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ue014 2013.02.21 08:48

회사측에서 법정연차휴가 미사용분에 대해 지급을 못하겠다고 합니다.

이에 대해 본인이 인사상 불이익을 감수하더라도 지역노동청에 직접 신청하여 받아낼 수 밖에 없는 건가요?

노조원의 대표인 노조는 노조원을 대신해 연차휴가비, 특근수당등의 미지급에대해

지역노동청에 신청 또는 진정을 넣을 수 있지 않나요?

노조는 사측의 부당행위에 대해 노조원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 건가요?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경기
회사 업종 보건업 사회복지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300인이상
본인 직무 직종 서비스직
노동조합 있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3.02.21 17:22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연차유급휴가미사용수당을 지급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해당 근로자가 체불임금청구권을 가지고 있는 만큼 해당 근로자들의 위임을 받아 해당 사업장을 관할하는 고용노동지청에 체불임금 진정이나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고소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급되어야 할 연차유급휴가미사용수 대해 해당 근로자들의 체불임금진정 등의 조처를 할 수 있도록 자문과 법률적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상담내용만으로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연차유급휴가미사용수당을 지급하지 못하겠다”는 사용자의 의도가 근로기준법에서 보장한 연차유급휴가촉진제도를 사용하여 연차유급휴가사용촉진에도 불구하고 사용하지 않은 잔여연차에 대해 현금보상을 거부하겠다는 것이라면 위법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노동조합 단체협약의 유효기간 1 2013.04.11 1621
노동조합 노사협의회안건이되는지의해석을부탁합니다 1 2013.03.27 2570
노동조합 단체협약상 조합원 범위 규정에 따른 몇가지 질문. 1 2013.03.26 2091
노동조합 노동조합과 사원위원회(노조가 아님) 간의 차별행위 3 2013.03.07 1593
노동조합 노동조합 사업문의 1 2013.02.26 1475
노동조합 회의진행 1 2013.02.25 942
노동조합 조합원의 자격 1 2013.02.25 1146
» 노동조합 회사측의 직원의 연차휴가 미지급에 대한 노조의 역할 1 2013.02.21 1458
노동조합 중식집회와 징계 1 2013.02.07 1174
노동조합 재 질의합니다 1 2013.02.03 860
노동조합 노사협의회 근로자의원 임기 관련입니다. 1 2013.02.01 1903
노동조합 노동조합의 운용 1 2013.01.31 803
노동조합 비상대책위원회 법적 성립 요건 1 2013.01.29 3963
노동조합 조합가입 1 2013.01.11 821
노동조합 상부단체 가입 여부 1 2013.01.10 1055
노동조합 찬조금도 공금인가요? 1 2013.01.05 1225
노동조합 변경신고 1 2012.12.22 936
노동조합 단체협약 근속승진적용시점 변경에 관한 내용입니다. 1 2012.12.21 1206
노동조합 회사요구 특단협 거부할수 있는가요 1 2012.12.19 806
노동조합 근로자대표연임 1 2012.11.26 1631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47 Next
/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