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28

통화불의 원칙

임금 지급 원칙의 하나이다. 통화 지급의 원칙이라고도 한다. 사용자는 임금을 통화로 지급하여야 한다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근로기준법 제43조 제1항).

현금이 아닌 현물로 임금을 지급하는 경우에는 그 가격의 불안정, 현금으로 바꾸는 불편, 재고품의 처리 등에서 오는 근로자의 불이익을 해소하려는 데 그 취지가 있다. 

다만 법령이나 단체협약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임금의 일부를 통화 이외의 현물로 지급할 수도 있다..(근로기준법 제43조 제1항 단서)


관련 정보


관련 법률

근로기준법 제43조(임금 지급)

① 임금은 통화(通貨)로 직접 근로자에게 그 전액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법령 또는 단체협약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임금의 일부를 공제하거나 통화 이외의 것으로 지급할 수 있다.
② 임금은 매월 1회 이상 일정한 날짜를 정하여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임시로 지급하는 임금, 수당, 그 밖에 이에 준하는 것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임금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최저임금 적용
봉사료
사용자단체
비상시 임금지불
체당금, 대지급금
클로즈드샵
도급근로자의 임금보장
장해급여
특수고용 노동자
노동조합 설립신고증
최고보상 최저보상
단체교섭
주휴2일제
» 통화불의 원칙
불법대체근로
출산휴가
산재보험급여 결정에 대한 이의제기
퇴직금
평균임금
해고수당
중간착취
연차휴가, 연차유급휴가
휴업수당
임금보전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총회 소집권자의 지명요청
무노동무임금
임금채권 우선변제
노조전임자
평화의무
연장근로
단체교섭 권한 위임
산재보험급여 수급권의 보호
연차수당, 연차유급휴가 근로수당
단체협약 해석 또는 이행방법 견해 제시 요청
자동갱신과 자동연장
노동조합 임원
직권중재
임금피크제 보전수당
상병보상연금
퇴직연금
파견업무
단체협약의 해지
지배·개입
제척기간
단체협약의 지역적 구속력
노동조합의 총회
해고의 효력을 다투는 자
사용증명서
부당해고 금전보상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