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hnhs 2008.12.26 09:39
안녕하세요. 년차 일수 계산에 대하여 문의 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우리회사는 경기도 화성에 위치하고 있으며 약 60여명 정도 근무를 하며, 노동조합은 없습니다.

저는 2007년도 10월 1일에 입사를 하여 계속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신입직원이기에 년차의 경우 1개월을 개근하여 1개가 발생하고 만 1년이 되면 15개가 발생한다고 관리부로부터 신입직원 교육시 말을 들었습니다.

2007년에는 입사한지 얼마되지도 않았기 때문에 년차를 사용하지도 않았습니다.
2008년도 2월부터 9월까지 월 1개씩 총 8개의 년차를 사용하였습니다.
관리부에 저의 년차 미사용 분에 대하여 어떻게 처리가 되는 것인지 문의를 했더니 저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처리된다고 합니다.
2007년도 10월 1일에 입사했으니, 2008년도 9월 30일이 되어 만 1년이 되었기에 15개의 년차가 발생했으며 이 기간동안 총 8개를 사용했기에 7개가 남았으며 이 7개를 가지고 2009년도 9월 30일까지 사용해야 한다는 말을 합니다.
이렇게 되면 저는 2년동안 15개의 년차를 사용해야 하는 건가요?
참고로 작년까지 우리 회사는 년차 계산일을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로 하여 사용하지 못한 년차 일수에 대하여서는 다음년도 1월에 수당으로 지급을 했었다고 합니다.
저도 이와 같이 된다고 생각되어졌으며 계속 관리부로부터 년차를 사용하라고 권고를 받아서 틈틈히 사용을 했었습니다.
그런데 관리부에서 원래 노동법이 입사일 기준으로 해야 한다면서 갑자기 저의 년차를 7개로 규정지어버렸습니다. 이 부분에 대하여 공지를 하거나 이렇게 하겠다는 이야기를 전혀 듣지 못하다가 갑자기 이와 같은 이야기를 듣자니 황당하기만 합니다.
기존의 2년 이상 근로자의 경우는 황당하게도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년차를 계산하고 미사용분에 대하여 수당으로 지급을 한다고 하니 더 황당할 뿐입니다.
정말로 저와 같이 계산을 하는 것이 노동법에 명시가 되어 있는지? 또한 저와 같이 신입직원들의 경우는 이와 같이 계산을 하고 2년 이상 근로자에 대하여서는 1월부터 12월을 기준으로 년차를 계산하는 것이 옳은 것인지 궁금하여 문의를 드립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금지 2009.01.13 1061
해고·징계 사직서에 관한 내용 입니다 2009.01.13 1232
임금·퇴직금 퇴직금 및 지급(5인미만 사업장의 약정퇴직금) 2009.01.13 1412
고용보험 이런경우 실업급여 탈수있나요? 2009.01.13 1715
임금·퇴직금 임금체불 2009.01.13 692
휴일·휴가 퇴직시 연가부분 2009.01.13 1875
임금·퇴직금 퇴직급여충당금 누계액 산정시 연차에 관해서 2009.01.13 4127
기타 좀더첨부합니다. 2009.01.13 873
해고·징계 어이없는 학원원장 2009.01.13 971
고용보험 프리랜서도 실업수당을 받을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2009.01.12 1462
해고·징계 연봉계약 기간 중의 해고 2009.01.12 987
비정규직 계약직 연차 계산 2009.01.12 1706
임금·퇴직금 고정비 및상여금삭제(상여금 삭감 노조동의 여부) 2009.01.12 1438
해고·징계 해고일 2009.01.12 1193
고용보험 직장과 대학겸임교수를 겸한경우 권고사직시 실업급여 2009.01.12 11992
임금·퇴직금 무급휴가 관련 문의 드립니다.(휴업수당) 2009.01.12 2269
해고·징계 조직개편을 통한 퇴사 유도 2009.01.12 2399
고용보험 임신중 퇴직, 실업급여 문의요 2009.01.09 3436
고용보험 이직후 들어간 회사의 경영상태가 의심스러워 퇴사했는데... 2009.01.09 1685
여성 모성보호/산전후 휴가급여등 2009.01.09 1353
Board Pagination Prev 1 ... 2327 2328 2329 2330 2331 2332 2333 2334 2335 2336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