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5.26

6.4 지방선거와 휴일 그리고 투표권

지방선거와 근로자의 투표권 보장

  • 회사는 근로자가 근로시간 중에 공민권을 행사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청구하는 경우 거부하지 못합니다.
  • '필요한 시간'이란 당해 공민권 행사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 뿐만 아니라 왕복시간 등 부수적 시간, 사전준비 시간, 사후정리 시간 등을 포함한 충분한 시간을 의미합니다.
  • 사용자가 근로자의 청구에도 투표시간을 보장하지 않을 경우 근로자는 사업장을 관할하는 지방 고용노동관서에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 근로자의 신고 전화를 통해 즉시 시정가능하며 이를 이행하지 않는 사업주는 형사처벌 대상입니다.

관련 정보


다운로드


관련법률

근로기준법 제10조 (공민권 행사의 보장)

사용자는 근로자가 근로시간 중에 선거권, 그 밖의 공민권(公民權) 행사 또는 공(公)의 직무를 집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을 청구하면 거부하지 못한다. 다만, 그 권리 행사나 공(公)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에 지장이 없으면 청구한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위반시 2년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공직선거법 제6조 (선거권행사의 보장)

①·② (생 략)

③공무원·학생 또는 다른 사람에게 고용된 자가 선거인명부를 열람하거나 투표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은 보장되어야 하며, 이를 휴무 또는 휴업으로 보지 아니한다. <개정 2008. 2. 29>

④선거권자는 성실하게 선거에 참여하여 선거권을 행사하여야 한다.

⑤(생 략)

공직선거법 제6조의2 (다른 자에게 고용된 사람의 투표시간 보장)

①다른 자에게 고용된 사람이 사전투표기간 및 선거일에 모두 근무를 하는 경우에는 투표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을 고용주에게 청구할 수 있다.

②고용주는 제1항에 따른 청구가 있으면 고용된 사람이 투표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을 보장하여 주어야 한다. (위반시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③고용주는 고용된 사람이 투표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을 청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선거일 전 7일부터 선거일 전 3일까지 인터넷 홈페이지, 사보, 사내게시판 등을 통하여 알려야 한다.

Atachment
첨부파일 '1'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노동OK 자료 노동조합 단체협약 (모범안) file 1999.10.12
노동OK 자료 노동쟁의 실무지침 file 2000.01.28
노동OK 자료 기업구조개선작업(워크아웃)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file 1999.10.15
노동OK 자료 기업구조개선작업(work-out)의 문제점과 노조의 대응방안 file 2000.10.03
노동OK 자료 근로시간면제(타임오프)제도에 대한 노동부 매뉴얼과 한국노총 대응지침 file 2010.09.13
노동OK 자료 근로계약서 작성방법 및 예제 file 2000.06.08
노동OK 자료 교대제근로자 근로기준법 적용지침 file 2023.10.18
노동OK 자료 고용안정협약 (합의서 작성 사례 및 예시) file 1999.10.15
노동OK 자료 고용안정협약 (모범안) file 1999.10.12
노동OK 자료 [실무활용] 경력증명서(이력서) 허위기재의 문제 2013.11.20
» 노동OK 자료 6.4 지방선거와 휴일 그리고 투표권 file 2014.05.26
노동OK 자료 20대 총선 각 정당 노동정책 공약 비교 file 2016.04.07
노동OK 자료 2020년 변화되는 노동관련 제도와 정책- 근로시간 단축/최저임금 file 2020.01.02
노동OK 자료 2009년도 한국노총 공동임단투 지침 file 2009.03.15
노동OK 자료 2008년 한국노총 임금인상 지침 및 표준생계비 file 2008.02.29
노동OK 자료 2007년 한국노총 공동임단투 지침 (임금 및 단체협약) file 2007.02.28
노동OK 자료 2006년 한국노총 공동임단투 지침 (임금 및 단체협약) file 2006.05.19
노동OK 자료 2005년도 임금투쟁 지침과 투쟁계획 (한국노총) file 2005.02.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