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용기간 끝나 근로계약 해지하면 분쟁 소지

특별한 사유없이 해지하면 계약기간 만료가 아닌 해고로 해석 

신규 직원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수습, 시용, 인턴 기간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 신규 입사자의 경우 3개월의 수습기간을 정하거나, 시용계약임을 명시하는 근로계약서를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관계없이 쉽게 볼 수 있다. 이러한 기간을 설정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무엇보다 업무능력 검토 등 직원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일 것이다.

그러나 수습, 시용 등의 계약을 3개월(또는 그 기간)만 고용관계가 유지되는 ‘기간제 근로계약’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 이 때문에 수습, 시용기간이 만료한 후 근로계약을 해지해 분쟁이 종종 발생한다.

수습·시용, 다른 형태 계약이지만 실무상 동일 적용

근로기준법에서는 수습과 시용의 개념에 대해 명확히 정의하고 있지 않다. 수습근로의 경우 근로기준법 제35조 및 동법 시행령 제16조에 따라 해고예고의 적용제외 대상이며, 수습 사용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인 자로 정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습 근로기간이란 정식 근로계약을 체결한 상황에서 업무에 필요한 기술 또는 지식을 습득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또 시용 근로기간은 본계약 계약 해지권이 유보된 상태에서 일정기간 근로자의 업무능력 등을 평가하는 기간에 해당한다.

개념상으로 보면 수습과 시용은 다른 형태의 계약이지만, 실무에서는 이를 동일한 형태로 적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시용계약-해지.png

수습·시용 근로계약 해지, 계약직 근로계약 종료로 판단

수습 및 시용 계약기간이 도래해 해당 근로자와의 근로계약을 해지할 경우 법정분쟁이 발생한다. 계약직 근로자의 계약해지와 유사한 형태로 판단해, 계약기간 만료에 따른 계약해지로 근로계약을 종료하는 것이다.

그러나 객관적 평가 없이(또는 특별한 사유 없이) 시용기간 만료 후 계약을 해지할 경우 판례는 계약기간 만료가 아닌 해고로 해석한다. ‘보통의 해고보다는 넓게 인정되나, 이 경우에도 객관적으로 합리적인 이유가 존재하여 사회통념상 상당하다고 인정되어야 한다’고 판시하고 있다.(대법원 2006. 2.24. 선고 2002다62432 판결)

시용계약은 본계약 체결 전 단계의 기간제 기간이 아닌 본계약에 대한 해지권이 유보된 것이며, 그 계약해지권 행사는 통상 근로자의 해고보다는 넓게 인정되지만 해고의 절차 및 요건을 갖춰야 한다.

시용계약 후 본채용 거부 시 해고의 서면통지 요건

시용기간 1개월을 설정한 근로자에 대해 시용기간 만료 후 서면으로 해고통보를 하고, 해고사유는 시용기간 만료로 명시한 경우가 있었다. 이에 대해 근로자는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했고, 지방노동위원회 및 중앙노동위원회는 본채용 거부는 정당하다고 판정했다.

노동위원회는 사유의 정당성을 근거로 판정했으며, 해고의 서면통지에 대한 요건은 판단하지 않았다. 반면 행정법원 및 고등법원, 대법원은 해고 서면통지에 대한 요건이 미비하다는 이유로 중앙노동위원회의 재심판정을 취소했다.

근로기준법 제27조는 사용자가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해고사유와 해고시기를 서면으로 통지해야 그 효력이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해고사유 등의 서면통지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근로자를 해고하는 데 신중을 기하게 하고, 아울러 해고의 존부 및 시기와 그 사유를 명확하게 해 사후에 이를 둘러싼 분쟁이 적정하고 용이하게 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근로자에게도 해고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취지가 담겼다. 사용자가 해고사유 등을 서면으로 통지할 때는 근로자의 처지에서 그 해고사유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어야 한다.(대법원 2011.10.27. 선고 2011다42324 판결 등 참조)

이 사건의 쟁점은 시용계약 기간 종료 후 본계약을 사용자가 거부하는 과정에서 근로기준법 제27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해고사유를 구체적으로 명시했는지 여부다.

노동위원회의 판단은 시용근로관계에는 근로기준법 제27조 규정이 적용되지 않아 본 근로계약 체결 거부사유를 구두로 통지할 수 있고, 서면통지 시에도 거부사유를 구체적으로 기재할 필요가 없다는 이유로 본채용 거부의 정당성을 인정했다.

