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 277개를 찾았습니다

  • 공공기관 퇴직 시 임금인상분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지난해 11월 20일 부로 부산에 있는 기타 공공기관을 퇴사하였습니다. 해당 회사는 상시근로자 160여명에 노동조합이 존재합니다. 사측에서는 단협이 제가 퇴사한 이후인 12월 말에 체결되었기 때문에 임...
    docta04 | 2022-01-13 15:44 | 조회 수 265
  • 해외법인 주재원 근무중 발생한 급여, 주택월세, 출장경비 체불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본인은 2005년에 입사하여 현재도 동일한 회사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입니다. 해외법인에서 5년 6개월 동안 근무하고 현재는 복귀하여 근무중 입니다. 해외법인의 성격은 한국회사와 외국회사가 공동투자...
    개구장이스머프 | 2022-01-12 15:08 | 조회 수 2161
  • 1년 기간제 계약…최대 연차휴가는 26일 아닌11일
    1년 기간제(계약직) 근로자의 최대 연차휴가는 11일, 기존 11일+15일에서 15일은 안줘도 돼 1년 기간제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최대 연차휴가는 11일이라는 대법원의 판결(대법원 2021.10.14. 선고 2...
    상담소 | 2021-12-17 09:44 | 조회 수 10438
  • 만 1년(365일) 근무 후 퇴직시 연차휴가 발생 여부
    만 1년(365일) 근무 후 퇴직시 연차휴가 발생 여부 (2021.12.15. 노동부 행정해석 변경) 대법원, 연차휴가의 사용은 계속 근로관계가 있어야 한다고 결정 2021.10.14 대법원에서는 연차휴가의 발생과 사용에 대해 (발...
    상담소 | 2022-01-09 23:13 | 조회 수 108977
  • 퇴직자의 연차수당 지급 관련입니다. [1]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2020. 6. 16.일자에 입사하셔서, 2021. 9. 16.일자로 퇴사하신 분이 계시는데요.. 노동 OK로 연차휴가 계산을 해보니 하기와 같습니다. 입사일 기준(근로기준법): 1년미만(2020.7.16.~20...
    쭝이 | 2022-01-05 18:04 | 조회 수 294
  • 학생연구자에 대한 산재보험료 및 보험급여 산정의기초가 되는 보수액 및 평균임금
    학생연구자에 대한 산재보험료 및 보험급여 산정의기초가 되는 보수액 및 평균임금 고용노동부고시 제2021 - 102호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제48조의5제1항 및 「산업재해보상...
    상담소 | 2022-01-04 18:20 | 조회 수 913
  • 휴일의 대체 관련 [1]
    5인이상 30인 이하의 법인복지단체에서 비영리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원입니다. 총 4대의 차량과 운전원이 있는데, 평일은 3-4명이 근무를 하지만, 주말은 순번대로 근로를 하고 있습니다. 즉 4주의 한번은 월-금까지 4...
    서전트 | 2022-01-04 17:57 | 조회 수 391
  • 불법파견 적발 후 직고용시 불이익한 근로조건
    안녕하세요. 저는 하청업체 소속직원으로 일했는데 이번에 노동부감사로 불법파견으로 적발되어 원청소속으로 직고용되는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아직 하청소속으로 되어 있구요. 1월 중순경 직고용절차가 완료될것으...
    sokako | 2022-01-03 18:18 | 조회 수 301
  • 퇴사통보와 연차 거부에 대한 문의드립니다. [1]
    IT 개발자입니다. 이직이 확정되어 약 보름 후 퇴사하겠다고 회사에 통보하였으나 대표가 퇴사 불가 통보를 하였습니다. 취업규칙에 30일전 퇴사 통보를 해야하고 그것을 위배하였으니 다 다녀야한다고 합니다. 저는 ...
    stargazer | 2022-01-01 11:26 | 조회 수 4215
  • 퇴직금 문의 [1]
    퇴직금 계산 관련하여 궁금한게 있어 문의드립니다. 2014년 3월부터 2021년 9월까지 근무했고. 2021년 10월1일부터 휴가, 연차 소진 후 출산휴가 시작하는 것으로하여 2달(10월26일-12월24일까지)은 회사에서 급여를 ...
    아콩 | 2021-12-31 19:51 | 조회 수 1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