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자0 2024.04.03 23:02

월 휴관일 고정 휴무 1일

화~일 선택 휴무1일

주5일근무자입니다.

회사에서

화~일 선택휴무를 특정일 지정하려합니다.

1일은 선택휴무여서 여태 그렇게 해왔습니다.

선택권이 있었는 데 침해한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법적문제는 없는지요.

근로계약서상 월요일 주휴일(유급휴일)외 휴무에 관한 사항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일월쉬는 사람이 화요일도 우선해 쉴 수 있도록 하고 

화요일 쉬려면 휴무는 안되고 연차를 쓰라고 합니다.

이거 연차 강요인거 같은데요

선택휴무를 못쓰게 하고 연차를 쓰라는 강요인데 법적 문제없나요?

선택휴무를 회사에서 맘대로 자정해 쉬게할 권리가 있나요?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전남
회사 업종 예술 여가 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20~49인
본인 직무 직종 단순노무직
노동조합 있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4.04.15 17:19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근로기준법 제 17조에 따라 근로계약시 소정근로일을 명시해야 합니다. 1일 8시간, 1주 40시간의 법정 근로시간 내에서 소정근로시간이 정해져야 해당일을 제외한 근로제공의 의무가 없는 주휴일이나 무급휴무일에 근로제공시 초과근로에 따른 가산율을 적용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의적이고 사후적으로 소정근로시간 휴일을 유동적으로 하여 무급휴무일을 사용자가 특정하는 경우 이는 근로자의 생활상의 불편이 크며 근로계약시 서면에 소정근로시간과 휴일등 근로조건을 명시하도록 정한 근로기준법 제 17조 위반으로 보고 사용자를 상대로 거부의사를 표시하시고 이를 계속하여 강행할 경우 관할 고용노동지청에 진정을 제기하여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기타 최저임금 미달에 퇴직금 미지급입니다. 2024.04.23 133
해고·징계 부당해고 인용 후 회사에서 부당이득금 반환소송을 걸어왔습니다. 1 update 2024.04.23 257
임금·퇴직금 휴업급여 신청시 퇴직연금 지급여부 1 update 2024.04.23 125
고용보험 산업기능요원 복무만료일 실업급여대상 여부 1 update 2024.04.23 120
최저임금 최저임금 어느게맞는거죠? 1 update 2024.04.23 75
휴일·휴가 정지휴업 1 2024.04.23 74
임금·퇴직금 주휴수당 1 update 2024.04.23 123
해고·징계 부당해고관련문의 2024.04.23 167
임금·퇴직금 퇴직금 산정시 시간외근무수당 불산입 불법여부(노사합의사항) 2024.04.23 219
근로계약 임단협 위반 2024.04.22 81
기타 단기계약직 실업급여 문의 2024.04.22 175
휴일·휴가 주말근무 평일대체휴무 1 2024.04.22 305
임금·퇴직금 일용직이라고 5년넘게 일한곳에서 퇴직금을 못준다고 합니다. 1 update 2024.04.22 334
휴일·휴가 연차수당 관련해서 상담문의드립니다! 1 2024.04.22 101
해고·징계 권고사직이지만 정정하는경우 1 2024.04.22 141
산업재해 산재 요양 후 복귀 1 2024.04.22 134
임금·퇴직금 퇴직금에서 고정상여금을 반영하여주지 않았습니다. 1 2024.04.20 220
고용보험 육아로인한 퇴사로 실업급여 불인정,, 1 2024.04.19 281
임금·퇴직금 여러개의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근로자의 퇴직금(DB) 문제 1 2024.04.19 100
기타 중도퇴사자에 대해 상여 지급시 원천징수 방법 1 2024.04.19 203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861 Next
/ 5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