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용기간 끝나 근로계약 해지하면 분쟁 소지

특별한 사유없이 해지하면 계약기간 만료가 아닌 해고로 해석 

신규 직원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수습, 시용, 인턴 기간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 신규 입사자의 경우 3개월의 수습기간을 정하거나, 시용계약임을 명시하는 근로계약서를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관계없이 쉽게 볼 수 있다. 이러한 기간을 설정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무엇보다 업무능력 검토 등 직원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일 것이다.

그러나 수습, 시용 등의 계약을 3개월(또는 그 기간)만 고용관계가 유지되는 ‘기간제 근로계약’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 이 때문에 수습, 시용기간이 만료한 후 근로계약을 해지해 분쟁이 종종 발생한다.

수습·시용, 다른 형태 계약이지만 실무상 동일 적용

근로기준법에서는 수습과 시용의 개념에 대해 명확히 정의하고 있지 않다. 수습근로의 경우 근로기준법 제35조 및 동법 시행령 제16조에 따라 해고예고의 적용제외 대상이며, 수습 사용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인 자로 정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습 근로기간이란 정식 근로계약을 체결한 상황에서 업무에 필요한 기술 또는 지식을 습득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또 시용 근로기간은 본계약 계약 해지권이 유보된 상태에서 일정기간 근로자의 업무능력 등을 평가하는 기간에 해당한다.

개념상으로 보면 수습과 시용은 다른 형태의 계약이지만, 실무에서는 이를 동일한 형태로 적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시용계약-해지.png

수습·시용 근로계약 해지, 계약직 근로계약 종료로 판단

수습 및 시용 계약기간이 도래해 해당 근로자와의 근로계약을 해지할 경우 법정분쟁이 발생한다. 계약직 근로자의 계약해지와 유사한 형태로 판단해, 계약기간 만료에 따른 계약해지로 근로계약을 종료하는 것이다.

그러나 객관적 평가 없이(또는 특별한 사유 없이) 시용기간 만료 후 계약을 해지할 경우 판례는 계약기간 만료가 아닌 해고로 해석한다. ‘보통의 해고보다는 넓게 인정되나, 이 경우에도 객관적으로 합리적인 이유가 존재하여 사회통념상 상당하다고 인정되어야 한다’고 판시하고 있다.(대법원 2006. 2.24. 선고 2002다62432 판결)

시용계약은 본계약 체결 전 단계의 기간제 기간이 아닌 본계약에 대한 해지권이 유보된 것이며, 그 계약해지권 행사는 통상 근로자의 해고보다는 넓게 인정되지만 해고의 절차 및 요건을 갖춰야 한다.

시용계약 후 본채용 거부 시 해고의 서면통지 요건

시용기간 1개월을 설정한 근로자에 대해 시용기간 만료 후 서면으로 해고통보를 하고, 해고사유는 시용기간 만료로 명시한 경우가 있었다. 이에 대해 근로자는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했고, 지방노동위원회 및 중앙노동위원회는 본채용 거부는 정당하다고 판정했다.

노동위원회는 사유의 정당성을 근거로 판정했으며, 해고의 서면통지에 대한 요건은 판단하지 않았다. 반면 행정법원 및 고등법원, 대법원은 해고 서면통지에 대한 요건이 미비하다는 이유로 중앙노동위원회의 재심판정을 취소했다.

근로기준법 제27조는 사용자가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해고사유와 해고시기를 서면으로 통지해야 그 효력이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해고사유 등의 서면통지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근로자를 해고하는 데 신중을 기하게 하고, 아울러 해고의 존부 및 시기와 그 사유를 명확하게 해 사후에 이를 둘러싼 분쟁이 적정하고 용이하게 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근로자에게도 해고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취지가 담겼다. 사용자가 해고사유 등을 서면으로 통지할 때는 근로자의 처지에서 그 해고사유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어야 한다.(대법원 2011.10.27. 선고 2011다42324 판결 등 참조)

이 사건의 쟁점은 시용계약 기간 종료 후 본계약을 사용자가 거부하는 과정에서 근로기준법 제27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해고사유를 구체적으로 명시했는지 여부다.

노동위원회의 판단은 시용근로관계에는 근로기준법 제27조 규정이 적용되지 않아 본 근로계약 체결 거부사유를 구두로 통지할 수 있고, 서면통지 시에도 거부사유를 구체적으로 기재할 필요가 없다는 이유로 본채용 거부의 정당성을 인정했다.

