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10

항상 빠르고 정확한 답변 감사합니다.

임금채권보장법으로 급여를 받게 되는 경우 사장은 어떠한 책임을 지게 되는 것인가요??

사장이 지금 개인 워크아웃을 신청한 상태로 아무래도 설득을 하려면 어떠한 책임을 진다 정확히 이야기를
해줘야 할 것 같은데 금전적인 책임도 있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체당금설명을 읽었지만 어려워 잘 이해가^^)

또한 회사가 병역 특례기업이여서 사장은 손을 떼고 사업이 유지가 안되는 상황이지만 거기 남은 사람들이
지금 남은 복무기간이 얼마 남지 않아 자신들의 사비를 털어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실상 도산 상태이고 사장도 손을 떼고 다른 회사에 다니고있는 상황이지만 제가 체당금 신청을
할 경우에 지금 사무실을 폐업 해야 한다던가 해서 지금 어쩔수 없이 복무기간 때문에 운영을 하고 있는 사람들
에게 피해가 가진 않을까요?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해설 '1'

  • 노동OK 2009.08.27 00:37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임금채권보장법에 의해 도산회사의 근로자에게 국가가 체당금을 지급되면(노동부의 확인을 거쳐근로복지공단이 지급) 그 지급금액의 한도내에서 사업주에 대한 근로자의 지지급 임금등의 청구권을 대위하게 됩니다.(임금채권보장법 제7조 제1항) 즉, 근로자가 사업주에게 갖는 임금청구권을 국가(국가를 대신한 근로복지공단)가 대신 갖게 되며, 국가는 근로자에게 체당금을 지급한 만큼 사업주에게 구상권을 갖습니다.

    2. 국가(근로복지공단)가 행사하는 대위권의 상대방은 근로자에게 직접 임금지급의무가 있는 사업주입니다. 따라서 근로복지공단이 근로자에게 체당금을 지급한 때에는 사업주에게 재산관계를 명시한 재산목록의 제출을 명령할 수 있습니다. (임금채권보장법 제12조 제1항)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재산관계 명시명령을 받은 사업주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7일이내에 근로복지공단에 재산관계를 명시한 재산목록을 제출하여야 합니다.(임금채권보장법 제12조 제2항) 이때 사업주가 재산목록에 기재할 재산은 다음과 같은 것들입니다.
    - 부동산의 소유권,지상권,전세권,임차권 및 부동산에 관한 권리리전청구권
    - 등시 또는 등록의 대상이 되는 자동차,건설기계,선박의 소유권과 그에 관한 권리이전청구권
    - 광업권, 어업권 기타 부동산에 관한 규정이 준용되는 권리 및 권리이전청구권
    - 질권,저당권 등 담보물권에 의하여 담보되는 채권

    3. 사업주로부터 위와같은 재산목록을 제출받은 근로복지공단은 파악된 사업주의 재산을 대상으로 민사상절차를 밟아 변제받는 절차를 밟게 됩니다. 사업주가 개인워크아웃 상태라면 사업주 이름의 재산이 없는 경우이므로 개인워크아웃제도가 갖는 절차와 방법 등에 따라 근로복지공단에 대한 채무상환 역시 면제,연기처리 될 것으로 보입니다.(이는 워크아웃 담당기관에 문의하심이 좋겠습니다.)

    4. 도산등사실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사업이 폐지되었을 것' 또는 '사업이 폐지과정에 있을 것'이라는 요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여기서 '사업의 폐지'란 사업장이 폐쇄되고 근로자 전원(청산활동을 위해 필요한 인원은 제외)이 해고됨에 따라 사업본래의 활동이 정지된 경우를 말합니다. 개인기업에 있어서는 도산후 사업주가 생계유지를 위해 단독으로 종전과 동일한 사업을 행하는 경우도 있지만, 도산전후로 근로자 전원을 해고하고 생필품을 제외한 전재산을 처분한 경우라면 '사업의 폐지'로 처리합니다.  하지만 사업주가 사업을 폐지하고 근로자를 해고하고자 하마에도 불구하고 근로자들이 사실상 조업활동을 계속하는 경우(이를 '근로자 자주생산관리'라고 함)에는 사업주의 지휘관리하에 있는 사업활동이 아니므로 '사업의 폐지'로 처리합니다.

