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대법원, "노조와 합의한 무급휴직 거부자 정리해고 정당"

매일경제 2002.9.6

구조조정 과정에서 노사가 해고 회피노력의 하나로 합의한 무급휴직 제의에 불응해 해고됐다면 이는 정당한 정리해고라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1부(주심 박재윤 대법관)는 5일 ㈜하이닉스반도체(옛 현대전자)가 이모씨 등 전직사원 3명의 해고에 대해 재심판정을 내린 것은 부당하다며 중앙노동위원회위원장을 상대로 낸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청구소송에서 원고승소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잉여인력에 대해 전환배치를 우선 추진하고 불가피한 경우 무급휴직을 실시한다는 노사합의에 비춰 사측의 무급휴직 제의까지 거부한 이씨등의 경우 정리해고 자체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재판부는 또 "사측이 수차례에 걸쳐 노동조합과 해고회피 방안 및 구조조정 전반에 대해 성실합 협의를 한 만큼 요건을 갖추지 못한 정리해고라는 피고의 주장은 이유없다"고 덧붙였다.

하이닉스반도체는 지난 98년 구조조정 과정에서 해고된 이씨 등이 신청한 부당해고구제 재심판정이 중앙노동위원회에 의해 받아들여지자 이에 불복, 소송을 제기했다.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근로기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판단 기준
근로기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판단 기준
근로기준 근로관계 자동소멸이 아닌 당연퇴직사유에 따른 퇴직의 법적 성질(해고) 및 당연퇴직사유 해석 기준
근로기준 근로계약을 취소하더라도 그 효력은 소급적용되지 않는다.
근로기준 근로계약을 반복체결하는 경우 공백기간에도 계속근로관계가 인정될 수 있다
근로기준 근로계약기간이 단지 형식에 불과한 무기계약직에 대한 계약기간 만료통지는 해고이다.
근로기준 근로계약 불이행에 대한 위약금 또는 손해배상액을 예정하는 계약의 의미와 효력
비정규직 근로계약 갱신 기대권이 인정되는 상황에서 재계약 갱신을 거절하였다면 부당해고
기타 국민연금 보험료를 임의로 납부하지 않을 권리는 없다.
근로기준 국민연금 근로자 부담분을 원천공제한 뒤 납부하지 않았다면 업무상 횡령
비정규직 국가중요시설을 경비하는 용역업체 특수경비원들이 시설주의 관리·감독을 받았다는 사실만으로는 근로자파견관계에 있다고 보기 어렵다
노동조합 국가가 노동조합법에서 정한 사용자에 해당하는지 여부
» 근로기준 구조조정 과정에서 노조와 합의한 무급휴직 거부자를 정리해고한 것은 정당
노동조합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 거부 해태는 부당노동행위
노동조합 과장급 직원이 노조법에서 정한 비조합원에 해당하는지 여부
근로기준 과도하게 장기간 설정된 대기발령은 무효
근로기준 공사가 일시 중지된 경우 일용직 근로자에 대한 근로관계가 소멸하는지 여부
근로기준 공공기관의 경영평가성과급은 평균임금에 포함된다
근로기준 고정시간외수당(고정OT수당)은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는다 file
근로기준 고용안정협약에 반하는 정리해고의 효력
근로기준 계열사 동시 정리해고 가능하다(긴박한 경영상의 필요성 판단방법)
비정규직 계약직근로가 형식에 불과하다면, 정당한 사유 없는 갱신계약 거절은 무효
기타 계약직 근로자가 재임용 제외조치의 유효 여부를 다툴 법률상 이익을 가지는 경우
근로기준 계약만료와 동시에 갱신하거나 반복계약하였다면 기간을 모두 합산해야
비정규직 계약기간을 반복갱신하는 경우, 갱신기대권이 인정되는지 여부의 판단 기준
근로기준 계속적 정기적으로 지급된 능률성과급은 임금에 해당한다
근로기준 경영평가성과급을 평균임금에 포함시키는 사례
근로기준 경영주체 변경에 불과하다면 퇴직금 산정시 근속연수를 합산해야
근로기준 경영악화로 입사취소하면 정당한 정리해고이지만, 임금은 지급해야
근로기준 경영상 휴업은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휴직에 해당하는 불이익처분이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