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jou918 2010.06.11 09:36

안녕하세요~

회사에 시급제 정직원분들이 계십니다.

저희는 법인이고요

지금 저희는 44시간제로 하고있는데요 연장근무하는시간은 1.5로다 쳐드리고 있고요

그런데 시급제는 말대로 자기가 일한 시간만큼 임금을 책정을 하는건데

일욜일 주휴수당도 드리야 하는지요?

일요일은 법적으로 근로자에게 유급휴일이 되어있잖아요

 일을하던안하던 기본적으로 주휴수당을 쳐드려야 하는지요

 

아니면 정말로 일한 만큼 지급을 하는건가요

 

아니면 회사 사규로 정하면은 되는지요?

 

만약 주휴수당이 지급이 된다면

1주일에 하루 결근 하였다면 2일분을 공제하나요??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부산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0.06.11 09:56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급여체계가 시급제인 근로자라도 일급제, 월급제, 연봉제 급여체계의 근로자와 마찬가지로 1주간의 소정근로일(44시간사업장으로서 토요일을 근무일로 정한 경우 월~토요일)에 개근한 경우에는 1일의 "유급"주휴일을 부여하여야 합니다. 유급휴일이란, 비록 근로를 하지는 않았지만 근로하였으면 지급받았을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만, 해당 근로자가 시급제근로자로서 1주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미만인 경우에는 유급주휴일을 부여하지 않더라도 위법하지 않습니다. 즉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이상 근무하기로 약정한 경우라면 1주간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경우 유급주휴일을 부여해야 합니다.

    파트타이머(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은 어떻게 하나요?

     

    물론, 1주간의 소정근로근로시간이 15시간이상인 경우 여부와 관계없이 1주간의 소정근로일수를 개근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유급주휴일이 발생하지 않으며(=무급주휴일이 발생하며), 결근일 당일에 대해서는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다고 하여 위법한 것은 아닙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연차유급휴가에 관하여 1 2010.06.29 1366
산업재해 근골격계질환 이란? 1 2010.06.29 2270
근로계약 근로계약에 관한 질문입니다. 1 2010.06.29 1421
임금·퇴직금 연차수당 지급건에 관해서... 1 2010.06.29 1378
해고·징계 사유 1 2010.06.28 1880
근로계약 연봉계약에 관한 질문입니다. 1 2010.06.28 1414
노동조합 노조설립신고시 처리 행정기관 (단위노조 해석) 1 2010.06.28 1792
임금·퇴직금 퇴직급 자동 계산과 관련하여 1 2010.06.28 1752
임금·퇴직금 월급여환산 1 2010.06.28 2557
기타 근로시간면제자 임금관련 질의 1 2010.06.28 4089
임금·퇴직금 휴일근로수당?? 1 2010.06.28 1577
임금·퇴직금 올해부터 적용된다는 5인미만 사업장의 퇴직금제도에 대해 2 2010.06.28 2508
여성 산전후휴가와 유아휴직 1 2010.06.28 2458
비정규직 제가 비정규직에 계약직에 속하는건가여? 1 2010.06.28 1576
임금·퇴직금 비정규직 퇴직금 1 2010.06.28 2578
고용보험 회사이전으로 인한 퇴사시 실업급여 1 2010.06.26 3895
노동조합 건설현장 기능공 복수노조 가입범위 1 2010.06.26 2641
임금·퇴직금 급여지급 1 2010.06.25 1008
임금·퇴직금 주휴일수당이 퇴직금에 포함이 되는건가요? 1 2010.06.25 4366
해고·징계 부당해고시 사측에 어떻게 요구해야 할까요? 1 2010.06.25 4895
Board Pagination Prev 1 ... 2135 2136 2137 2138 2139 2140 2141 2142 2143 2144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