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풍당당 2011.06.28 16:46

안녕하세요.

 

제가 근무하던 회사는 지난 3월과 4월 사이에 투자자와의 경영권 분쟁으로 인하여

모든 근로자들이 급여나 퇴직금도 받지 못한 채 직장을 잃어버렸습니다.

 

지난 3월 23일부로 투자자 측의 이사들이 창업주이자 대표이사를 이사회를 통해 강제 해임시켰습니다.

이사회 개최일은 2월 24이며, 대표이사 해임등기 접수일은 3월 18일, 등기 완료일은 3월 23로,

실제 투자자측 대표이사가 취임한 날은 3월 23일입니다.

 

이에 해임된 원래 대표이사 자신의 회사 지분을 이용하여 3월 30일에 주주총회를 통해 투자자측 이사들을 모두 해임시키고

새로운 이사를 선임하면서 자신이 다시 대표이사로 복귀를 하였습니다.

주총일은 3월 30일, 등기 접수일은 3월 31일, 등기 완료일은 4월 4일입니다.

 

그런데 투자자측 대표이사와 투자자는 기존 대표이사가 대표이사로 복귀할 것에 대비하여 3월 31일과 4월 1일 사이에

집기, 비품, 책상, 컴퓨터, 서류 등 회사내의 모든 물품들을 외부로 반출하고 회사 문을 잠궈 직원들이 출근도 못하게 하였으며,

통장에 있던 돈도 채권회수 명목으로 모두 다른 계좌로 이체하여 버렸습니다.

 

급여일은 매월 5일이며,

3월분 급여일인 4월 5일부터 급여를 못받고 있습니다.

 

직원들은 원래 대표이사가 4월 4일부로 다시 대표이사로 복귀하자(등기부등본상은 3월 30일 취임)

4월분 임금의 지급을 요구하였으며, 이에 대표이사는 투자자측의 대표이사가 회사의 모든 자산을 가져가서 줄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이에 투자자측 대표이사에게 급여의 지급을 요구하자 현재 대표이사가 아니기 때문에 지급할 의무가 없다고 하면서 서로 책임을

전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부 직원들에 대하여는 투자자편을 들었다는 이유로 현 대표이사가 해고처리 하였습니다.)

 

이에 직원들이 다같이 노동청에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고소를 하고 법률구조공단을 통해 가압류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현 대표이사는 민사상 급여 지급의무는 법인에 있기 때문에 현대표이사인 자신에게 책임이 있는 것은 인정하나

형사상 근로기준법위반의 피고소인은 투자자측 대표이사라고 하면서 고소를 취하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취하하지 않을 경우 무고죄로 고소하겠다고도 하면서...

 

투자자측 대표이사의 재임기간이

등기부상으로는 2월 24일 ~ 3월 30일까지이나

실제로 대표이사로 근무한 기간은 3월 23일 ~ 4월 4일까지입니다.

 

그리고 급여일은 매월 5일..

 

그렇다면  누구를 상대로 근로기준법위반으로 고소를 진행해야 하는 건가요?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1.06.29 15:10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임금체불에 대한 피고소인은 법인회사의 경우 법인회사 그 자체입니다. 따라서 민사상 임금지급의 주체 및 형사상 임금체불에 대한 처벌의 대상은 법인회사 그 자체이며, 대표이사 개인에게 책임이 없습니다.

    다만, 임금체불에 대한 형사적 책임과 관련하여 대표이사에게도 그 책임이 있는 경우, 노동부에서는 임금지급일 현재 대표이상의 지위에 있는자를 선정하여 해당 대표이사에게도 형사적인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즉, 회사의 임금체불에 대해 노동부에 고소하는 경우, 특정인을 지정하여 고소할 필요는 없으며, 법인회사 그 자체를 고소하시면 되고, 노동부 근로감독관에게는 법인회사에 형사적 책임이 있는 경우 책임이 있는 대표이사(특정인이 아닌 대표이사)도 함께 처벌할 것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휴일·휴가 연차 사용 제한 1 2020.08.31 2199
근로계약 아르바이트 도중 그만둘경우에도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급여를 받... 1 2016.07.13 2253
근로계약 네일샵 근로기준법 적용 가능 1 2015.10.07 2276
근로시간 탄력근무제에서 연장근로시 수당 지급 기준 1 2022.06.11 2288
기타 포괄임금제 급여명세서 항목중 근로시간작성 문의 1 2021.10.27 2512
근로계약 근로기준법 위반 여부 1 2012.08.01 2618
임금·퇴직금 11월 19일 시행되는 포괄임금제의 급여명세서 계산식 작성 관련 문의 1 2021.11.16 2634
근로계약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자진퇴사시 실업급여 1 2021.01.14 2736
임금·퇴직금 지속적인 월급 미납 / 퇴직금 지급 불안정 / 실업급여 2 2021.03.10 2790
근로시간 반차휴가 출퇴근시간 결정 2 2018.07.03 2837
휴일·휴가 중도 입사자 연차 계산 문의 * 회계연도 기준 1 2018.01.10 2935
근로시간 휴게시간미제공으로 진정서를 넣으려고 합니다. 해당 자료가 증거... 1 2019.07.03 2981
휴일·휴가 주5일 주중휴무 스케줄 근무자 휴무일 발생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2022.11.07 3192
휴일·휴가 기간제근로자의 불리한 연가규정 적용 및 소급적용 3 2014.04.23 3213
근로계약 기숙사 사감 휴게시간 유무급, 근로기준법에 준한 야간 수당 등 1 2016.02.14 3503
» 임금·퇴직금 임금체불 관련 노동청 고소 1 2011.06.28 3692
기타 2011년 바뀌는 근로기준법등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 2010.12.14 4156
휴일·휴가 근로기준법과 취업규칙상의 휴가 기간 관련 1 2012.01.10 4712
기타 근로기준법 서적 2 2011.08.31 4773
임금·퇴직금 퇴직전 무급휴가기간이 있을때 퇴직금 산정이요.. 1 2015.09.01 495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