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spring 2010.11.10 10:50

수고 많으십니다

 

1. 최초계약  2009.9.1~2010.8.31(1년) (연가4일사용)

2. 연장계약 2010.9.1~2010.8.31 (1년) (최초계약기간중에 미상용분 연가 11일 사용가능)

 

 2번의 기간 동안 사용가능한 연가일수는 1번의 기간동안 사용한 4일을 제외하고 11일 입니다.

 

그런데 제가 사정이 생겨서 2009.9.1-2010.8.31근로로  발생한  11일의 연가와

2010.9.1-2010.8.31근로로 발생될  15일의 연가중 5일을 미리 사용하고자(총16일) 하는데  이렇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합니까?

(회사에서 말하길 이미 계속근로기간이 1년을 넘었기 때문에 1년간 8할이상 근로해야 15일이 발생되므로 오늘현재(2010.11.10)기준으로는 8할이 안되므로  8할이 되는 시점인 내년 5월18일 이후가 되야  2010.9.1-2010.8.31동안 발생될 15일의 연가를 사용할수 있다고 합니다. )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부산
회사 업종 교육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50~9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0.11.23 10:55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연차휴가를 개별 근로자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산정할 경우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2009.9.1.-2010.8.31. 출근율에 의해 2010.9.1. 연차휴가 15일 발생, 2011.8.31.까지 사용후 미사용한 일수에 대해 2011.9.1. 수당 지급
    2010.9.1.-2011.8.31. 출근율에 의해 2011.9.1. 연차휴가 15일 발생, 2012.8.31.까지 사용후 미사용한 일수에 대해 2012.9.1. 수당 지급

     2011.9.1.에 발생될 연차휴가를 미리 선부여를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동의가 있어야 하며 사용자가 선부여를 하지 않더라도 법위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연차휴가는 1년간 근무한 근로자의 출근율을 기준으로 일수를 산정하게 되며 출근율 8할 이상의 의미는 재직기간이 8할 이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1년 근무한 상황에서 결근율이 2할 미만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엄밀히 말해 귀하가 8할 이상 근속을 하였다 하더라도 연차휴가가 발생되는 것이 아니며 만1년을 근속 후 결근율이 2할 미만일 때 발생하게 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근로시간 연월차 문의 및 근로시간요. 1 2010.11.18 1521
기타 무급휴무 1 2010.11.18 3516
기타 다른 법인에 피합병 시 처리해야 되는 일은 뭔가요? 1 2010.11.18 2177
휴일·휴가 발생 연차 갯수는 몇 개 입니까? 1 2010.11.18 3598
고용보험 학원강사 실업급여 관련 질문드립니다. 1 2010.11.18 5833
임금·퇴직금 퇴직금 산정시 어느시점의 연차수당이 산입되는지 문의드립니다. 1 2010.11.18 1793
산업재해 회사 야유회 일정 후 술을 마신뒤 귀가도중 의 사고발생. 3 2010.11.18 2873
임금·퇴직금 연봉제에서 사용한 연차유급휴가에 대한 수당을 급여에서 공제할 ... 1 2010.11.18 4137
해고·징계 사직관련 문의드립니다. 2 2010.11.18 2345
휴일·휴가 연월차 2 2010.11.18 1364
고용보험 실업급여 관련 하여 본인이 못 받을 경우 대리인이 받을 수 있는... 2 2010.11.18 2997
비정규직 연봉제 계약직 미 사용 연차휴가 수당 지급이 궁금해요 1 2010.11.17 4133
휴일·휴가 년차휴가 1 2010.11.17 1719
임금·퇴직금 연도중 사망 퇴직자의 연차유급수당에 관해서 2 2010.11.17 2866
근로계약 정년퇴직후 계약직으로 근로계약 변경에 따른 절차 1 2010.11.17 10301
해고·징계 해고수당,실업급여 받을 수 있는지요 1 2010.11.17 1885
기타 사용자의 예금통장을 압류,추심하려는데? 1 2010.11.17 9757
임금·퇴직금 월급을못받았습니다. 1 2010.11.16 1753
해고·징계 영업직으로 전환되었는데 퇴사해야 할 것 같습니다 1 2010.11.16 2687
고용보험 인터넷 온라인 설문조사 패널 참석시 실업급여 부정수급 여부 1 2010.11.16 4273
Board Pagination Prev 1 ... 2074 2075 2076 2077 2078 2079 2080 2081 2082 2083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