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oo 2018.11.15 10:58

연차발생기준 입사일 : 2013년 7월 29일

연차 발생일 : 2016년 12월 1일 (사용기간 : 2016년 12월 1일~2017년 11월 30일, 근속기간 기준 16일 발생)

사사휴직 기간 : 2017년 9월 1일~2018년 8월 31일 (근속기간 미포함)

휴직 전에 발생되었던 연차휴가 16일을 모두 소진 후 휴직


복직일이 9월 1일인데, 9월 1일자로 저희 회사가 다른 회사로 합병되어, 

연차 사용 종료일이 18년 12월 31일까지로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올 해 9월 1일로 복직 후 차기년도 연차 발생일(19년 1월 1일) 전까지 사용 가능한 연차일수가 궁금합니다.


현재 제가 올 해 사용가능하다고 부여받은 연차는 1일입니다.

제 계산으로는, 휴가발생일에서 휴직전까지 기간인 274일동안 만근했고,

(2016년 12월 1일~2017년 8월 30일 (274일) )

2017년 12월 1일부로 274/365*16 = 12개의 휴가가 2018년 11월 30일까지 사용 가능하도록 부여되어야 된다고 생각하는데

제 계산이 맞는지요?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과학기술 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300인이상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노동희망 2018.11.15 22:29작성

    사사휴직기간이 정확히 어떤 휴직을 의미하는 지 알 수 없으나, 해당 휴직기간을 근속기간에서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 또는 당사자간 정하여 진 경우라면 귀하는 2016. 12. 1 이후 1년간 근무를 한 경우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2017. 8.30까지 274일간 근무한 기간에 대하여는 연차휴가가 전혀 발생하지 않습니다.

     - 만약, 사사휴직 기간이 연차휴가 산정을 위한 근속기간이 인정이 되는 경우에는 2016. 12. 1 ~2017. 11.30 1년 간에 274일은 80% 미만 출근이므로 해당 근속기간 동안 개근한 월에 대하여먄 1일씩의 휴가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만약 2016. 12. 1 ~ 2017. 8.31까지 9개월간 만근을 한 경우라면 9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하겠지요.  끝.


List of Articles
해고·징계 부당해고 취하했는데 노무사비용 손해배상 청구한다고 합니다. 1 2018.11.23 4991
휴일·휴가 휴일근무 거부 1 2018.11.23 1807
휴일·휴가 무급 휴가자의 급여 지급과 관련한 근무일수 산정 1 2018.11.23 1634
기타 사업자 1 2018.11.23 77
임금·퇴직금 임금체불 진정과 회사측의 취하서 요구 질문입니다. 1 2018.11.23 1170
임금·퇴직금 3조 2교대 임금 계산 부탁드립니다. 1 2018.11.22 147
임금·퇴직금 임기제공무원 명절상여금, 연말성과급 지급 관련 1 2018.11.22 11914
임금·퇴직금 비계약서 정규직 실업급여 1 2018.11.22 301
임금·퇴직금 월급제 급여 및 통상임금 문의 2018.11.22 384
휴일·휴가 교대제근무자 공휴일 연차대체 1 2018.11.22 932
임금·퇴직금 퇴직 연차수당 1 2018.11.22 544
임금·퇴직금 복지포인트도 통상임금에 포함되나요? 1 2018.11.22 3478
여성 육아휴직 전 인사고과 불이익 1 2018.11.22 1710
해고·징계 회사 갑질 및 압박 1 2018.11.22 264
해고·징계 갑질 및 퇴사압박으로 인한 실업급여 가능성 1 2018.11.22 1603
임금·퇴직금 퇴직금 계산방법 1 2018.11.22 402
휴일·휴가 연차발생 1 2018.11.22 181
임금·퇴직금 정직기간 중 퇴직연금 부담금 1 2018.11.22 1707
임금·퇴직금 육아휴직과 퇴직금 1 2018.11.22 300
근로시간 주 52시간 초과근무 하는 경우 문의 드립니다. 1 2018.11.22 1982
Board Pagination Prev 1 ... 804 805 806 807 808 809 810 811 812 813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