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냥꼬냥 2020.09.16 13:44

1. 연장근로수당은  주40시간 또는 일8시간 이후 진행한 경우 인정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로 주간근무(09시~18시) 진행 이후 18~22시까지 연장근무를 진행 한후 근무지에서 숙식을 진행한 후 아침 06시~09시

    까지 연장을 한 경우 아침에 진행한 연장근무가 인정되는지 궁금합니다. 아침 연장을 진행한 경우 주40시간은 채워지지

    않은 상태이나   사회복지거주시설의 특성상 6일주기로 진행하는 관계로 주40시간이 채워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주주야야휴휴패턴으로 인해 주40시간이 채워지지 않습니다.

    그런데 야근무 후 휴로 진행하는 경우 근무표상 휴일에 연장근로2시간이 배정되어 있습니다.

    이때 연장근로 2시간이 인정되는지 궁금합니다.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경기
회사 업종 보건업 사회복지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0.09.18 17:20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근로기준법 제 56조에 따라 연장근로는 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초과하는 근로입니다. 따라서 1일 24시간내에 1일 8시간을 초과한 근로에 대해서는 연장근로가 됩니다. 상담내용에서 오후 18시 이후 22시까지 근로와, 익일 오전 6시부터 오전 9시까지 근무는 연장근로가 됩니다.

    2. 어떤 사유로 휴무일에 2시간의 연장근로를 제공하기로 약정했는지 알 수 없으나, 해당일 1일 8시간을 초과하지 않고, 1주 40시간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연장근로라고 보기 어려워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제 56조에 따른 가산수당을 지급할 의무가 없습니다. 다만 교대근무 형식에서 휴무일에 연장근로로 명확하게 해당 근로시간의 성격을 사용자가 명시했다면 이는 소정근로의 의무가 없는 시간에 근로제공하여 연장근로로 인정하여 초과근로에 따른 가산수당의 지급을 하겠다는 약정으로 보여지는 바 초과근로수당의 지급을 요구하실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근로시간 마이너스 오프 수당과 연장수당 1 2020.09.28 1799
근로시간 심야휴게시간 중 근로에 대한 임금청구 2 2020.09.23 489
근로시간 근로시간에 따른 휴게 시간, 근로 계약서 문의 1 2020.09.22 8175
근로시간 근로계약서 작성시 휴게시간 명시하였으나 중도에 변경가능한지 1 2020.09.22 880
» 근로시간 연장근로수당 산정 1 2020.09.16 222
근로시간 매주 월요일 40분 일찍 출근 문의 1 2020.09.12 377
근로시간 52시간제 2 2020.09.08 238
근로시간 요양보호사 노동착취 관련 해서요. 1 2020.09.03 532
근로시간 근로계약서와 입사후 휴계시간에 근무를 할수 밖에 없습니다 1 2020.09.01 432
근로시간 주52시간 1 2020.09.01 277
근로시간 초과시간계산 1 2020.09.01 256
근로시간 11시간 휴게 시간관련 문의드립니다. 1 2020.08.31 2432
근로시간 심야근무자 소정근로시간 계산법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2020.08.29 4684
근로시간 2조 2교대 근무표 문의 드립니다. 1 2020.08.28 2943
근로시간 근로시간단축 1 2020.08.27 387
근로시간 휴업수당 1 2020.08.27 187
근로시간 소정근로시간 보다 적게 근무한 경우 1 2020.08.27 1897
근로시간 근무패턴 변경에 따른 출근일수 증가(매월 7~8일 1년 90일)에 따... 1 2020.08.25 1049
근로시간 코로나 1 2020.08.24 158
근로시간 브레이크타임 수당 1 2020.08.24 1250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145 Next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