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9

임금채권보장법 시행령 제5조 별표에 인정대상사업주를 판단하는 상시근로자수를 "전년도 매월 말일 현재를 기준으로" 인원을 계산하도록 하고 있는데, 전년도는 그 기준시점이 언제입니까?


답  변

  • 임금채권보장법 시행령제5조의 규정에 의한 도산등사실인정은 퇴직근로자의 도산등사실인징의 신청이 있어야만 인정여부를 판단하게 되므로, 인정대상사업주를 판단하는 상시근로자의 수도 도산등사실인정의 신청일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노동부행정해석 1999.2.25, 임금 68220 -144).
     
  • 따라서 1999년에 사실상 사업활동이 정지되었더라도 도산등사실인정을 신청한 날이 2000년이라면 전년도는 1999년이되므로 1999년도 매월 말일 현재의 인원을 해당 월 수로 나누어 계산하면 됩니다.
     
  • 즉, 사업활동을 정지한 날이 1999년 11월말이고 도산등사실인정을 신청한 날이 2000년 1월이라면 상시근로자수는 1999년 1월~11월말 현재 인원을 11로 나누어 계산하면 됩니다.
     

임금채권보장법 시행령 [별표1]

상시근로자수의 산정방법(제5조제1항 관련)

  1. 상시근로자수는 도산등사실인정 신청일이 속한 달의 직전 달 이전에 해당 사업을 한 최종 6개월(1개월 중 하루라도 사업을 한 경우 그 달을 포함한 최종 6개월을 말한다) 동안 사용한 근로자의 연인원을 같은 기간 중에 사업을 한 일수로 나눈 수로 한다.
  2. 제1호에도 불구하고 건설업의 경우에 상시근로자수를 산정하기 곤란할 때에는 다음 계산식에 따른다.
전년도 공사 실적액 ×전년도 노무비율
전년도 건설업 월평균보수 × 전년도 조업월수
  • 가. “공사실적액”이란 해당 사업주의 총 공사실적액에서 「건설산업기본법」이나 그 밖의 관계 법령에 따라 적법하게 하도급된 부분의 공사실적액을 제외한 금액을 말한다.
  • 나. “노무비율”이란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 제13조제6항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한 노무비율을 말한다.
  • 다. "건설업 월평균보수"란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 시행령 제2조제1항제3호가목 단서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하는 건설업 월평균보수를 말한다.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해당사유 사실상 도산(도산등사실인정)시 도산대지급금
사실상 도산 도산등사실인정(사실상 도산)과 처리절차
해당사유 부도, 워크아웃과 대지급금
기타 회사의 도산시 임금을 받을수 있는 방법…근로기준법에 의한 방법
간이대지급금 간이대지급금과 상한액
사실상 도산 [신청] 4) 한 사업주가 2개의 사업을 하는 경우
적용 임금채권보장법과 대지급금의 적용대상
사실상 도산 체불임금 청산 대가로 회사재산을 근로자에게 양도한 경우 도산등사실인정 여부
사실상 도산 [승인요건] 11) 사업주가 도산상태에서 새로운 회사를 차렸는데....
체당금 [사실확인] 체당금 지급청구시 노동부의 사실확인은 어떻게...
간이대지급금 간이대지급금 지급 요건
사실상 도산 [승인요건] 12) '사업을 6개월이상 행한 경우' 란?
대지급금 금액 회사가 체불임금 중 일부를 지급한 경우 대지급금(지정변제충당, 법정변제충당)
사실상 도산 [승인요건] 13) 분사된지 6개월도 안되어 도산하였는데....
체당금 [사실확인] 사업주가 도주하여 체불임금 파악이 불분명한데....
체당금 [사실확인] 노동부에서 사실관계를 확인할 수 없을 경우에는...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