특정한 사유없이 기간종료로 근로계약 해지시 분쟁 소지

하지만 법원은 구체적 이유를 명시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절차상 하자가 있어 효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대법원 2015.11.27. 선고 2015두48136 판결)

대법원 2015. 11. 27. 선고 2015두48136 판결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 "근로기준법 제27조는 사용자가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해고사유와 해고시기를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효력이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해고사유 등의 서면통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근로자를 해고하는 데 신중을 기하게 함과 아울러, 해고의 존부 및 시기와 사유를 명확하게 하여 사후에 이를 둘러싼 분쟁이 적정하고 용이하게 해결될 수 있도록 하고, 근로자에게도 해고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취지이므로, 사용자가 해고사유 등을 서면으로 통지할 때에는 근로자의 처지에서 해고사유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어야 한다.
  • 한편 근로자의 직업적 능력, 자질, 인품, 성실성 등 업무적격성을 관찰·판단하고 평가하려는 시용제도의 취지·목적에 비추어 볼 때, 사용자가 시용기간 만료 시 본 근로계약 체결을 거부하는 것은 일반적인 해고보다 넓게 인정될 수 있으나, 그 경우에도 객관적으로 합리적인 이유가 존재하여 사회통념상 상당성이 있어야 한다.
  • 위와 같은 근로기준법 규정의 내용과 취지, 시용기간 만료 시 본 근로계약 체결 거부의 정당성 요건 등을 종합하면, 시용근로관계에서 사용자가 본 근로계약 체결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근로자에게 거부사유를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구체적·실질적인 거부사유를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기존 판결의 일관된 입장은 시용계약 만료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임의로 계약해지권을 행사 할 수 없으며, 객관적으로 합리적 이유가 존재해 사회통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 판결의 경우 더 나아가 통상 근로자의 해고시 서면예고와 동일한 수준의 구체적 사유명시 등의 절차를 준수해야만 그 정당성이 인정된다고 판시하고 있다.

수습 및 시용계약 기간이 종료된 이후 수습계약 해지가 통상의 근로자와 비교해 그 해고의 사유를 넓게 인정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사용자의 주관적 판단 또는 특정한 사유없이 기간 종료 등을 이유로 근로계약 해지 또는 본계약을 거부할 때는 법정분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부당해고에 해당될 수 있기 때문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더 나아가 근로계약을 실제 체결하지 않은 채용내정 상태 또한 시용계약과 유사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관련 정보

Atachment
첨부파일 '1'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1. 미투, 성희롱 피해자 도운 근로자 징계는 위법…손해배상도 해야

    서지현 검사, 미투, ‘미퍼스트’ 그리고 르노삼성 대법, 성희롱 피해자 도운 근로자 징계 위법…손해배상책임도 인정 사업장내 성희롱 사건의 피해자와 피해자를 도운 동료직원에게 불이익한 인사처...
    2018.05.08 조회1702 file
    Read More
  2. 휴게시간에 휴식·대기했다면 해당시간 임금 지급해야

    경비직 ‘근로시간 줄여 휴게시간 늘리기’에 제동 대법원 “휴게시간에 휴식·대기했다면 해당시간 임금 지급해야” 올해 부쩍 아파트 경비노동자들의 상담이 늘었다. 상담의 주된 내용은...
    2024.04.16 조회4005 file
    Read More
  3. 포괄임금계약, 근로시간 산정이 어려운 경우에만 인정

    대법원, 포괄임금제 남용 경종 대법원이 근로시간 산정이 가능하다면 포괄임금제를 적용할 수 없으며 최저임금보다 낮게 책정된 포괄임금 계약은 무효라고 판결했습니다. 노인요양보호사의 포괄임금제 적용에 대한 대...
    2024.04.16 조회2531 file
    Read More
  4. 대학교 조교도 근로자, 퇴직금 지급해야

    학교로부터 받는 장학금 명목의 금품은 근로제공의 댓가, 업무종속성 인정 최근(2017.11월) 고용노동부가 대학교 조교도 근로자라고 결정했습니다. 그동안 대학교 조교는 캐디 학습지교사 보험설계사 대리기사 등과 ...
    2017.11.14 조회1425 file
    Read More
  5. 포괄임금계약도 위법하면 미지급 임금 줘야

    근로시간의 산정이 어려운 경우가 아니면 포괄임금제 적용 부적절 포괄임금제란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근로시간에 관계없이 연장, 야간, 휴일가산수당 등 법정수당을 포함해 일정한 금액을 지급하기로 정한 계약을...
    2024.04.16 조회1057 file
    Read More
  6. 5인미만 사업장도 6개월 미만자 해고예고 유의해야

    헌법재판소 위헌 판결 이후, 대법원도 "6개월 미만자 해고수당 지급하라" 판결 입사 후 6개월이 안된 월급제 근로자가 ‘해고예고없이 행한 해고처분이 부당하다’며 해고예고수당을 청구한 사건에서 동 수...
    2024.04.16 조회2241 file
    Read More
  7. 법정정년제 적용, 취업규칙 제도 정비 서둘러야

    정년제와 취업규칙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를 보면, 우리나라는 2000년에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를 넘어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2018년에는 14%를 넘어 ‘고령사회’, 2025년에는 20%로...
    2024.04.16 조회907 file
    Read More
  8. 사업자 등록한 ‘소사장’ 근로자일까 사장일까

    사업자등록 여부가 근로계약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근로관계 단절 경위, 운영의 독자성·노무지휘권 존부 등 따라 판단 ‘소사장’이라 하더라도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할 수 있다. 소사...
    2024.04.16 조회6471 file
    Read More
  9. 도보 자가용 대중교통을 이용한 출퇴근 사고 모두 산재

