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사건 2007도4171 근로기준법위반
판결법원 대법원
판결선고 2007.8.23.

월급이나 일당 속에 퇴직금을 포함하여 지급하는 것은 무효이고, 퇴직금 사전포기 약정은 무효이다.

사건

대법원 2007. 8. 23. 선고 2007도4171 판결 [근로기준법위반] 

판시사항

[1] 임금지급의무의 존부와 범위에 관하여 다툴 만한 근거가 있는 경우, 구 근로기준법 제112조, 제36조 위반죄의 고의 인정 여부(소극)

[2] 퇴직금 명목의 돈을 월급 등에 포함하여 지급한 경우 퇴직금지급으로서 유효한지 여부(무효) 및 위와 같은 방식으로 퇴직금을 지급받기로 한 약정의 효력(무효)

[3] 퇴직금을 월급 등에 포함하여 지급하는 약정을 이유로 사용자가 퇴직근로자에게 퇴직금지급을 거절한 경우, 구 근로기준법 제112조, 제36조 위반죄의 고의 인정 여부(적극)

판결요지

[1] 임금지급의무의 존부 및 범위에 관하여 다툴 만한 근거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임금을 지급하지 아니한 데에 상당한 이유가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어서 근로기준법 제112조, 제36조 소정의 임금 등의 기일 내 지급의무 위반죄에 관한 고의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2] 퇴직금지급청구권은 퇴직이라는 근로관계의 종료를 요건으로 하여 비로소 발생하는 것으로 근로계약이 존속하는 한 퇴직금지급의무는 발생할 여지가 없으므로 매월 지급받은 월급이나 매일 지급받는 일당 속에 퇴직금이란 명목으로 일정한 금원을 지급하였다고 하여도 그것은 근로기준법 제34조에서 정하는 퇴직금의 지급으로서의 효력은 없을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이 매월의 월급이나 매일의 일당 속에 퇴직금을 포함시켜 지급받기로 하는 약정은 최종 퇴직시 발생하는 퇴직금청구권을 사전에 포기하는 것으로서 강행법규인 근로기준법 제34조에 위반되어 무효이다.

[3] 사용자가 사법상의 효력이 없는 ‘매월의 월급이나 매일의 일당 속에 퇴직금을 포함시켜 지급한다’는 내용의 약정을 내세워 퇴직한 근로자에 대한 퇴직금의 지급을 거절하는 경우, 이를 퇴직금지급의무의 존부에 관하여 다툴 만한 근거가 있어 사용자가 퇴직금을 지급하지 아니한 데에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라고 볼 수 없고, 이러한 사용자에게 근로기준법 제112조, 제36조 소정의 임금 등의 기일 내 지급의무 위반죄에 관한 고의가 없다고 할 수는 없다.


관련 언론보도

“월급속 퇴직금 지급은 퇴직금 효력 없어”

문화일보 2007.08.27.

퇴직금을 월급이나 일당 속에 포함시켜 지급받기로 근로자와 사용자 간 약정을 맺었다고 하더라도 퇴직 시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은 위법이라는 대법원의 판결이 나왔다.

전북 전주에서 종합병원을 운영하는 윤모(여·52)씨는 2002년 3월부터 이 병원의 진료과장으로 근무하다가 2005년 10월 퇴직한 이모씨에게 퇴직금 1400여만원을 지급하지 않은 근로기준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의해 기소됐다. 하지만 윤씨는 이씨와 임금 약정을 맺을 때 매달 월급에 퇴직금을 포함시켜 미리 지급기로 하는 연봉제 약정을 맺었고, 이를 모두 지급했기 때문에 더 이상 퇴직금 지급 의무가 없다고 주장했다.

원심 법원도 “중소병원 관행상 진료과장의 경우 퇴직금을 포함해 월급을 지급하는 형태로 운영됐고, 이씨에게 지급된 실급여가 급여대장상 지급액보다 훨씬 많았다”며 윤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그러나 대법원 1부(주심 고현철 대법관)는 27일 “월급이나 일당 속에 퇴직금을 포함시켜 지급받기로 한 약정은 퇴직 시 발생하는 퇴직금청구권을 사전에 포기하는 것으로써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무효”라며 윤씨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전주지법으로 돌려보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퇴직금지급청구권은 퇴직이라는 근로관계의 종료를 요건으로 할 때 비로소 발생하는 것으로 근로계약이 계속되는 한 퇴직금 지급 의무는 발생할 여지가 없다”며 “매월 지급받은 월급이나 매일 지급받는 일당 속에 퇴직금 명목으로 일정 금액을 지급했다고 해도 근로기준법 34조에서 정하는 퇴직금 지급으로서의 효력이 없다”고 밝혔다.


관련 정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근로기준 정년 기준은 실제 생년월일이며, 입사서류를 기준으로 하지 않는다
근로기준 임금채권 최우선변제권은 사용자가 그 지위를 취득하기 이전에 설정된 담보물권부 채권에 대하여 우선
근로기준 정규직과 계약직의 근로조건 체계가 다른 경우 취업규칙 불이익변경에 대한 동의방법
노동조합 복수노조 교섭창구 단일화 강제 조항은 위헌이 아니다.
근로기준 대기시간 휴식·수면시간도 지휘·감독을 받고 있다면 근로시간이다. file
근로기준 징계해고시 징계 또는 해고되는 구체적 사실이 없다면 부당해고
근로기준 단체협약에서 지급의무가 정해진 영업성과급은 임금에 해당한다
근로기준 기간제 근로계약에서 계약갱신 기대권이 인정되지 않은 경우
근로기준 월급근로자로서 6개월 미만자 해고예고 적용예외는 위헌(2014헌바3) file
» 근로기준 월급,일당 속에 퇴직금을 포함하는 것은 무효이고, 퇴직금 사전포기 약정도 무효이다.
노동조합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 거부 해태는 부당노동행위
근로기준 종속관계에서 자신의 차량을 이용하여 근로를 제공하고 포괄적인 형태의 임금을 받아온 경우 근로자에 해당
근로기준 계약만료와 동시에 갱신하거나 반복계약하였다면 기간을 모두 합산해야
산재보상 근로자가 출퇴근 과정 중 교통수단을 선택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한 재해의 산재 여부
기타 동일가치 노동의 의미 및 판단기준과 위법시 손해배상책임 범위
근로기준 휴직기간(파업기간)을 제외한 기간의 하기휴가비는 지급하여야 한다.
근로기준 고용안정협약에 반하는 정리해고의 효력
노동조합 파업을 예고한 노조를 상대로 한 사용자측의 설명회가 부당노동행위인지 여부
근로기준 사직서 제출 후 철회할 수 있는지 여부
근로기준 회사의 이사 등 임원이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인지 여부
근로기준 소급적용하는 단체협약을 체결했더라도 퇴직한 근로자에게는 효력이 없다
산재보상 회식 중 음주사고, 산재인정 기준
근로기준 근로자 동의 없이 변경한 취업규칙은 기존 재직자에 대해서는 효력이 없지만, 신규 입사자에 대하여는 적용된다
근로기준 외국인 근로자에게도 근로기준법과 최저임금법이 적용된다.
산재보상 회사가 설치⋅관리하고 지배⋅관리 시설에서 발생한 업무준비, 합리적 필요적 행위 중 발생한 사고는 산재
근로기준 고정시간외수당(고정OT수당)은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는다 file
근로기준 업무의 성격과 기간제 근로계약의 제한
근로기준 단체협약에서 산재사망 조합원 유족의 고용의무를 정한 것은 무효
노동조합 노동조합의 안전운행 투쟁과 파업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부정한 사례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