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23

휴일근로시간이 주당 연장근로시간에 포함되는지 여부

근로기준법에 법정근로시간은 주당 40시간 범위내에서, 연장근로시간은 주당 12시간 범위내에서 실시하도록 되어있는데, 주간에 법정근로시간 40시간과 연장근로시간 12시간을 한 후

1) 주휴일날 8시간을 근무할 경우 주당 연장근로시간을 위반하는것인지? 또한 주당 근로시간을 위반하는 것이지?

2) 주휴일날 10시간을 할 경우 연장근로시간을 위반하는 것인지?

답변

근로기준법에서는 1주 근로시간을 40시간으로 정하고 있고(제50조), 근로자와 회사가 합의하면 1주에 12시간까지 연장근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제53조)

하지만, 이 경우 연장근로가 가능한 '1주 12시간'은 소정근로일(근로의무가 있는 날)만을 말하는 것인지, 휴일까지 포함하여 52시간을 초과한 근로까지 가능한지에 대해 근로기준법에서는 명시적인 규정이 없어 논란이 많았습니다.

그리고 노동부도 연장근로와 휴일근로를 구분하여, 휴일(일반적으로 토요일, 일요일)에 근로한 경우 이를 연장근로에 포함하지 않는다고 해석하였습니다.

  • 1주 최대 근로가능 시간은 52시간까지 라는 주장 : 52시간 = 40시간 + 12시간
  • 1주 최대 근로가능 시간은 52시간을 초과할 수 있다는 주장
    • 휴일이 1일인 경우 : 60시간 = 40시간 + 12시간+ 휴일8시간
    • 휴일이 2일인 경우 : 68시간 = 40시간 + 12시간+ 휴일16시간

1주는 휴일을 포함한 7일

하지만 2018년 근로기준법을 개정하면서 1주란 휴일을 포함한 7일(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7호)이라고 명시하면서, 1주 최대 연장근로시간은 12시간, 1주 최대 근로가능시간은 7일(1주, 휴일포함)간 52시간으로 명시하였습니다.

따라서 휴일근로를 포함하여 1주 최대 연장근로를 12시간으로 제한되었으며 법정근로시간 40시간와 연장근로 한도 12시간을 합산한 1주 최대 근로시간은 52시간으로 명확히 하였습니다.

만약, 1주(7일) 52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한 경우 법 위반에 해당하여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에 처해집니다.


관련법률

근로기준법 제2조(정의)

①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7. “1주”란 휴일을 포함한 7일을 말한다.

근로기준법 제50조(근로시간)

① 1주 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② 1일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③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근로시간을 산정하는 경우 작업을 위하여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ㆍ감독 아래에 있는 대기시간 등은 근로시간으로 본다.

근로기준법 제53조(연장 근로의 제한)

① 당사자 간에 합의하면 1주 간에 12시간을 한도로 제50조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근로시간 연장근로는 시키는데로 마냥 해야합니까? (연장근로의 제한)
» 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이 주당 연장근로시간에 포함되는지 여부
근로시간 철야근무후 다음날 대체휴무하면 임금은 유급인가요, 무급인가요? 1
근로계약 위약금을 배상하라하고 의무재직을 강요하는 경우
근로기준 도급제근로자의 근로기준은 어디까지?
근로기준 학원강사의 근로자성 인정여부와 기준
기타 일용근로자의 퇴직금 발생 여부
해고 등 해고와 권고사직은 무엇이 다른가요?
여성 생리휴가에 대해 (임신중에 생리휴가 사용이 가능합니까?)
해고 등 수습 기간 만료 후 계약해지
임금 개인연금 보조금,핸드폰 보조금이 퇴직금 계산에 포함되나요?
근로계약 새로운 회사에 고용승계된 경우 임금 등 근로조건은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나요?
임금 퇴직자의 연차휴가 정산
근로시간 근로시간의 제한 (장시간 근로 강요)
임금 하청업체 근로자의 임금을 원청회사에 청구할 수 있나?
해고 등 사직서 제출하고 철회를 요청했는데 회사가 허락하지 않아요(사직서 철회의 효력)
여성 임신했는데, 산전후휴가를 받을 수 있는지? (최근 개정내용)
임금 24시간 격일제 근로자의 최저 일급과 월급여 계산방법 2
임금 감시적 단속적 근로자의 야간수당은 어떻게 계산합니까? 1
근로기준 야간근무자가 주간에 예비군훈련을 간다면 주간임금을 받을 수 있나?
근로계약 다른 회사에 취업하지 않겠다는 취업금지 서약서는 효력이 있습니까?
연봉제 연봉에 퇴직금 포함한 후 1년미만에 퇴직한 경우, 퇴직금을 반환해야하나요?
해고 등 일괄사표제출 요구후 선별수리의 효력
근로시간 야간근로수당을 받을수 있는지요?
임금 근속수당의 통상임금 포함 여부(통상임금의 정의에서 '일률적'이라는 의미)
기타 회사가 고용보험에 가입처리 안 해주는 경우, 실업급여를 지급받는 방법
임금 일급제 근로자의 통상임금 계산방법
임금 명절 귀향여비와 여름휴가비가 퇴직금 계산시 평균임금에 포함됩니까?
근로기준 아르바이트도 경력증명서를 발급 받을 수 있나요?
기타 최고장(독촉장) 작성 방법
기타 상근 등기임원이 임기만료로 퇴직하는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근로기준 일하는 중에 사고 발생했는데, 회사에서 손해금을 월급에서 공제하겠다고 합니다.
근로기준 건강검진 비용의 부담 주체
근로시간 휴일근무중 8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도 연장근로시간의 제한(1주 12시간)을 받는지요? 1
임금 연봉제의 경우 통상임금 계산 (포괄임금계약에서 통상임금 역산) 1
근로시간 연장근로수당 청구시 연장근로 여부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는 무엇인지요?
임금 대기발령 기간 도중의 임금은 어떻게 지급됩니까?
임금 단시간근로자(아르바이트)와 통상근로자의 통상임금 산정방법
근로기준 연소자(18세미만자)의 근로기준과 조건은 어떠하나요?
근로기준 간부직 관리자에게 연장근로수당이나 휴일근로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지요?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