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12

정기 상여금을 일방적으로 지급하지 않는다면?

제가 이번달 말까지 근무하고 퇴직하기로 되어있는데요. 회사에서 상여금이 여름휴가와 추석명절 설명절에 정기적으로 300% 나오기로 되어 있습니다. 상여금이 정기적으로 지급되고 그 지급액이 확정되어 있어 임금의 성질을 띤것으로 봅니다.  그럼 당연히 설명절에 상여금이 나와야 되는것이 아닌가요? 회사에서는 설이 2월1일이라는 이유로 지급하지 않을려고 합니다. 지급하지 않는다면 어떻해야 하나요?

답변

상여금은 근로기준법에 명시되어 있는 근로조건이 아니기 때문에 회사에 설정된 상여금 제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아야 합니다. 상여금은 일반적으로는

  • 취업규칙, 단체협약 등에 구체적인 지급기준, 지급대상자를 명시하여 두고 있거나
  • 명시적인 규정은 없을지라도 년 000%의 상여금이 정기적으로 지급되었다하는 관행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경우, 그 상여금은 "근로제공의 대가(=임금)"으로 보아 회사가 지급여부를 임의로 결정할 수 없게 됩니다. 임금이라는 것은 근로자가 일한 대가이기 때문에 실제로 근로를 제공했다면 발생하는 임금을 당연히 지급해야 하듯이, 상여금이 임금성을 가지고 있다면, 회사가 주고 싶다고 주고, 회사사정에 따라 지급여부가 달라질 수 있는 호의성 금품이 아닌 것입니다.

귀하의 질문상, 정기적으로 년 상여금 300%가 지급되기로 정해져 있으므로, 회사는 이를 따라야 하고 지키지 않는다면 임금체불에 해당되어, 노동사무소에 진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재직한 근로자들로써 사용자를 상대로 신고를 한다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 있고, 괜히 사업주를 감정적으로 건드려 오히려 문제헤결이 지연되는 역효과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일단 동료근로자들과 상의하여 건의문을 회사측에 제출하십시오.

건의문의 내용은 "정기적으로 연 300%의 상여금을, 여름휴가, 추석, 설에 지급하기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는것은 너무나 부당하다. 근로자들이 회사를 위해 보다 열심히 일할 수 있도록 약정되어 있는 부분은 성실히 이행해주기 바란다"정도의 요지이면 됩니다. 다만, 항의성 문구보다는 순수한 건의의 형식을 사용하여 불필요한 감정싸움은 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근로자의 그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업주가 지급하지 못하겠다는 입장을 바꾸지 않는다면, 노동부 지방치청에 신고하여야 합니다. 임금성을 가진 상여금의 체불은 곧 임금체불입니다. 임금체불 해결방법을 참조하여 노동부 진정방법과 그 유의점 등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비단 이번 상여금 건에 대한 문제뿐만이 아니라면(다른 근로조건도 사용자가 마음대로 좌지우지하는 경향이 있다면..) 이번 기회에 노동조합을 만들어 법적인 보호를 받으며 사용자에게 적극적으로 대응해가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사용자가 설정하는대로 받아들이는 소극적인 자세를 벗어나서 근로자가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적극적으로 근로조건이나 경제적, 사회적 지위 향상의 노력을 전개하는 것이죠. 개별근로자 앞에 사용자는 너무나 큰 고래이지만, 근로자들이 단결하여 같은 고래의 힘을 발휘한다면 사용자와 근로조건에 대하여 대등하게 교섭할 수 있게 됩니다.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근로기준 파트타이머, 단시간근로자의 연장근로에 대한 가산임금은?
여성 정규직과 계약직의 임신중 정기검진 휴가 부여의 차별 1
근로시간 보궐선거 투표시간 유급처리 여부
여성 출산일이후에만 출산휴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1
여성 파견직 계약기간 만료시에 출산휴가에 들어가있다면 어떻게... 1
여성 출산휴가 사용시 연차휴가 출근율
» 임금 정기 상여금을 일방적으로 지급하지 않는다면?
연봉제 취업규칙에서 정해진 연봉제도를 지금보다 불이익하게 변경하는 경우
여성 산후1년미만 여성근로자의 연장,야간근로 제한 1
근로계약 동의서에 근로자들이 연명한 취업규칙 개정의 효력
기타 사업주 소재불명으로 노동부 임금체불 조사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여성 임신중인 여성근로자의 연장근로와 경이한 업무로의 전환 여부 1
여성 2006년 1월부터 출산휴가시에 고용보험에서 90일 급여를 받을수 있나요? 1
연봉제 연봉제 실시를 위한 취업규칙 변경은 근로자 동의가 있어야 하는지요?
근로계약 한 달 근무하지 않으면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다 약정의 효력
근로기준 계약직 텔레마케터의 근로자성 여부와 조퇴시 임금삭감
임금 복직하고 8개월 뒤에 퇴사할 때, 평균임금 계산시 상여금 산입방법
임금 체당금믈 받는 경우 사업주의 책임은? ('임금채권 대위'의 의미) 1
여성 재계약 시점과 출산휴가 신청기간이 맞물렸을 경우... 1
임금 체불임금 신고하는 것이 부담스럽습니다.
임금 경영성과를 기초로 지급하는 인센티브의 임금 여부 1
근로계약 정년 60세 의무화법 내용
해고 등 해고를 목적으로 지방으로 전출시키는 경우 부당해고인지요?
여성 임신중 야간근로에 의한 유산인 경우 사업주를 처벌할 수 있나요? 1
임금 시간당 아르바이트생입니다(최저임금법 위반 사업장입니다. )
근로시간 출장 업무(사업장 밖 근무) 종료 후 현지 숙박시설 취침시간은 근로시간인지요?
여성 투잡상태에서(사업자등록) 육아휴직급여 받을수 있나요? 1
근로계약 과다한 인력소개요금과 아르바이트의 주휴일과 주휴수당 여부
근로기준 교회업무 종사자의 근로자 여부
임금 재직중 받지 못한 상여금을 청구할 수 있나요?
임금 회사가 폐업신고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체당금을 받을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1
임금 3년이 지나도록 받지 못한 임금
해고 등 출산휴가기간중 중대한 비위사실이 발견된 경우에도, 해고할 수 없나요?
여성 계약직의 출산휴가 육아휴직 기간의 계약기간 포함 여부
근로기준 노동법보다 나은 기존의 근로조건을 마음대로 낮출 수 있는지요?
근로기준 정년 60세 의무 위반시 대응은?
근로기준 성과급 실적급을 받는 근로자의 최저임금
해고 등 회사가 새롭게 정년제도를 신설하여 해고하는 경우 정당해고인지요?
임금 수당을 평균임금에서 제외키로 한 노사합의가 효력이 있는지요?
임금 통상임금에 대한 노동부와 법원 차이(상여금 근속수당 식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