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lontina 2017.05.18 16:26

안녕하세요, 일반계약직 계약기간과 관련하여 연차발생기준 문의드립니다.


1. 계약기간 2015.01.01 ~ 2017.12.31

2. 계약기간에 따라 12월 31일자로 퇴사하는 직원에 대해 연차발생개수가 15개인지, 15+15개 = 30개로 적용을 하는건지 여쭤봅니다.

    2018.01.01까지 다녀야 1년 만근으로 보는건지, 1년 만근 기준이 12.31일인건지 헷갈리네요

   만약 1년 기준이 1.1일이라고 하면, 계약기간 2년 초과로 정규직 전환 의무가 생기는거죠~?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대전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300인이상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있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7.06.15 17:09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201511일부터 20171231일까지 근로계약기간으로 정했고 해당 근로자가 20171231일까지 근로제공하고 퇴사했다면 해당 근로자의 퇴사일은 201811일이 됩니다.

    이 경우 계속근로기간 2년 이상으로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한 연차휴가 15일씩 총 30일의 연차휴가가 발생됩니다. 다만 근로자의 퇴사로 인해 해당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2017.1.1.~12.31 출근율에 따라 2018.1.1.에 발생하는 연차휴가는 연차수당으로 현금 보상해야 합니다.

    또한 기간제법의 적용제외 대상(55세 이상의 고령자임시계절적 요인으로 채용한 기간제등)이 아닌 경우 무기계약직 전환대상이 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연차초과시 퇴직금정산 1 2017.06.07 1844
해고·징계 권고사직으로 인한 합의금 문제 1 2017.06.07 2307
임금·퇴직금 안녕하세요 노동부에 신고한 상태입니다. 조언 받고 싶어서 오게 ... 1 2017.06.07 346
임금·퇴직금 연차사용시 식대와교통비공제 1 2017.06.07 1087
임금·퇴직금 퇴직기간문의 1 2017.06.07 283
휴일·휴가 휴게시간 or 대기시간 1 2017.06.07 767
고용보험 통근곤란으로인한 퇴사 1 2017.06.07 718
최저임금 주당비 3교대 근무 계산식 1 2017.06.07 9804
기타 해외파견시 급여에 관해 문의 드립니다. 1 2017.06.06 818
비정규직 궁금한것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1 2017.06.06 193
근로계약 임금 삭감으로 인한 퇴사 1 2017.06.05 1744
휴일·휴가 포괄임금제에서 연차사용 1 2017.06.05 802
임금·퇴직금 3조3교대에서 4조3교대로 변경 2 2017.06.04 4358
근로계약 무단퇴사 시~~ 1 2017.06.04 1194
기타 알바했던 업체 사장이 저한테 허위사실유포했다고 당장 내일 고소... 2 2017.06.04 799
임금·퇴직금 시간외근무수당 1 2017.06.04 566
임금·퇴직금 주휴수당받을수있나요? 1 2017.06.04 847
휴일·휴가 감단직 근무자의 연차수당 1 2017.06.03 4807
임금·퇴직금 퇴직금 계산시 통상임금 1 2017.06.02 12948
임금·퇴직금 임금, 특근수당 및 연차수당 1 2017.06.02 855
Board Pagination Prev 1 ... 1065 1066 1067 1068 1069 1070 1071 1072 1073 1074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