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로나라 2019.02.25 13:52

안녕 하세요 .

저희 회사는  주6일 근무, 하루 8시간 근무 합니다.

1일 8시간 5일 근무 40시간 이 아닌 48일 변경시  근무 취업  문구 알려 주십시요

(직원수는 7명 입니다)

 ---------   이래 취업 규칙 문구 --------------

24(소정근로시간)

1주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8시간으로 하되, 개인별, 직종별로 달리 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1일의 근로시간은 제25조의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8시간으로 하되, 개인별, 직종별로 달리 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시업 및 종업시간은 다음과 같다. 다만 회사의 사정, 개인 및 직종의 차이, 계절적인 조건 등을 감안하여 그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 주간 : 08:00~17:00

25(휴게)

휴계시간은 점심시간 12:00 ~ 13:00 그 외 시간은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26(탄력적 근로시간제)

회사는 직원에게 2주 이내의 일정한 단위기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근로시간이 48시간을 초과하 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특정주에 40시간을, 특정일에 8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할 수 있다. 다만, 특정주의 근로시간은 52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회사는 직원과의 서면합의에 의하여 3개월 이내의 단위기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근로시간이 48시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특정주에 40시간을, 특정일에 8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할 수 있다. 다만 특정주의 근로시간은 52시간을, 특정일의 근로시간은 12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직 원과의 서면합의의 내용은 대상사원의 범위, 단위기간, 단위기간에 있어서 근로일 및 당해 근로일 별 근로시간, 서면합의의 유효기간이 포함되어야 하고 기존의 임금수준이 저하되지 아니하도록 임금보 존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회사는 제1항 및 2항에 따라 직원이 특정주에 초과근로를 한 시간에 대하여는 가산임금을 지급 하지 아니한다.

27(선택적 근로시간제)

회사는 취업규칙에 따라 업무의 시작 및 종료시각을 사원의 결정에 맡기기로 한 직원에 대하여 직원대표와의 서면 합의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정 하면 1개월 이내의 정산기간을 평균하여 1주 간의 근로시간이 48시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1주간에 40시간을, 1일에 8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할 수 있다.

1. 대상자의 범위(15세 이상 18세 미만의 근로자는 제외한다)

2. 정산기간 (1개월 이내의 일정한 기간으로 정하여야 한다)

3. 정산기간의 총 근로시간

4. 반드시 근로하여야 할 시간대를 정하는 경우에는 그 시작 및 종료시각

5. 직원이 그의 결정에 따라 근로할 수 있는 시간대를 정하는 경우에는 그 시작 및 종료시각

6. 서면합의의 유효기간

7. 표준근로시간(유급휴가 등의 계산 기준으로 사용자와 직원대표가 합의하여 정한 1일의 근로시간)

회사는 제1항에 따라 직원이 특정주에 40시간을 초과한 근로에 대하여는 가산임금을 지급하지 아니한다.

28(간주근로시간제)

직원이 출장, 파견 등의 사유로 근로시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업장 밖에서 근로하여 근로시간을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18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본다.

29(연장, 야간 및 휴일근로)

연장근로는 1주일에 12시간을 한도로 실시할 수 있다.

회사는 근로기준법 제59(근로시간 및 휴게시간의 특례)에 따라 직원과와 서면합의를 한 경우 112시간을 초과하여 연장근로를 하거나, 휴게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연장, 야간 및 휴일근로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50%을 가산하여 지급한다.

상기 2항의 가산임금은 포괄임금산정제의 적용을 받는 직원의 경우에는 월 급여에 포함하여 적용 한다.

30(보상휴가제)

회사는 직원대표와의 서면합의에 의하여 연장·야간·휴일근로에 대하여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갈음하여 휴가를 줄 수 있다.

31(야간 및 휴일근로의 제한)

18세 이상의 여성직원을 오후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 근로하게 하거나 휴일에 근로를 시킬 경우 당해 직원의 동의를 얻어 실시한다.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경기
회사 업종 출판 영상 통신 정보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1~4인
본인 직무 직종 단순노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9.03.14 14:00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근로기준법 2조에 따르면 소정근로시간이란 법정근로시간의 범위에서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 정한 근로시간을 말한다고 하므로 소정근로시간을 48시간으로 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아니합니다. 8시간은 연장근로에 해당합니다.

    2.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내용은 2주 이내와 3월 이내로 나뉠 수 있는데 취업규칙에는 혼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2주 이내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경우 취업규칙에 규정하면 실시할 수 있으나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로도 유효하긴 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취업규칙 29조 2항 근로시간 특례는 육상운송, 수상운송업, 항공운송업, 기타 운송서비스업, 보건업에 국한되는 내용입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고용보험 상담 부탁드립니다.. 1 2019.03.06 112
근로시간 교대근무 비교때문에 근로시간 계산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2019.03.06 709
기타 휴게실 입출입 설비의 설치 1 2019.03.06 416
임금·퇴직금 상여금의 통상임금 최저임금 산입여부 1 2019.03.06 283
임금·퇴직금 퇴직금 산입범위에 대해서 1 2019.03.06 728
근로계약 근로계약관련 기간이 한참지났는데 법적으로 신고가능한가요? 1 2019.03.06 327
임금·퇴직금 무급휴가중 법정공휴일이 있을경우 급여지급여부?? 1 2019.03.06 1059
근로계약 서비스업 퇴사통보 상담 1 2019.03.06 242
임금·퇴직금 해고로 인해 정해진날보다 일찍 퇴사하게 됐을시 임금계산이 어떻... 2 2019.03.05 194
근로시간 근로계약서와 다른 업무환경 1 2019.03.05 724
해고·징계 퇴사통보 후 해고? 1 2019.03.05 1598
임금·퇴직금 임금 체불 1 2019.03.05 134
임금·퇴직금 근무지 이전으로 실업급여 신청하려합니다. 1 2019.03.05 1052
임금·퇴직금 임금체불과 4대보험관련해서 사기죄나 횡령죄로 경찰에 고소 할 ... 1 2019.03.05 4269
근로계약 근로계약서 1 2019.03.05 218
휴일·휴가 대체휴무 1 2019.03.05 1594
근로계약 신규법인 분리에 따른 근로계약 고용승계 1 2019.03.05 1296
해고·징계 해고후 복직시 지급된 해고수당은 돌려받을 수 있나요? 1 2019.03.05 215
임금·퇴직금 최저임금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2019.03.05 60
비정규직 유튜브 프로그램 편집 후 못받은 금액 받을 수 있을까요? 1 2019.03.04 326
Board Pagination Prev 1 ... 742 743 744 745 746 747 748 749 750 751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