특정한 사유없이 기간종료로 근로계약 해지시 분쟁 소지

하지만 법원은 구체적 이유를 명시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절차상 하자가 있어 효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대법원 2015.11.27. 선고 2015두48136 판결)

대법원 2015. 11. 27. 선고 2015두48136 판결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 "근로기준법 제27조는 사용자가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해고사유와 해고시기를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효력이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해고사유 등의 서면통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근로자를 해고하는 데 신중을 기하게 함과 아울러, 해고의 존부 및 시기와 사유를 명확하게 하여 사후에 이를 둘러싼 분쟁이 적정하고 용이하게 해결될 수 있도록 하고, 근로자에게도 해고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취지이므로, 사용자가 해고사유 등을 서면으로 통지할 때에는 근로자의 처지에서 해고사유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어야 한다.
  • 한편 근로자의 직업적 능력, 자질, 인품, 성실성 등 업무적격성을 관찰·판단하고 평가하려는 시용제도의 취지·목적에 비추어 볼 때, 사용자가 시용기간 만료 시 본 근로계약 체결을 거부하는 것은 일반적인 해고보다 넓게 인정될 수 있으나, 그 경우에도 객관적으로 합리적인 이유가 존재하여 사회통념상 상당성이 있어야 한다.
  • 위와 같은 근로기준법 규정의 내용과 취지, 시용기간 만료 시 본 근로계약 체결 거부의 정당성 요건 등을 종합하면, 시용근로관계에서 사용자가 본 근로계약 체결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근로자에게 거부사유를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구체적·실질적인 거부사유를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기존 판결의 일관된 입장은 시용계약 만료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임의로 계약해지권을 행사 할 수 없으며, 객관적으로 합리적 이유가 존재해 사회통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 판결의 경우 더 나아가 통상 근로자의 해고시 서면예고와 동일한 수준의 구체적 사유명시 등의 절차를 준수해야만 그 정당성이 인정된다고 판시하고 있다.

수습 및 시용계약 기간이 종료된 이후 수습계약 해지가 통상의 근로자와 비교해 그 해고의 사유를 넓게 인정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사용자의 주관적 판단 또는 특정한 사유없이 기간 종료 등을 이유로 근로계약 해지 또는 본계약을 거부할 때는 법정분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부당해고에 해당될 수 있기 때문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더 나아가 근로계약을 실제 체결하지 않은 채용내정 상태 또한 시용계약과 유사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관련 정보

Atachment
첨부파일 '1'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1. 연차휴가의 근무일 대체사용에 대해

    연차휴가 대체사용, 부당 사례 많아 1997년 3월 13일 제정된 근로기준법에서는 종전의 근로기준법에서 포괄하고 있지 않던 연차휴가의 근로일 대체사용이 가능하도록 했다. 연차휴가제도의 탄력적 운용이라는 취지하...
    2024.04.14 조회14937 file
    Read More
  2. 연차유급휴가 사용가능일수보다 부족한 기간을 근무하고 퇴직한 노동자의 연차수당

    연차유급휴가 사용가능일수보다 부족한 기간을 근무하고 퇴직한 노동자의 연차수당 금융권회사에 근무하는 노동자 홍길동은 1969.4.1 회사에 입사하여 1998.4.1부터 44일의 연차휴가청구권이 발생한 상태에서 1998.4....
    2024.04.15 조회16963 file
    Read More
  3. 연봉총액에 포함된 퇴직금에 대한 노동부 태도 문제 있다

    연봉총액에 포함된 퇴직금 요샌 연봉제와 관련된 상담이 최근 부쩍 늘었다. 조직의 효율성을 높인다며 기업들이 우후죽순처럼 무분별하게 도입한 연봉제도는 결국 조직내 결속력 약화, 노동자의 사기저하 등으로 인해...
    2024.04.15 조회31385 file
    Read More
  4. 시용기간 끝나 근로계약 해지하면 분쟁 소지

    시용기간 끝나 근로계약 해지하면 분쟁 소지 특별한 사유없이 해지하면 계약기간 만료가 아닌 해고로 해석 신규 직원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수습, 시용, 인턴 기간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 신규 입사자의 경우 3개월...
    2024.04.16 조회4309 file
    Read More
  5. 상여금 매월 균등분할 지급시 통상임금 포함여부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시키는 등 공정한 해석과 집행이 요구된다 각종 수당과 상여금을 연봉총액 또는 월급총액에 산입하는 이른바, 총액임금관리방식이 일선 사업장에 확산되고 있다. 특히 연봉제가 도입되면서 ...
    2024.04.14 조회21612 file
    Read More
  6. 사업자 등록한 ‘소사장’ 근로자일까 사장일까

    사업자등록 여부가 근로계약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근로관계 단절 경위, 운영의 독자성·노무지휘권 존부 등 따라 판단 ‘소사장’이라 하더라도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할 수 있다. 소사...
    2024.04.16 조회6563 file
    Read More
  7. 복지포인트는 임금일까?

