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 공장 직원은 260명 정도되며, 사무직 100여명, 전문직이 160여명 되며, 노조는 설립되어 있지 않습니다. 당직수당과 관련하여 평소 생각했던 의문점이 있어 이렇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현재 당 공장은 사무직사원에 한해 일당직 근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수당은 당직(야간근무)수당의 경우 평일이냐 휴일前일 이냐에 따라 일정금액(통상임금의 00%)을, 일직(휴일주간근무)수당의 경우 일정금액(통상임금의 00%)을 지급해 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일/당직 수당은 그간 몇차례 회사 사정에 따라 조정된 바 있으며, 금년에는 회사의 경영 악화에 따라 그간 지급해 오던 통상임금의 00%라는 식의 정율의 개념에서 당직근무의 특성(비상사태 등에 대비하는 노동의 밀도가 낮고 감시.단속적 근로)을 반영하여 직위 등에 따라 차별 지급되던 일/당직 수당을 직위차별없이 정액제로 전환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정액제의 적정금액은 현재의 일당직 대상자들의 평균수당으로 적용할까 합니다.

위의 일/당직 수당의 경우 사무직 일부에 한해 적용되는 사항이며, 취업규칙 등에 별도로 언급이 되어 있지는 않은 사항이며, 공장 만의 특수한 근무라 할 수 있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이렇게 일/당직 수당을 변경코자 할 때 사용자의 일방적인 변경으로 적용하여도 적법한지에 대해 묻고 싶습니다. 사실 변경적용한다 하더라도 현실상 큰 문제는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원칙적으로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 알고 싶어 문의 드립니다.

답변

당직 일직 숙직 근로에 대해

통상의 업무시간중에 당해 근로자의 주된 업무내용이 종업시간이후 계속되어지는 것을 '연장근로'라 하며 이러한 연장근로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50%의 가산임금을 추가 지급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통상의 업무시간중에 당해 근로자의 주된 업무내용이 아닌 감시,단속적근로가 종업시간이후 계속되는 것은 연장근로가 아닌 '당직 또는 일직 근무'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당직,일직근무에 대해서는 반드시 근로기준법에 따른 50%의 가산임금을 추가지급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관행화된 근로조건의 변경

사무직근로자에 한하여 일정한 기준의 당직수당을 지급하는데 이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해진 기준이 아니라 회사내부 방침 또는 결정 등에 의해 관행화되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취업규칙으로 정해진 기준이라면 당연히 근로기준법 제94조에서 정한바에 따라 불이익변경인 경우에는 근로자 과반수의 동의를 얻어야 하고, 불이익변경이 아닌 경우에는 근로자의 의견을 들어 취업규칙을 변경해야만 효력이 인정됩니다. 하지만 귀하의 경우, 취업규칙에 의해 정해진 근로조건이 아닌 경우인데, 이러한 경우에도 근로기준법 제94조에서 정한 취업규칙변경의 절차에 따라 당해 근로조건을 변경시행하여야 효력이 있으며, 회사측의 일방적인 변경만으로는 그 효력을 인정받기 어려울 것입니다.

왜냐면, 근로조건은 원칙적으로 근로계약의 당사자인 근로자와 사용자간의 합의에 의해서만 변경 가능한 것인데, 근로기준법 제94조에서는 이를 좀더 완화하여 '취업규칙에서 정한 근로조건'에 대해서는 근로자과반수이상의 동의 또는 의견청취만으로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조정했기 때문입니다.

근로기준법 제94조의 내용은 개별근로계약이 아닌 집단적 근로계약 등에 대해서는 그 변경절차를 다소 완화하고자 하는 취지입니다. 그런데, 수차례에 걸쳐 시행된 노사관행은 비록 취업규칙 등에서 명문화되어 있지 않더라도 집단적근로계약의 형태라는 것이 각종 노동부 행정해석과 법원판례등에서 강조되어온 일반적인 법리적 판단임을 비추어볼때, 노사관행에 의한 근로조건의 변경 역시 집단적 근로계약의 변경절차를 정하고 있는 근로기준법 제94조의 방법에 따라야 함은 당연합니다.


관련 정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해고 등 부당해고를 당한 경우, 구제신청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해고 등 부당해고를 당한 경우, 구제받을 수 있는 방법은 어떤 수단들이 있는가?
임금 복직하고 8개월 뒤에 퇴사할 때, 평균임금 계산시 상여금 산입방법
해고 등 보직해임하고 일정기간 경과 후 해고하는 것이 정당한지요?
근로시간 보궐선거 투표시간 유급처리 여부
임금 법내연장근로의 경우 연장수당의 지급의무 여부는?
기타 민사조정제도란 무엇인가요?
근로시간 민방위, 예비군훈련이 끝나고 회사에 돌아가야 하나요? (공의 직무)
해고 등 무조건 일괄사직서 제출 후 선별수리한다는데..
해고 등 무작정 정리해고가 가능합니까? (정리해고의 요건과 절차)
임금 명절상여금 지급제한 규정의 효력(지급일 현재 퇴직자에 대한 상여금 지급 여부)
임금 명절 귀향여비와 여름휴가비가 퇴직금 계산시 평균임금에 포함됩니까?
임금 매월 지급되는 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 여부
임금 매월 정액으로 지급되는 연장수당의 통상임금 포함여부
임금 매월 일정일 이상 근무자에게만 지급되는 근속수당이 통상임금에 포함되는지요?
근로계약 동종업계로의 취업금지 계약서의 효력 (영업비밀의 보호)
근로계약 동의서에 근로자들이 연명한 취업규칙 개정의 효력
근로기준 도급제근로자의 근로기준은 어디까지?
근로기준 대기발령에 따른 임금저하와 퇴직금,연차수당 등
임금 대기발령 기간 도중의 임금은 어떻게 지급됩니까?
» 근로계약 당직수당제도를 변경하려고 하는데 절차는 어떻게 하는지요? (관행화된 근로조건의 변경)
근로시간 당직근무에 대해 시간외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임금 당직근무시 시간외수당을 청구할 수 있나요?
근로시간 당직근무 인지요? 연장근무 인지요? (당직,일직,숙직과 연장근로의 구분)
임금 단시간근로자(아르바이트)와 통상근로자의 통상임금 산정방법
근로계약 단기 근로계약이 반복 갱신된 경우 계속근로년수의 산정은?
근로계약 다른 회사에 취업하지 않겠다는 취업금지 서약서는 효력이 있습니까?
근로시간 농림연구사업 보조 직무자도 근로시간을 적용받지 않는지요? (농림사업 근로시간 적용 예외 판단...
해고 등 노조활동에 열성인 정규직 근로자를 계약기간 만료라고 해고했어요
근로기준 노동법보다 나은 기존의 근로조건을 마음대로 낮출 수 있는지요?
여성 남녀가 호봉적용을 달리하는 것이 타당한지
임금 기본급이 소급인상되면 수당도 함께 인상되나요?
임금 기본급이 소급인상되되면, 상여금도 같이 소급인상되는 것입니까?
임금 급여계산시 일할계산 방법
임금 근속수당의 통상임금 포함 여부(통상임금의 정의에서 '일률적'이라는 의미)
임금 근속수당의 통상임금 산입 여부는?
근로계약 근로조건의 명시와 근로계약서 교부 의무화
해고 등 근로자의 잘못을 이유로 한 해고의 정당성
해고 등 근로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전직,전근명령을 할 수 있나 ?
근로기준 근로자의 동의 없이 사무실 내부에 cctv 설치 하였을 경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