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d_nick 2019.09.18 01:13

현재 업무량이 일정치 않은 부서에서 주간생산직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최근 업무량이 증가하여 52시간을 맞추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습니다.


근래에 교대근무에서 주간근무로 근무조 변경을 한 경우인데다, 

취업규칙이나 회사내규 등은 게시되어있거나 통지받은 부분이 없어 내용을 알지 못하며

주간생산직 자체가 매우 적은 회사라서 동료중엔 해당 부분을 제대로 아는 사람도 없습니다.

너무 꽁꽁싸매고 안 보여주려는 것 같아 대놓고 인사과에서 알아보기엔 불이익을 받을까 걱정도 됩니다.


현재까지는 대강 눈대중으로 52시간을 맞추어 일하였으나 업무가 과중되어 밀리기 시작하자

윗사람이 "3개월 평균으로 52시간을 맞추면 된다." 이렇게 설명을 하더라구요.

7월(평균 40시간) - 8월(평균 52시간) - 9월 평균(64시간) 이런식으로요.

하지만 그 사람도 제대로 알고 있지 않은 상태로 알려주는 듯하여 문의 드립니다.



1. 취업규칙이나 회사내규등이 공개되어있지 않은 경우 회사에 익명을 유지한채로 열람할 수 있을까요?


2.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근무를 탄력근로로 볼 수 있나요?


2-1. 위 설명과 같이 3개월 근무를 했을때 분기별로 단위를 끊어서 계산하나요, 

아니면 직전월(8월)과 직전월전월(7월)로 계산하나요? 아니면 별도로 노사간의 합의된 기간인가요?


3. 주 52시간이 실근로시간을 기준으로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 경우 공휴일, 휴무등의 이유로 40시간의 근로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기간내에 64시간 이상의 근무가 가능하다고 볼 수 있을까요?


4. 회사에서 52시간이 초과되는 경우 연차 혹은 무급휴무를 하여 평균시간을 52시간으로 맞춘다고 합니다. 

그런데 연차를 모두 소진하여 없는 경우, 무급휴무를 하게되면 주휴 인정이 안 된다고 합니다. 

이 경우 회사의 사정으로 쉬게되는 부분인데도, 주휴 인정이 안되는 것이 맞나요?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경기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300인이상
본인 직무 직종 생산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9.09.20 17:47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2)탄력근로제를 시행하여야 하는데 근로기준법 제 51조에 따라 근로자과반이상의 동의로 선출된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가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근로자대표선출과 근로자대표와 회사측이 서면합의를 통해 탄력근로제 시행에 합의했다면 적법한 시행이라고 볼 수 있으나 이러한 절차가 없었다면 근로기준법 제 51조 위반 및 1주 연장근로 한도를 12시간으로 정한 근로기준법 제 53조 위반이 됩니다. 우선은 사업장의 취업규칙에 탄력적 근로시간제 시행이 명시되어 있는지? 없다면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가 있었는지?가 검토되어야 회사측의 연장근로 한도 위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2)근로자대표와 서면합의시 탄력근로제의 기간과 대상 근로자의 범위, 단위기간의 근로일과 그 근로일별 근로시간등을 기재하여 합의해야 합니다.

     

    3) 300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유급휴일역시 연장근로 12시간에 포함됩니다.

     

    4) 귀하의 문제의식처럼 연차휴가를 소진하는 경우 이는 근로자가 원하는 시기에 연차휴가 사용을 정한 근로기준법 제 60조 위반 행위가 되며, 연차휴가가 없는 근로자에 대해 무급휴무를 강제하는 것은 사용자의 귀책에 따른 휴업시 평균임금의 70%를 보전하도록 정한 근로기준법 제 43조 위반 행위가 됩니다. 따라서 이에 대해 주휴를 인정하지 않는 것도 근로기준법 위반이 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휴일·휴가 2년 미만 근로자 연차촉진제 적용 여부 1 2019.09.25 257
휴일·휴가 연차촉진제 및 연차대체 관련 문의 1 2019.09.25 304
임금·퇴직금 월 급여 160, 복리후생비 20인 신입사원의 최저임금 저촉 문제. 1 2019.09.25 1082
휴일·휴가 해외근로자의 유급휴가 1 2019.09.25 301
해고·징계 질병에 의한 산재 근로자 복직이후 문의 1 2019.09.25 1443
임금·퇴직금 24시간 2교대근무 급여문의요 1 2019.09.25 1462
휴일·휴가 퇴사시 잔여연차 문의 드립니다. 1 2019.09.25 265
임금·퇴직금 한달임금산정기준 1 2019.09.25 111
여성 육아휴직 인사평가 1 2019.09.25 1645
휴일·휴가 병가 문의요~ 1 2019.09.25 349
임금·퇴직금 부조금 1 2019.09.25 345
고용보험 실업급여 수급조건인 임금체불 2개월 기준 날짜 문의드립니다. 1 2019.09.25 1265
임금·퇴직금 퇴직시 연차정산 방법 1 2019.09.24 1298
고용보험 고용산재가입 1 2019.09.24 196
임금·퇴직금 퇴직시 연차수당 산정 1 2019.09.24 148
기타 근무지 이전 발생이후 얼마뒤까지 퇴직해야 실업급여 인정이가능... 1 2019.09.24 586
임금·퇴직금 퇴직금 중간정산 소급과 파업에따른 주차와 연차관계 4 2019.09.23 446
비정규직 비정규직 전환 시기 관련 문의 입니다. 1 2019.09.23 137
기타 파견대상업무 관련 질의 2 2019.09.23 737
임금·퇴직금 중도퇴사자 연말정산 절차 및 방법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019.09.23 2687
Board Pagination Prev 1 ...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 5856 Next
/ 5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