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17

아르바이트인원중에 1년넘은 분이 있어서 퇴직금 계산을 하고자 합니다.

2009.9.1입사 / 2011.3.31퇴사

문제는 퇴직금 계산시 퇴직 직전 3개월 기준으로 하는데.

이분의 경우는 1.1~1.31 19일 출근 920,000원 / 2.1 ~ 2.28 10일 출근 400,000원 / 3.1 ~3.31 17일 출근 680,000원 // 총 2백만원

사실 그전에는 출근을 20일 가량 출근을 잘 하셨는데. 막상 퇴사직전 3개월에는 위와같이 많이 빠졌습니다.

이럴 경우에 퇴직금을 어떻게 산정해야되는지요??

시급 5천원, 하루 8시간 근무, 주 40시간. 평균임금이 작을텐데. 평균임금이 작으면 통상임금으로 계산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그럼 통상임금은 얼마로 계산해야되는지..

답변

소개하신 사례의 경우, 1일 평균임금이 1일 통상임금에 미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퇴직금 산정은 근로기준법 제2조 제2항의 정함에 따라 1일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하여야 합니다.

관련 정보

문제는 해당근로자의 통상임금이 얼마인가 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귀하의 상담글에서 소개하신 사례의 근로자는 근로기준법 제2조 제8호에서 말하는 단시간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먼저 살펴보아야 합니다.

즉 귀하가 소개하신 사례의 근로자

  1. 근로계약으로 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근무하기로 정한 경우
    • 단시간근로자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통상근로자의 통상임금 계산방법(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 관련)에 따라 통상임금을 계산하면 되고,
  2. 근로계약으로 1주 40시간 미만을 근무하기로 정한 경우라면
    • 단시간근로자에 해당하므로 단시간근로자의 통상임금 계산방법(근로기준법 시행령 제9조 관련)에 따라 통상임금을 계산하면 됩니다.

관련법률

근로기준법 제2조 (정의)

①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8. “소정(所定)근로시간”이란 제50조, 제69조 본문 또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39조제1항에 따른 근로시간의 범위에서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 정한 근로시간을 말한다.
9. “단시간근로자”란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그 사업장에서 같은 종류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의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에 비하여 짧은 근로자를 말한다.


1. 통상근로자인 경우, 통상임금 산정방법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 관련)

해당근로자의 기준임금이 시간급이고, 시간당 5,000원을 지급키로 하며 1일 8시간이 소정근로시간이므로, 1일 통상임금은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 제3항에 따라 [5,000원 * 8시간 = 40,000원]입니다.

관련법률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 (통상임금)

①법과 이 영에서 “통상임금”이란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소정(所定)근로 또는 총 근로에 대하여 지급하기로 정한 시간급 금액, 일급 금액, 주급 금액, 월급 금액 또는 도급 금액을 말한다.
②제1항에 따른 통상임금을 시간급 금액으로 산정할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방법에 따라 산정된 금액으로 한다. <개정 2018. 6. 29.>
1. 시간급 금액으로 정한 임금은 그 금액
2. 일급 금액으로 정한 임금은 그 금액을 1일의 소정근로시간 수로 나눈 금액
3. 주급 금액으로 정한 임금은 그 금액을 1주의 통상임금 산정 기준시간 수(1주의 소정근로시간과 소정근로시간 외에 유급으로 처리되는 시간을 합산한 시간)로 나눈 금액
4. 월급 금액으로 정한 임금은 그 금액을 월의 통상임금 산정 기준시간 수(1주의 통상임금 산정 기준시간 수에 1년 동안의 평균 주의 수를 곱한 시간을 12로 나눈 시간)로 나눈 금액
5. 일ㆍ주ㆍ월 외의 일정한 기간으로 정한 임금은 제2호부터 제4호까지의 규정에 준하여 산정된 금액
6. 도급 금액으로 정한 임금은 그 임금 산정 기간에서 도급제에 따라 계산된 임금의 총액을 해당 임금 산정 기간(임금 마감일이 있는 경우에는 임금 마감 기간을 말한다)의 총 근로 시간 수로 나눈 금액
7. 근로자가 받는 임금이 제1호부터 제6호까지의 규정에서 정한 둘 이상의 임금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호부터 제6호까지의 규정에 따라 각각 산정된 금액을 합산한 금액
③제1항에 따른 통상임금을 일급 금액으로 산정할 때에는 제2항에 따른 시간급 금액에 1일의 소정근로시간 수를 곱하여 계산한다.


