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사건 2011다95519 임금
판결법원 대법원
판결선고 2014.3.13.

부당해고기간 중에 지급받을 수 있는 임금에는 연차휴가수당도 포함된다.

사건

대법원 2014.3.13. 선고 2011다95519 판결 [임금]

판시사항

근로자가 부당해고로 지급받지 못한 연차휴가수당을 산정할 때 사용자의 부당해고로 근로자가 출근하지 못한 기간을 연간 소정근로일수 및 출근일수에 모두 산입하여야 하는지 여부(적극) 및 부당해고기간이 연간 총근로일수 전부를 차지하고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인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사용자가 근로자를 해고하였으나 해고에 정당한 이유가 없어 무효인 경우에 근로자는 부당해고기간 동안에 정상적으로 일을 계속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을 모두 지급받을 수 있다. 해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무를 하지는 않았다고 하더라도 해고가 무효인 이상 그동안 사용자와의 근로관계는 계속되고 있는 것이고,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무를 하지 못한 것은 근로자를 부당하게 해고한 사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인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로자가 부당해고로 인하여 지급받지 못한 임금이 연차휴가수당인 경우에도 해당 근로자의 연간 소정근로일수와 출근일수를 고려하여 근로기준법 제60조 제1항의 요건을 충족하면 연차유급휴가가 부여되는 것을 전제로 연차휴가수당을 지급하여야 하고, 이를 산정하기 위한 연간 소정근로일수와 출근일수를 계산할 때 사용자의 부당해고로 인하여 근로자가 출근하지 못한 기간을 근로자에 대하여 불리하게 고려할 수는 없으므로 그 기간은 연간 소정근로일수 및 출근일수에 모두 산입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설령 부당해고기간이 연간 총근로일수 전부를 차지하고 있는 경우에도 달리 볼 수는 없다.


해설

사실관계

  • 식물원에서 근무하다 경영상 이유로 해고당한 원고 근로자는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통해 확정된 구제명령에 따라 원직복직 및 해고기간에 대한 임금상당액을 지급받음
  • 이 사건 근로자가 받은 해고기간의 임금상당액에 부당해고기간중의 연차휴가미사용수당이 포함되지 않음.
  • 이에 근로자는 정상적이라면 지급받았을 연차휴가미사용수당액에 대한 추가지급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함.

판결의 요지

  • 연차휴가수당이 부당해고기간 중 지급받을 수 있는 임금에 포함되는지에 대하여 대상판결은 연차유급휴가가 1년간 근로에 대한 대가로 부여되는 것이기 때문에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한 경우 발생하는 연차유급휴가미사용 수당 역시 임금에 해당하며, 부당해고로 인한 근로미제공의 원인은 부당해고의 책임이 사용자에 있는 만큼 사용자귀책으로 연차유급휴가 미사용수당 도한 부당해고기간의 임금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판단.
  • 또한 부당해고로 근로자가 출근하지 못한 기간은 연차유급휴가의 요건인 1년간 8할 이상 출근 여부 및 연차휴가일수 산정에서 연간 소정근로일 수 및 출근일수 모두 산입되는 것이 타당하다.
  • 부당해고 기간이 장기간 지속되어 그 기간이 1년 총근로일수 전부에 해당해도 이는 동일하게 보아야 한다.

판결의 특징

  • 부당해고 기간에 대해 해당 근로자가 지급받아야 할 임금은 부당해고기가 중 근로자가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전부라는 기존 대법원의 입장(대법원 1991. 5.14. 선고 91다2566 판결)에 근거.
  • 그러나 기존 고용노동부의 행정해석(근기-5084, 2009.12.1.)과 연차유가 부여에 있어서 부당해고기간을 다루는 방식이 다름.
  • 고용노동부 행정해석은 근로기준법 제 60조의 연차유급휴가 부여요건인 '소정근로일수'의 개근 여부 및 출근율 판단에서 쟁의행위, 육아휴직등과 같이 본디 근무하기로 정하였지만 '특별한 사유로 근로제공의무가 정지된 날 또는 기간'은 소정근로일 수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하는데, 부당해고기간 역시 이와 같은 성격으로 소정근로일수 산정에서 제외되어야 하며, 부당해고된 근로자의 연차유급휴가는 부당해고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소정근로일수에 대한 출근율에 따라 연 총소정근로일수에 대한 출근일수 비율을 곱하여 부여해야 한다(단, 부당해고기간이 해당 연도 전부일 경우 사용자의 연차휴가 부여의무는 없다)는 해석

