.07.03 1059
☞출근일수에 따라서 지급하는 교통비의 퇴직금 포함여부 2008.07.03 2140
주40시간근무 1 2008.07.02 920
☞주40시간근무(취업규칙 열람 요구 여부) 2008.07.03 1671
☞☞주40시간근무(취업규칙 열람 요구 여부) 2008.07.03 1560
출산으로 인한 퇴직일경우 실업급여를 못받나요? 2008.07.02 1027
☞출산으로 인한 퇴직일경우 실업급여를 못받나요? 2008.07.03 1267
년차 개정전(구법) 산정시 문제점 문의 2008.07.02 1010
☞ 년차 개정전(구법) 산정시 문제점 문의 2008.07.03 1527
퇴직금 관련 문의드려요.. 2008.07.02 751
☞퇴직금 관련 문의드려요.. 2008.07.03 840
Board Pagination Prev 1 ... 2445 2446 2447 2448 2449 2450 2451 2452 2453 2454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