2. 단시간근로자인 경우, 통상임금 산정방법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9조 관련)

해당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이 5,000원이고 1일 8시간, 1주 24시간을 근무하는 하는 경우라면, 통상임금(일급)은 아래와 같습니다.

  • 시간당 통상임금 : 5,000원
  • 1일 소정근로시간 수 : (단시간근로자의 4주*24시간) / (통상근로자의 4주*5일)  = 96시간 / 20일 = 4.8시간
  • 1일 통상임금 : 5,000원 * 4.8시간 = 24,000원

관련법률

근로기준법 제18조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

①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은 그 사업장의 같은 종류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의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산정한 비율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라 근로조건을 결정할 때에 기준이 되는 사항이나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③ 4주 동안(4주 미만으로 근로하는 경우에는 그 기간)을 평균하여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는 제55조와 제60조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9조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 기준 등)

① 법 제18조제2항에 따른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을 결정할 때에 기준이 되는 사항이나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별표2와 같다.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9조 제1항의 [별표2]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 결정기준 등에 과난 사항

2. 임금의 계산
  가. 단시간근로자의 임금산정 단위는 시간급을 원칙으로 하며, 시간급 임금을 일급 통상임금으로 산정할 경우에는 나목에 따른 1일 소정근로시간 수에 시간급 임금을 곱하여 산정한다.
  나. 단시간근로자의 1일 소정근로시간 수는 4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을 그 기간의 통상 근로자의 총 소정근로일 수로 나눈 시간 수로 한다.


관련 정보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기타 일용근로자의 퇴직금 발생 여부
» 임금 단시간근로자(아르바이트)와 통상근로자의 통상임금 산정방법
근로계약 감시단속적 근로자에 대한 근로시간등의 적용예외 승인을 취소받을 수 있을까요? 1
근로계약 취업규칙 변경 동의 여부를 노사협의회에서 근로자에게 일괄적으로 받으면 효력이 있는지요?
근로기준 시간제 근로자의 4대보험 가입 자격 여부
근로기준 개인사업자로 신고한 시간제강사(1일3시간 근무)의 근로자성 인정여부와 퇴직금
근로기준 실적에 따른 보수만을 지급받는 채권추심원의 근로자 여부
근로기준 교회업무 종사자의 근로자 여부
근로계약 아르바이트를 채용한 경우 근로계약서를 작성해야 하는지요?
근로기준 간병인,가사사용인은 근로기준법 보호를 받는 근로자인지요? 1
임금 법내연장근로의 경우 연장수당의 지급의무 여부는?
근로기준 학원강사의 퇴직금과 근로자성 인정 여부
근로기준 계약직 텔레마케터의 근로자성 여부와 조퇴시 임금삭감
근로기준 학원강사의 근로자성 인정여부와 기준
근로기준 취업규칙을 불이익변경하는 경우, 노사협의회 근로자위원이 동의권이 있나요?
해고 등 학원강사의 갑작스러운 해고, 해고수당 받을 수 있나?
근로기준 파트타이머, 단시간근로자의 연장근로에 대한 가산임금은?
근로기준 시간제 근로자의 퇴직금과 해고수당
근로기준 연소자(18세미만자)의 근로기준과 조건은 어떠하나요?
근로기준 근로자성 판단기준과 사례 (학원강사, 지입차주, 학습지교사 등)
근로계약 상시 5인이상 사업장 판단기준 file
근로기준 도급제근로자의 근로기준은 어디까지?
근로기준 회사 임원을 맡고 있는데, 근로자인지요? (임원의 근로자성 판단기준)
근로기준 파트타이머(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은 어떻게 하나요?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