    체당금문제와 관련해서 보다 자세한 상담이나 자문이 필요하시다면 저희 한국노총 부천지부 노동법률센터 박문배 공인노무사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011-201-0323 한국노총 부천지부 노동법률센터 공인노무사 박문배. 안타깝게도 현행 임금채권보장법에서 정한 체당금제도는 워낙 제도 자체가 복잡하고 요건도 까다로워서 근로자 개인이 처리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필요한 자문 등을 요청하시면 쉽고 간단하게 자문해주시리라 믿습니다.

    직장인들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근로계약 직장을 옮기고자 하는데 회사에서 방해합니다.
기타 진정서 작성 방법 (체불임금)
근로기준 질병자에 대한 강제 휴직(질병휴직) 처리를 할 수 있나요?
해고 등 징계 준비를 위해 대기발령을 하는 것이 정당한지요?
근로시간 철야근무후 다음날 대체휴무하면 임금은 유급인가요, 무급인가요? 1
임금 철야후 다음 날까지 계속근무한 경우 연장근로수당은?
» 임금 체당금믈 받는 경우 사업주의 책임은? ('임금채권 대위'의 의미) 1
임금 체불임금 신고하는 것이 부담스럽습니다.
임금 체불임금 지연이자의 근로소득 여부
임금 체불임금을 입증할 증거가 없어요
임금 체불임금을 청구하자 회사에서 재직중 과다 지급된 임금을 공제한다고 합니다.
기타 최고장(독촉장) 작성 방법
여성 출산으로 인한 권고사직과 출산휴가 도중 사직처리
여성 출산일이후에만 출산휴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1
여성 출산휴가 90일중 일부만 사용한 경우,산전후휴가급여는? 1
여성 출산휴가 사용시 연차휴가 출근율
여성 출산휴가 와 육아휴직을 사용한 후의 퇴직금은? 1
여성 출산휴가 중 회사분할로 인한 퇴직 (고용승계되는 경우 출산휴가급여의 처리) 1
해고 등 출산휴가기간중 중대한 비위사실이 발견된 경우에도, 해고할 수 없나요?
여성 출산휴가는 언제부터 시작할 수 있는지요? 1
여성 출산휴가를 끝내고 복직 1주후 퇴직한다면 퇴직금 정산은? 1
여성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회사가 허락하지 않습니다.
여성 출산휴가후 복직시 부당한 부서이동 어떻게 하나요?
근로시간 출장 업무(사업장 밖 근무) 종료 후 현지 숙박시설 취침시간은 근로시간인지요?
근로시간 출장업무 수행 중 연장수당을 청구할 수 있는지요? (간주근로시간제도)
임금 출퇴근보조비,차량유지비,유류대 임금 여부와 삭감
근로계약 취업규칙 변경 동의 여부를 노사협의회에서 근로자에게 일괄적으로 받으면 효력이 있는지요?
근로계약 취업규칙 불이익변경이 무효인 경우, 개정 취업규칙의 적용대상은?
연봉제 취업규칙에서 정해진 연봉제도를 지금보다 불이익하게 변경하는 경우
근로기준 취업규칙을 불이익변경하는 경우, 노사협의회 근로자위원이 동의권이 있나요?
근로계약 취업규칙의 개정을 통한 근로조건의 변경은 어떤 방법으로 가능한가?
근로기준 카페 알바인데, 최저임금법 위반 사업장입니다!
근로계약 통상근로에서 교대제근로로 전환하는 경우 취업규칙을 개정해야 하는지요?
임금 통상임금에 대한 노동부와 법원 차이(상여금 근속수당 식대)
임금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수당은?
임금 통상임금이란? (정의와 계산법) file
임금 퇴직금 중간정산 이후 연차휴가, 상여금, 승진을 위한 계속근로기간은?
여성 퇴직금 중간정산과 생리휴가
연봉제 퇴직금을 연봉에 포함하고 12로 분할하여 지급, 그 효력은?
기타 퇴직을 했는데, 자격증을 돌려주지 않고 퇴직처리도 하지 않습니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