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사건 2005도8364
판결법원 대법원
판결선고 2006.5.11.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전에 발생한 체불임금에 대해 근로기준법 제42조(임금지급) 위반과 별도로 제36조(금품청산) 위반죄도 성립

사건

대법원 2006. 5. 11. 선고 2005도8364 판결 [근로기준법위반]

판시사항

[1] 근로기준법 제112조(현행 제109조제1항), 제36조 위반죄와 근로기준법 제112조(현행 제109조제1항), 제42조(현행 제43조) 위반죄의 죄수관계(=실체적 경합) 및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하기 이전에 이미 발생하여 있던 체불임금에 대하여 근로기준법 제112조(현행 제109조제1항), 제42조(현행 제43조) 위반죄와 별도로 근로기준법 제112조(현행 제109조제1항), 제36조 위반죄가 성립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2] 근로기준법 제112조(현행 제109조제1항), 제36조 위반죄의 성립 시기

판결요지

[1] 근로기준법의 제36조, 제42조(현행 제43조) 제2항의 규정들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부과된 의무의 내용 및 이행시기와 그 입법 취지 등을 종합하여 보면, 근로기준법 제112조(현행 제109조제1항), 제36조 위반죄와 근로기준법 제112조(현행 제109조제1항), 제42조 위반죄는 실체적 경합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므로,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하기 이전에 이미 발생하여 있던 체불임금에 대해서는 근로기준법 제112조(현행 제109조제1항), 제42조(현행 제43조) 위반죄와는 별도로 근로기준법 제112조(현행 제109조제1항), 제36조 위반죄가 성립할 수 있다.

[2] 근로기준법 제112조(현행 제109조제1항), 제36조 위반죄는 근로자의 사망 또는 퇴직으로 임금 등의 지급사유 발생일부터 14일이 경과하는 때에 성립하는 것이다.

판결이유

근로기준법 제36조 본문은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사유가 발생한 때로부터 14일 이내에 임금·보상금 기타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는 내용으로 금품청산의무를 규정하고 있고, 이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으로 근로관계가 종료된 후에도 근로자가 당연히 지급받아야 할 임금 등의 금품이 조속히 지급되지 아니한다면 근로자는 금품을 받기 위하여 사업장에 남아 있는 등 부당하게 사용자에게 예속되기 쉽고 또한, 근로자 및 근로자가족의 생활이 위협받을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금품을 지급받지 못할 위험이 커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반면, 근로기준법 제42조 제2항 본문은 “임금은 매월 1회 이상 일정한 기일을 정하여 지급하여야 한다.”는 내용으로 정기불(定期拂)의 원칙을 규정하고 있고, 이는 사용자가 임금을 부정기적으로 지급하거나 장기간 동안 지급하지 아니하는 경우 근로자가 생활영위에 필요한 임금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여 근로자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근로기준법의 위 규정들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부과된 의무의 내용 및 이행시기와 그 입법 취지 등을 종합하여 보면, 근로기준법 제112조(현행 제109조제1항), 제36조 위반죄와 근로기준법 제112조, 제42조(현행 제43조) 위반죄는 실체적 경합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하기 이전에 이미 발생하여 있던 체불임금에 대해서는 근로기준법 제112조(현행 제109조제1항), 제42조(현행 제43조) 위반죄와는 별도로 근로기준법 제112조(현행 제109조제1항), 제36조 위반죄가 성립할 수 있다.


관련 법원판례


관련법률

근로기준법 제36조(금품 청산)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의 모든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

근로기준법 제43조(임금 지급) 

① 임금은 통화(通貨)로 직접 근로자에게 그 전액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법령 또는 단체협약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임금의 일부를 공제하거나 통화 이외의 것으로 지급할 수 있다.
② 임금은 매월 1회 이상 일정한 날짜를 정하여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임시로 지급하는 임금, 수당, 그 밖에 이에 준하는 것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임금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근로기준법 제109조(벌칙)

제36조, 제43조, 제44조, 제44조의2, 제46조, 제51조의3, 제52조제2항제2호, 제56조, 제65조, 제72조 또는 제76조의3제6항을 위반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노동조합 회사측의 단체교섭 거부의 정당성 유무의 판단 기준
근로기준 시용기간 근무평정이 정당하지 못하면 본계약 체결 거부(해고)는 무효
노동조합 레미콘차주 겸 운송기사는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상의 근로자가 아니다
근로기준 가족수당 중식대 교통비는 통상임금에 포함된다
» 근로기준 임금체불에 대해 임금지급 위반죄와 별도로 금품청산 위반죄가 성립한다
근로기준 이사의 퇴직금을 이사회의 결의가 없었음을 이유로 지급거절할 수 없다
근로기준 평균임금산정에 있어 상여금, 경영성과금,가족수당 등의 포함 여부
근로기준 문서유출, 출근거부가 징계사유에 해당한다고 하더라도 해고처분은 징계권 남용이라는 사례
노동조합 노조와 협의 없이 급여규정을 개정한 행위는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
근로기준 1개 사업장에서 직종의 특수성에 따라 별도의 취업규칙을 정할 수 있다
근로기준 부당전보 동안 사용자에게 임금지급의무가 있는지 여부
근로기준 임금 소급인상시 휴업급여 산정의 기초가 되는 평균임금의 증액 여부
근로기준 계열사 동시 정리해고 가능하다(긴박한 경영상의 필요성 판단방법)
근로기준 노사 동수로 징계위원회를 구성하도록 한 경우 노측 징계위원의 위촉 방법
근로기준 24시간 격일제 근무자의 실제 근로시간에서 휴게시간 심야 수면시간 제외 여부
산재보상 출퇴근 과정에서 발생한 교통사고가 업무상 재해에 해당하는지 여부
근로기준 과도하게 장기간 설정된 대기발령은 무효
근로기준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판단 기준(학습지 영업사원)
근로기준 학교 시간강사는 임금을 목적으로 하는 근로자
근로기준 해고절차를 거치지 않은 것만으로 사용자를 처벌 할 수 없다
산재보상 회사밖의 행사나 모임 중 발생한 재해가 업무상 재해에 해당하기 위한 요건
근로기준 해외연수목적이 교육이 아닌 출장이라면 의무재직기간 이전 퇴직시 연수비용을 상환하지 않아도 된다
근로기준 퇴직금을 일당 속에 포함하여 지급하는 약정의 효력 (무효)
근로기준 통상임금에 포함되어야 할 수당을 통상임금에서 제외키로 한 노사합의는 무효
근로기준 회사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사용자로 보아야 한다.
비정규직 계약직근로가 형식에 불과하다면, 정당한 사유 없는 갱신계약 거절은 무효
근로기준 부당해고된 기간은 연차휴가 부여시 출근일에 포함
근로기준 연차휴가 신청 절차 규정이 없다면, 전화로 연차휴가를 신청하는 것은 적법하다
근로기준 재직기간 일부를 근속기간에서 제외키로한 단체협약(취업규칙)이 유효하다고 본 사례
근로기준 사전에 미리 중간정산하여 매월지급하는 퇴직금의 효력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