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라어랴쥬 2018.07.26 22:40

안녕하세요.

공공기관에서 일하다 이번 달 11일에 퇴사한 사람입니다.

질문 내용입니다.

근무기간 : 2016년 6월 20일 ~ 2018년 7월 11일

1. 시간외근무

 - 7월 11일에 퇴사

 - 6월 ~ 7월 시간외 및 월급을 받아야 합니다. (매달 25일 지급)

 6월은 임금을 받았지만, 시간외 18시간은 받지 못했습니다. 

 7월은 8월 25일 들어올 것 같습니다. 시간외는 4시간 입니다.

6~7월 시간외는 7월 급여에 한번에 들어오나요? 아니면 잊어버린 걸까요?

2. 연가

- 6월 20일이 되어 연가가 15일이 발생했습니다.

- 그것을 하루도 안쓰고 나왔는데 그 금액은 마지막 달에 들어오나요

아니면 안주는 건가요?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예술 여가 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100~29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있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8.08.13 17:20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근로기준법 제 36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가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등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하여 그 기일을 연장할 수 있는데귀하의 별도의 동의가 없는 경우라면 711일 퇴사후 14일 이내에 미지급된 7월 시간외 근로에 대한 가산수당이 지급되어야 합니다. 사업장 급여지급일이 25일이라는 이유만으로 825일에 지급하려 할 경우 즉시 지급을 요구하시고 사용자가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고용노동지청에 사용자를 상대로 근로기준법 제 36조 위반에 따른 임금체불 진정을 제기하여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않고 퇴사할 경우 퇴사일로부터 14일 이내에 마찬가지로 연차휴가미사용에 대한 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연차휴가미사용에 대한 수당도 근로기준법상 임금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를 퇴사후 14일 이내에 지급하지 않을 경우 마찬가지로 근로기준법 제 36조 위반에 따른 임금체불이 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근로시간 초과근무에 대한 질문 2023.12.07 189
임금·퇴직금 같은 사업장에서 사업명이 변경 되었을 경우 연속 근로로 보는 것... 1 2023.11.07 264
고용보험 실업급여 서류 2023.08.30 309
기타 복지포인트 1 2023.05.03 490
직장갑질 (공공기관) 직장 상사의 부당한 업무지시와 갑질행위 1 2022.05.02 3243
근로계약 법인내 다른 시설로 이동 1 2022.04.19 479
임금·퇴직금 공공기관 퇴직 시 임금인상분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2022.01.13 249
근로시간 공공기관 4조2교대 공무직근로자 호봉제 적용여부 1 2022.01.02 2716
해고·징계 퇴사처리 지연에 대한 4대보험 신고 관련 문의 2021.09.18 1800
근로계약 근로계약 위반인지 궁금합니다. 1 2021.05.13 290
임금·퇴직금 공공기관 주휴수당 지급도 해석의 여지가 있나요?((미근로= 미지... 2 2020.11.25 1093
임금·퇴직금 국립대학교 2년 계약직 실업급여 1 2020.01.03 1056
» 임금·퇴직금 공공기관에서 퇴직한 사람 1 2018.07.26 357
근로계약 공공기관 출근 후 1 2018.06.06 303
근로계약 연봉 하한액 감액 관련 문의 1 2018.06.05 587
기타 오래 전 부당해고에 대한 대응이 가능한지요? 1 2017.01.19 421
비정규직 기간직 만 2년 근무시 정규직 전환 1 2016.01.19 1723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