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티스트 2011.03.05 08:37

1.휴일 8시간근무인 경우 : 근로제공 당연분 임금(8시간 * 100%) + 휴일근로 가산임금(8시간*50%)

제가 앞서 올렸던 상담글의 답변 중 일부인데요. 기본임금에 포함된 휴일유급이 생략되어 있는 건가요? 그러니까

휴일 8시간근무인 경우 : (기본임금에 포함된 만근한 주의 휴일급여100%) + 근로제공 당연분 임금(8시간 * 100%) + 휴일근로 가산임금(8시간*50%)

아니면 근로제공 당연분 임금 = 기본임금에 포함된 만근한 주의 휴일급여100%  즉, 같은 개념인가요?

 

2. 회사의 일방적인 퇴직금 중산정산은 위법이며 무효화될 수 있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저희 회사는 중간 정산 시 근로자에게 퇴직금 수령증을 받는데 그 내용이 "상기인 000은 퇴직금을 중간 정산하여 수령하였으며 잔여 퇴직금이 없음을 정히 확인함" (중간 정산 금액, 지급일, 자필 신상 내용 기재, 자필 서명) 입니다. 이 자필 수령증의 법적 효력은 어떻습니까?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제주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생산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1.03.05 11:33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휴일 8시간근무인 경우 : 근로제공 당연분 임금(8시간 * 100%) + 휴일근로 가산임금(8시간*50%)

    제가 앞서 올렸던 상담글의 답변 중 일부인데요. 기본임금에 포함된 휴일유급이 생략되어 있는 건가요? 그러니까

    휴일 8시간근무인 경우 : (기본임금에 포함된 만근한 주의 휴일급여100%) + 근로제공 당연분 임금(8시간 * 100%) + 휴일근로 가산임금(8시간*50%)

    아니면 근로제공 당연분 임금 = 기본임금에 포함된 만근한 주의 휴일급여100%  즉, 같은 개념인가요?

    ==> 월급제인 근로자인 경우에는 월급여액에 유급주휴일 임금 100%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휴일근로시 임금은 [근로제공 당연분 임금(8시간 * 100%) + 휴일근로 가산임금(8시간*50%)]입니다.

    반면, 일급제인 근로자인 경우에는 유급주휴일에 대해 [주휴일임금 100%]와 함께 [근로제공 당연분 임금(8시간 * 100%) + 휴일근로 가산임금(8시간*50%)]이 함께 발생합니다.

     

    2. 회사의 일방적인 퇴직금 중산정산은 위법이며 무효화될 수 있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저희 회사는 중간 정산 시 근로자에게 퇴직금 수령증을 받는데 그 내용이 "상기인 000은 퇴직금을 중간 정산하여 수령하였으며 잔여 퇴직금이 없음을 정히 확인함" (중간 정산 금액, 지급일, 자필 신상 내용 기재, 자필 서명) 입니다. 이 자필 수령증의 법적 효력은 어떻습니까?
    ==>귀하가 말씀하신 수령증은 회사로부터 금품을 수령하였다는 영수증으로서의 효력만 인정될 수 있다고 봅니다. 회사가 돈을 지급하였는데 그것을 받았다는 사실에 대한 확인의 의미가 있으며, 수령증에 그 금품이 '퇴직금 중간정산'이라는 표시되었다고 하여 그것이 근로자의 진정한 의사에 의한 중간정산 신청이 있었다고 간주되기는 어렵습니다. 근로자가 퇴직금을 중간정산 받고자 하는 진정한 의사가 있어 서명하는 경우도 잇을 수 있지만, '사실은 중간정산받기 싫지만 회사가 요구하는 영수증에 서명하지 않는 경우 불이익이 예상될 수 있어' 서명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회사가 해당근로자의 진의아님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경우에는 영수증의 서명행위는 무효로 주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영수증 서명행위가 유효한 경우(근로자의 퇴직금을 중간정산받고자 하는 진의에 있는 경우)에는 '잔여퇴직금이 없음을 확인한다'는 문구는 효력이 있지만, 영수증 서명행위가 무효가 되는 경우(근로자가 퇴직금 중간정산을 받지 않고자 하는 생각을 회사가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경우)에는 '잔여퇴직금이 없음을 확인한다'는 문구는 효력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당사자간의 분쟁을 미리 예방하고자 한다면 중간정산전에 미리 근로자로부터 중간정산 신청서를 받고 중간정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민법 제107조(진의 아닌 의사표시)

    ①의사표시는 표의자가 진의아님을 알고한 것이라도 그 효력이 있다. 그러나 상대방이 표의자의 진의아님을 알았거나 이를 알 수 있었을 경우에는 무효로 한다.

    ②전항의 의사표시의 무효는 선의의 제삼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통상시급 산정을 위한 근로시간이 궁금합니다. 1 2011.03.22 2844
임금·퇴직금 퇴직시 연차일수 재산정여부 1 2011.03.22 1422
여성 96977 답글입니다. 이혼후 육아휴직에 관하여 1 2011.03.22 6624
임금·퇴직금 퇴사자의 임금지불기간문의 1 2011.03.22 2588
노동조합 합병과 노사협의회 근로자위원의 신분보장 1 2011.03.21 2699
기타 임금체불 등등. 1 2011.03.21 1290
여성 이혼을 하면 육아휴직을 쓸수없나요? 1 2011.03.21 8492
근로계약 수습연장 법적문제 1 2011.03.21 4176
산업재해 안전관리사 및 보건관리사 채용? 1 2011.03.21 3618
임금·퇴직금 퇴직금 급여 정산 어떻게 줘야하나요? 1 2011.03.21 1964
임금·퇴직금 월급에 포함된 퇴직금 부당이익반환 여부... 1 2011.03.21 3126
고용보험 실업급여 관련 문의 1 2011.03.21 1578
기타 교육비요; 1 2011.03.21 1320
휴일·휴가 법정휴일인 근로자의 날과 주휴일이 겹쳤을 때 1 2011.03.21 6901
기타 실업급여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1 2011.03.21 1732
근로계약 계약직 재계약시 퇴직금산정기간 1 2011.03.21 3214
근로시간 주40시간 연장근로시간 1 2011.03.21 5317
임금·퇴직금 퇴직금 중간정산시 연차수당 포함하나요? 1 2011.03.21 2299
휴일·휴가 연차수당 문의드립니다. 1 2011.03.21 1267
기타 업무상 발생한 문제에 대한 근로자의 책임범위 1 2011.03.20 1847
Board Pagination Prev 1 ...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