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8

실적에 따른 보수만을 지급받는 채권추심원의 근로자 여부

저는  S사 계약직으로 전문직 근무자로 4년간 근무후 퇴직하였습니다. 처음 근무직은 영업직으로 차량대출 업무였으며 4년 전부터 채권추심업무로 변경하였습니다 .보증보험 증권으로 계약은 1년연장으로 4년근무 하였습니다.

급여는 평균 400만원으로 일하였으며 퇴직시에는 퇴사 강요에 의한 스트레스 및  추심시 업무분량이 없어 급여에도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여 퇴사하게 되었습니다.

근무시간은 오전7시40분 출근 오후10시경 퇴근하였으며 부진 사원은 휴일근무도 하였습니다.

채권추심 전문계약직으로 근무하여 퇴직금은 지급이 안된다고 회사에서 답변하더군요. 1년씩 계약연장으로 4년 근무하였는데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 합니다.

답변

귀하가 퇴직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는 결국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로 인정되는지 아닌지에 따라 달라지빈다.

그런데, 채권추심원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해 대법원은 회사와 채권추심원간의 근로계약이나 근로 제공 형태에 따라 판단을 각각 다르게 하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회사와 채권추심원이 채권추심 업무 위임 계약을 체결하고 회사가 지시한 추심회수활동 및 회수금의 수금 및 이에 수반한 업무를 대행하면서, 근무기간 동안 채권추심업무 수행을 위하여 자신이 제공한 근로의 내용이나 시간과는 관계없이 오로지 채권회수 실적에 따른 성과수수료만을 지급받았을 뿐 고정 급여를 지급받지 않으며, 채권추심원이 지급받은 성과수수료는 기간별로 큰 차이를 보일 뿐만 아니라, 회사에 종속되어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지휘 감독을 받으며 업무에 전념하였다고 보기에는 그 액수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대법원 2009. 5. 14. 선고 2009다6998)

반면, 근로계약이 아닌 채권추심업무 위탁계약을 체결하였더라도 계약내용에 통상의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취업규칙을 갈음할 만한 사항이 다수 포함되고 징계해고나 정리해고 사유에 상응하는 사유들이 계약해지 사유로 된 경우에는 종속적인 관계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로 인정한 경우도 있습니다. (대법원 2010. 4. 15. 선고 2009다99396)

최근의 대법원 판결은 채권추심 위임계약을 체결한 후 회사의 지사(지점) 등에서 채권추심업무를 수행하다가 퇴사 후 퇴직금의 지급을 구한 사안에서, 채권추심원이 채권의 추심순서와 구체적인 추심방법을 스스로 결정하여 추심업무를 수행하였고, 회사가 채권추심원들에게 추심순위를 지정하거나 구체적 추심업무의 내용 또는 방법 등을 특별히 지시하지 않았으며, 채권추심원의 근무태도나 근무성적 등을 평가하여 보수나 처우에 반영하거나 추심실적이 부진하다고 해서 불이익을 주지 않은 점, 회사는 채권추심원에게 정기적으로 상담내역 등 추심활동내역을 전산시스템에 입력하게 하였으나, 그 입력 내용이 채권추심원의 업무수행 과정을 평가하는 자료로 사용되었다거나 그에 근거하여 회사가 채권추심원에게 업무지시를 하거나 불이익을 가하였다고 인정할 증거는 없는 점, 월 20,000원의 범위에서 지원하는 우편발송비용을 이외의 비용은 채권추심원이 모두 부담한 점, 회사가 채권추심업무 외의 다른 업무에 대해서는 채권추심원의 겸직을 제한하지 않고 있으며, 오로지 채권의 회수실적에 따른 수수료만을 받았으며, 그 수수료는 실적에 따라 매월 큰 편차가 있어 이러한 수수료가 근로 자체의 대가적 성격을 갖는다고 보기 어려운 점 등을 근거로 채권추심원이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근로를 제공한 근로자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였습니다.(대법원 2022. 8. 19. 선고 2020다296819)

결국, 대법원의 판단을 종합하면 채권추심 위임계약의 내용, 실질적인 운영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채권추심원이 독립성을 갖고 있는지, 업무수행 과정에서 회사가 상당한 지휘 감독권한이 있었는지 등 구체적인 사실관계와 증명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귀하의 상담글 내용만으로는 귀하가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로서 퇴직금 청구권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인지 아닌지에 대해 답변드리기 어려우므로 위 판례 사례들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관련정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기타 정규직 전환시 비정규직 근속기간 인정 여부
해고 등 수습 기간 만료 후 계약해지
여성 계약직의 출산휴가 육아휴직 기간의 계약기간 포함 여부
근로계약 전자근로계약서 사용시 주의사항
근로계약 근로계약이 만료되었는데, 계약만료 기간 이후에도 계속하여 회사에 출근할 의무가 있나요?
해고 등 계약기간을 '현장업무 종료시까지'로 정한 경우, 정당한 계약해지 사유가 되는지요?
근로계약 근로조건의 명시와 근로계약서 교부 의무화
연봉제 연봉계약기간이 지났는데, 회사가 재계약을 하지 않으면...(연봉계약의 묵시적 갱신)
» 근로기준 실적에 따른 보수만을 지급받는 채권추심원의 근로자 여부
근로계약 아르바이트를 채용한 경우 근로계약서를 작성해야 하는지요?
연봉제 연봉계약과 포괄임금계약
여성 정규직과 계약직의 임신중 정기검진 휴가 부여의 차별 1
연봉제 연봉총액에 포함된 퇴직금액이 법정퇴직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근로계약 회사가 정규직계약을 계약직계약으로 변경하려 할때
여성 계약 시점과 출산휴가 신청기간이 맞물렸을 경우... 1
해고 등 계약직의 계약기간 만료 후 재계약을 거부하는 것이 해고인가?
근로계약 한 달 근무하지 않으면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다 약정의 효력
근로계약 연장수당을 임금총액에 포함시킨 포괄임금계약의 효력은?
연봉제 계약시 담당자의 착오가 있다며 연봉을 삭감할 수 있나요?
근로계약 단기 근로계약이 반복 갱신된 경우 계속근로년수의 산정은?
임금 각종 수당을 정액으로 정하여 임금에 포함시키는 경우 (포괄임금계약)
근로계약 사용자가 근로계약을 일방적으로 어긴 경우는?
근로시간 월급제 근로자도 연장 · 야간근로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지?
연봉제 연봉제의 경우 일방적인 재계약 거부는 가능한가? (계약거부와 해고)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