판결에 대한 평가

  • 한국노동연구원의 김기선 부연구위원은 <노동리뷰 5월호>에 실린 '노동판례 리뷰'에서 "대상판결이 사용자 책임으로 인한 부당해고기간이 연차유급휴가의 발생요건 및 휴가일수 산정에 불리하게 취급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명확히 한 것은 지극히 타당하다"고 평가하면서도 "기존의 연차유급휴가에서 쟁의행위기간의 처리 및 연차휴가일수의 계산과 관련한 대법원 판결에 근본적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고 우려했다.
  • 여기서 기존의 대법원 판결은 대법원 선고 2011다4629 판결로 정당한 쟁의기간이나 육아휴직기간은 연차유급휴가 발생요건인 출근율 산정에서 소정근로일수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타당하며, 8할의 출근율 요건을 충족한 경우 연간 소정근로일수에서 쟁의행위 등 기간이 차지하는 일수를 제외한 나머지 일수를 연간 소정근로일수로 나눈 비율만큼을 연차휴가일수로 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취지로 판시했다. 이는 연차유급휴가 부여에 있어서 쟁의행위기간과 육아휴직기간등의 처리방법을 제시한 위의 고용노동부 행정해석의 법적 근거가 되는 판결이기도 하다.
  • 또한 김 부연구위원은 이번 판결로 쟁의행위기간에 대하여도 제한 없이 연차휴가를 인정하지 못할 바 아님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고 조심스레 해석했다.
  • 그동안 노동계에서는 쟁의행위기간을 소정근로일수에서 제외하여 출근율을 산정하고 소정근로일수에서 제외된 쟁의행위기간만큼 연차유가를 비례적으로 삭감하는 것은 정당당한 권리인 쟁의권 행사를 이유로 불이익을 주는 것으로 헌법상 기본권인 쟁의권의 보장취지 및 노조법 규정과 배치되는 것이라고 비판해온 바 있다.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근로기준 사직서 제출과 해고 관련 각종 법원 판례 등(종합)
근로기준 부당해고구제 재심판정 취소소송에서 근로자가 패소한 후 다시 해고무효확인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 근로기준 부당해고기간 중에 지급받을 수 있는 임금에는 연차휴가수당도 포함된다.
근로기준 사직의사 없는 근로자에게 사직서를 작성 제출하게 하였다면 해고에 해당
근로기준 이메일 해고통지는 서면에 의한 해고통지가 아니다
근로기준 징계절차의 하자를 인정하여 징계처분을 취소하고 새롭게 징계처분을 할 수 있다.
근로기준 회사쪽 원인제공한 형사처벌 이유로 해고한 것은 부당
근로기준 해고예고의 방법(해고시점)
근로기준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에 대한 징계해고가 정당하다고 볼 수 있는 경우
근로기준 문자메시지로 해고통보 한 것은 '해고의 서면통지'를 위반한 것
근로기준 정리해고는 쟁의대상 아니다
근로기준 인사처분에 대해 노사가 사전합의토록 했더라도 사전합의 없는 인사처분이 유효한 경우
근로기준 이미 지급청구권이 발생한 임금을 단체협약으로 포기할 수 없다.
근로기준 노조활동을 위축시킬 목적으로 근로계약기간의 갱신 거부는 부당
근로기준 해외연수 중인 근로자에게 이메일로 보낸 해고통지는 유효
근로기준 정리해고의 요건 및 그 요건의 충족 여부의 판단 방법
근로기준 해고가 무효라면, 해고된 근로자도 체당금 청구권이 인정된다.
근로기준 해고를 취소하면, 퇴직금 지급의무는 없다
근로기준 계열사 동시 정리해고 가능하다(긴박한 경영상의 필요성 판단방법)
근로기준 해고된 근로자도 회사의 도산시 체당금 지급대상에 포함된다.
근로기준 해고절차를 거치지 않은 것만으로 사용자를 처벌 할 수 없다
근로기준 5인미만 회사에서의 해고제한 특약을 위반한 해고의 효력
근로기준 구조조정 과정에서 노조와 합의한 무급휴직 거부자를 정리해고한 것은 정당
근로기준 부당해고된 기간은 연차휴가 부여시 출근일에 포함
근로기준 해고회피 노력 및 노조와 성실한 협의를 거쳤더라도 해고기준이 불공정한 정리해고는 위법
근로기준 노동조합 내부 문제가 징계사유로 될 수 있는지 여부
근로기준 경력사칭을 이유로 한 징계해고의 정당성 판단 기준
근로기준 부당해고기간 중 받을 수 있는 임금에는 단체협약에 규정된 표창도 포함
근로기준 징계해고시 해고사유가 되는 구체적인 사실, 비위내용을 기재하지 않으면 무효
노동조합 조합원을 이유로 정리해고한 것이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판단 방법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