    회사가 제공한 교통수단을 이용해야만 산재가 되는 것은 아니다 헌재, ‘심판대상조항’ 위헌…내년말까지 산재보험법 개정해야 산업사회의 발달로 생산과정에서 근로자의 재해발생은 불가피한 현상...
    2024.04.16 조회523 file
    Read More
  10. 시용기간 끝나 근로계약 해지하면 분쟁 소지

    시용기간 끝나 근로계약 해지하면 분쟁 소지 특별한 사유없이 해지하면 계약기간 만료가 아닌 해고로 해석 신규 직원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수습, 시용, 인턴 기간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 신규 입사자의 경우 3개월...
    2024.04.16 조회4238 file
    Read More
  11. 정리해고 필요는 일부사업부가 아니라 회사 전체로 판단해야 한다

    일부 부서 경영악화 따른 정리해고는 정당성 인정받기 어려워 ‘긴박한 경영상 필요’ 정리해고 판단 ‘사업부 아닌 법인’ 기업 운영 중 일부 사업부서의 실적악화를 이유로 부서를 축소하거나 ...
    2024.04.16 조회696 file
    Read More
  12. 근로계약, 해고통보, 연차휴가촉진은 '서면’ 원칙

    근로계약 체결, 해고통지, 연차휴가 촉진의 방법과 원칙 이메일 · 문자메시지 해고통지, 전자문서 보편화로 다툼 늘어 근로관계의 형성 및 유지, 해지과정에서 중요한 사항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서면으로 작성...
    2024.04.15 조회2123 file
    Read More
  13. 유니온샵과 사용자의 해고의무

    유니온샵과 사용자의 해고의무 홍길동은 2002년 ○○택시회사에 입사하였고, 단체협약에서 ‘회사는 운전직 근로자 중 회사에 종사하는 전체 근로자를 노동조합원으로 하는 유니온숍을 인정한다.’는 이른바 ‘유니온숍’ ...
    2019.05.27 조회25414 file
    Read More
  14. 노사관행에 의한 근로조건과 변경요건

    노사관행은 함부로 바꿔도 되나? 노사관행에 의한 근로조건 300인 규모의 제조업 사업장의 사무직노동자가 회사측의 당직수당제도 변경조치에 따른 심층상담을 요청해왔다. 내용인즉, 회사에서는 10여년전부터 취업규...
    2024.04.15 조회14810 file
    Read More
  15. 장시간근로시 휴게시간 부여 기준이 명확해야

    장시간근로와 휴게시간 금형사업체에 근무하는 노동자 홍길동씨는 상담소를 찾아와 1일 8시간 실근로 이후 작업물량이 밀리는 날에는 5~8시간 정도의 연장근로를 하고 있다고 했다. 그런데 회사에서는 단지 정규근로...
    2024.04.15 조회30161 file
    Read More
  16. 대체휴일이 유효하기 위한 요건

    휴일 대체는 회사 마음대로? 무분별한 휴일대체 비일비재 A사는 원청사로부터 급작스럽게 생산물량을 증가해줄 것을 요청받고 토요일 퇴근 무렵 전체 노동자들에게 주휴일(일요일)에 근무하고 다른 근무일에 쉴 것을 ...
    2024.04.15 조회15129 file
    Read More
  17. 하청사 임금 원청사에 청구할 수 있나?

    하청회사 근로자의 임금을 원청사에 청구할 수 있나? A회사로부터 휴대폰단말기 도장을 도급받은 B업체에 근무하는 노동자 홍길동은 원청 A회사가 하청 B회사에 도급계약상의 도급금액을 수차에 걸쳐 제때 지급하지 ...
    2024.04.15 조회13163 file
    Read More
  18. 당직근무에 대해 연장·휴일근로수당을 받을 수 있나

    당직근무와 연장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당직근무는 당직수당만 지급하는 끝? 한 사회복지기관에서 일선 사회복지업무를 맡고 있는 노동자 이몽룡은 장시간노동에 따른 고통을 호소해왔다. 얘기인 즉, 일주일 간격으로...
    2024.04.15 조회23829 file
    Read More
  19. 연차유급휴가 사용가능일수보다 부족한 기간을 근무하고 퇴직한 노동자의 연차수당

    연차유급휴가 사용가능일수보다 부족한 기간을 근무하고 퇴직한 노동자의 연차수당 금융권회사에 근무하는 노동자 홍길동은 1969.4.1 회사에 입사하여 1998.4.1부터 44일의 연차휴가청구권이 발생한 상태에서 1998.4....
    2024.04.15 조회16952 file
    Read More
  20. 연봉총액에 포함된 퇴직금에 대한 노동부 태도 문제 있다

    연봉총액에 포함된 퇴직금 요샌 연봉제와 관련된 상담이 최근 부쩍 늘었다. 조직의 효율성을 높인다며 기업들이 우후죽순처럼 무분별하게 도입한 연봉제도는 결국 조직내 결속력 약화, 노동자의 사기저하 등으로 인해...
    2024.04.15 조회31380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