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09.12 13:29

안녕하세요. 이원민 님, 한국노총입니다.

1. 고용보험에서 지급되는 실업급여는 근로자가 '비자발적인 사유'로 인해 이직하게 될 때, 다른 직장을 구하는데 필요한 생활유지비 정도를 지원하는 제도로써 국가에서 시행하는 사회보험급여입니다. 이와 관련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노동OK 73번 사례 【실업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는 이직사유는?】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이에 반하여 근로기준법상의 해고수당은 사용자가 근로자를 해고하고자 할 때 30일 전에 해고예고를 하여야 하나, 이를 지키지 못하고 갑작스럽게 해고하는 경우 해고예고기간을 두지 않은 것에 대한 보상으로 30일분의 통상임금을 해당근로자에게 지급하는 것으로써 해고의 사유가 정당하든, 부당하든 관계가 없습니다. 해고와 해고수당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 노동OK 50번 사례 【해고와 해고수당은 ?】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두 제도는 실업한 근로자의 생계를 유지한다는 점에서 일면 상응하는 부분이 있기는 하나 엄연히 별개의 제도로써 해고예고기간을 두지 않은 채 해고당한 근로자는 노동부에 실업급여를 신청할 수 있고 아울러 사업주에게 해고수당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용자의 해고사유가 근로자의 중대한 귀책사유에 의한 해고가 아니어야 합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이원민 wrote:
> 노동부에 실업급여를 신청하고 얼마간의 금액을 받았습니다..
> 실업급여를 받은 경우에도 부당한 해고에 따른 해고수당 청구 등을 회사에 요구할 수
> 있는지요...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Re: 고용보험 교육직에 대하여 2001.09.18 426
퇴직금과 지방노동사무소에 관해서... 2001.09.17 546
Re: 퇴직금과 (사업주가 조사과정에 출석하지 않는 경우) 2001.09.18 972
청소년 아르바이트 시간문의 2001.09.16 1136
Re: 청소년 아르바이트 시간문의 2001.09.17 963
20동안의 임금은? 2001.09.16 391
Re: 20동안의 임금은? 2001.09.17 378
꼭 일어주시고 꼭 빠른답변좀 해주세요 2001.09.16 501
Re: 꼭 일어(갑작스런 퇴사로 임금을 지불하지 않는 경우) 2001.09.17 396
산재보험에 대한 글 더 자세히 올립니다. 2001.09.16 391
Re: 산재보험에 대한 글 더(지입차주의 근로자여부) 2001.09.17 1197
궁금한게 있는데... 2001.09.16 332
Re: 궁금한게 있는데... 2001.09.17 356
퇴사후 급여를 제대로 주지않습니다 2001.09.16 471
Re: 퇴사후 급여를 제대로 주지않습니다 2001.09.17 600
퇴사를 유도한것도 부당해고에 해당되나요? 2001.09.16 660
Re: 퇴사를 유도한것도 부당해고에 해당되나요? 2001.09.17 700
도와주세요! 2001.09.16 340
Re: 도와주세요!(임금과 퇴직금) 2001.09.17 388
급여산정에 관해서.. 2001.09.16 347
Board Pagination Prev 1 ... 5396 5397 5398 5399 5400 5401 5402 5403 5404 5405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