    복지포인트는 통상임금은 물론 임금도 아니다 대법원 다수, ‘근로복지’ 개념 등을 근거로 복지포인트의 임금성 부정 복지포인트제는,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복지포인트를 부여하면 정해진 사용처에서 물품...
    2024.04.18 조회11708 file
    Read More
  8. 법정정년제 적용, 취업규칙 제도 정비 서둘러야

    정년제와 취업규칙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를 보면, 우리나라는 2000년에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를 넘어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2018년에는 14%를 넘어 ‘고령사회’, 2025년에는 20%로...
    2024.04.16 조회937 file
    Read More
  9. 미투, 성희롱 피해자 도운 근로자 징계는 위법…손해배상도 해야

    서지현 검사, 미투, ‘미퍼스트’ 그리고 르노삼성 대법, 성희롱 피해자 도운 근로자 징계 위법…손해배상책임도 인정 사업장내 성희롱 사건의 피해자와 피해자를 도운 동료직원에게 불이익한 인사처...
    2018.05.08 조회1708 file
    Read More
  10. 도보 자가용 대중교통을 이용한 출퇴근 사고 모두 산재

    회사가 제공한 교통수단을 이용해야만 산재가 되는 것은 아니다 헌재, ‘심판대상조항’ 위헌…내년말까지 산재보험법 개정해야 산업사회의 발달로 생산과정에서 근로자의 재해발생은 불가피한 현상...
    2024.04.16 조회523 file
    Read More
  11. 대학교 조교도 근로자, 퇴직금 지급해야

    학교로부터 받는 장학금 명목의 금품은 근로제공의 댓가, 업무종속성 인정 최근(2017.11월) 고용노동부가 대학교 조교도 근로자라고 결정했습니다. 그동안 대학교 조교는 캐디 학습지교사 보험설계사 대리기사 등과 ...
    2017.11.14 조회1434 file
    Read More
  12. 대체휴일이 유효하기 위한 요건

    휴일 대체는 회사 마음대로? 무분별한 휴일대체 비일비재 A사는 원청사로부터 급작스럽게 생산물량을 증가해줄 것을 요청받고 토요일 퇴근 무렵 전체 노동자들에게 주휴일(일요일)에 근무하고 다른 근무일에 쉴 것을 ...
    2024.04.15 조회15141 file
    Read More
  13. 당직근무에 대해 연장·휴일근로수당을 받을 수 있나

    당직근무와 연장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당직근무는 당직수당만 지급하는 끝? 한 사회복지기관에서 일선 사회복지업무를 맡고 있는 노동자 이몽룡은 장시간노동에 따른 고통을 호소해왔다. 얘기인 즉, 일주일 간격으로...
    2024.04.15 조회23901 file
    Read More
  14. 노사관행에 의한 근로조건과 변경요건

    노사관행은 함부로 바꿔도 되나? 노사관행에 의한 근로조건 300인 규모의 제조업 사업장의 사무직노동자가 회사측의 당직수당제도 변경조치에 따른 심층상담을 요청해왔다. 내용인즉, 회사에서는 10여년전부터 취업규...
    2024.04.15 조회14815 file
    Read More
  15. 노동관행이 근로계약으로 인정되기 위한 요건

    회사관행과 근로계약 지방자치단체인 B시에서 공원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상용일용직 노동자들은 2004년 2월부터 갑작스럽게 2일분의 기본급여액에 상당하는 임금이 월급총액에서 지급되지 않는 황당한 일을 겪게되었다...
    2024.04.15 조회15269 file
    Read More
  16. 기간제 근로계약 공백기간 전후의 근로관계가 계속되었다고 평가될 수 있는지 여부의 판단기준

    기간제 근로계약 사이에 공백기간의 의미 산업현장에서는 사업장 필요에 따라 반복적으로 근로계약을 갱신하며, 기간제근로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2024.04.18 조회4387 file
    Read More
  17. 근로계약서, 법, 사규, 단체협약이 서로 다를 때 우선순위는?

    ‘상위법 우선’ 원칙과 함께 근로자에게 ‘유리한 조건 우선’ 적용 사업주와 근로자가 근로관계를 유지하는 기간 내내 양 당사자를 규율하는 많은 규범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규범은 사업주와...
    2024.04.16 조회24906 file
    Read More
  18. 근로계약, 해고통보, 연차휴가촉진은 '서면’ 원칙

    근로계약 체결, 해고통지, 연차휴가 촉진의 방법과 원칙 이메일 · 문자메시지 해고통지, 전자문서 보편화로 다툼 늘어 근로관계의 형성 및 유지, 해지과정에서 중요한 사항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서면으로 작성...
    2024.04.15 조회2147 file
    Read More
  19.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자살은 업무상 재해

    스트레스와 업무상 재해 여부 현대사회에서 노동자는 증가하는 업무량과 경쟁·실적에 대한 중압감으로 많은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이는 비단 고객응대가 주 업무인 감정노동자나 영업직노동자에게만 국한된 것...
    2024.04.17 조회1554 file
    Read More
  20. 공정성이 결여된 채용절차의 위법성 그리고 사용자의 손해배상 의무

    채용비리에 따른 피해자 정신적 고통 배상해야 직원채용의 과정에서 행사할 수 있는 자율성 내지 재량성은 어디까지나 관련 법규 및 인사관리규정 및 채용계획 등 피고 내부의 규정 등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에 따라 ...
    2024.04.16 조회1881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