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한솔 2010.05.27 16:12

미지급 연차수당 지급 관련 문의드립니다.

주 40시간 근무 사업장이며, 입사일 기준으로 연차일을 산정하고 있습니다.

최근 퇴직한 인원의 미지급 연차를 산정함에 있어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

입사일 : 2003년 12월 1일

퇴사일 : 2010년 3월 29일

이며, 연차 수당은 지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퇴사와 동시에 미사용 연차에 대한 청구를 하게 되어 연차를 산정하는데 여기서 질문은, 아래 예문중 어떠한 방식으로 산정을 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예문 1) 입사일 기준 퇴직한 해의 이전 3년 기간

2007. 12. 01 ~ 2008. 11. 30 

2008. 12. 01 ~ 2009. 11. 30 

2009. 12. 01 ~ 2010. 03. 29 

 

예문2) 퇴직일 기준 이전 3년 기간

2007. 03. 30 ~ 2008. 03. 29

2008. 03. 30 ~ 2009. 03. 29

2009. 03. 30 ~ 2010. 03. 29

 

위와 같이 연차를 산정할시 예문 1)은 잔여 연차일에 대한 산정이 정확히 떨어지는 반면, 예문 2)의 경우 입사일 기준으로 했을때 기간 산정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2007. 03. 30 ~ 2008. 03. 29 의 경우 이전 2006. 12. 01 ~ 2007. 11. 30 의 기간과 2007. 12. 01 ~ 2008. 11. 30 의 기간동안의 미사용연차를 합해야 되는지 아니면 위 예문이 잘못된 방식이라면 다른 방법으로 산정을 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건설업
상시근로자수 300인이상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0.05.28 11:17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귀하가 소개하신 사례를 바탕으로 입사일 기준으로 연차휴가 및 수당을 산정한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단 개정근로기준법(개정 연차휴가제도)의 적용기준일은 300~1000미만 사업장이므로 2005.7.1.을 기준으로 합니다.

     

    1) 2003.12.1~2004.11.30.기간에 대해 : 2004.12.1~2005.11.30까지 1년간 10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고 기간중에 전혀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했다면, 2005.12.1.에 10일의 연차수당 청구권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임금채권 소멸시효(청구권이 발생한 날로부터 3년)가 2008.11.30.에 완성되어 청구권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2) 2004.12.1~2005.11.30.기간에 대해 : 2005.12.1~2006.11.30까지 1년간 11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고 기간중에 전혀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했다면, 2006.12.1.에 11일의 연차수당 청구권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임금채권 소멸시효(청구권이 발생한 날로부터 3년)가 2009.11.30.에 완성되어 청구권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3) 2005.12.1~2006.11.30.기간에 대해 : 2006.12.1~2007.11.30까지 1년간 12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고 기간중에 전혀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했다면, 2007.12.1.에 12일의 연차수당 청구권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임금채권 소멸시효(청구권이 발생한 날로부터 3년)가 2010.11.30.에 완성되므로 2010.5월 현재 청구권이 인정됩니다.

     

    4) 2006.12.1~2007.11.30.기간에 대해 : 2007.12.1~2008.11.30까지 1년간 16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고 기간중에 전혀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했다면, 2008.12.1.에 12일의 연차수당 청구권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임금채권 소멸시효(청구권이 발생한 날로부터 3년)가 2011.11.30.에 완성되므로 2010.5월 현재 청구권이 인정됩니다.

     

    5) 2007.12.1~2008.11.30.기간에 대해 : 2008.12.1~2009.11.30까지 1년간 17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고 기간중에 전혀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했다면, 2009.12.1.에 17일의 연차수당 청구권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임금채권 소멸시효(청구권이 발생한 날로부터 3년)가 2012.11.30.에 완성되므로 2010.5월 현재 청구권이 인정됩니다.

     

    6) 2008.12.1~2009.11.30.기간에 대해 : 2009.12.1~2010.3.29 퇴직일까지 1년간 17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고 기간중에 전혀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했다면, 퇴직일 다음날인 20103.30.에 17일의 연차수당 청구권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임금채권 소멸시효(청구권이 발생한 날로부터 3년)가 2013.11.30.에 완성되므로 2010.5월 현재 청구권이 인정됩니다.

     

    7) 2009.12.1~2010.3.29 퇴직일까지 기간에 대해서는 계속근로연수가 1년미만이므로 연차휴가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참고로 연차수당의 기준액은 해당 연차휴가를 마지막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월의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합니다. 이와관련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 링크된 곳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nodong.kr/403276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산업재해 휴게시간(점심시간) 중 사고 발생시 휴가 처리 문제에 대하여 1 2010.05.27 4368
근로시간 연장,야간근로시간 1 2010.05.27 2344
근로시간 유급인정 시간 1 2010.05.27 2538
기타 직장내 성희롱 그 책임은 어디까지 인가요? 1 2010.05.27 2485
해고·징계 현재 임신 6개월 구두로 정리해고 통보를 받았습니다. 1 2010.05.27 3096
» 임금·퇴직금 퇴직시 발생하는 미지급 연차일 산정에 관하여 1 2010.05.27 3062
임금·퇴직금 무급휴일 처리시 제수당 지급 여부 1 2010.05.27 2665
임금·퇴직금 임금체불 문의입니다. 1 2010.05.27 1418
임금·퇴직금 퇴직금 문제로 다시 한번 상담을 좀 .. 하고싶어서요 1 2010.05.28 2507
고용보험 궁금합니다. 1 2010.05.28 1448
기타 ... 1 2010.05.28 1457
임금·퇴직금 퇴직금 문제로 다시 한번 문의드립니다. 1 2010.05.28 1992
임금·퇴직금 연차수당 계산 1 2010.05.28 2180
임금·퇴직금 통상임금 1 2010.05.28 1944
해고·징계 실업급여&해고수당 받을 수 없을까요? 1 2010.05.28 5354
휴일·휴가 연차발생 관련 1 2010.05.28 2129
임금·퇴직금 6.2지방선거일 근무 시 수당지급여부 1 2010.05.28 5769
임금·퇴직금 일용근로자의 주차 관련 1 2010.05.28 2873
임금·퇴직금 로테이션 1 2010.05.28 1722
임금·퇴직금 주차수당지급 관련 1 2010.05.29 4530
Board Pagination Prev 1 ... 3707 3708 3709 3710 3711 3712 3713 3714 3715 3716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