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07

야간근무후 다음날 휴식을 부여하는 경우 유급인가 무급인가?

1일에 22시에서 06시까지 야간근무를 하고 2일에는 야간근무가 없다면 2일은 유급휴가입니까?

답변

달력상의 날짜를 달리하여 계속적으로 근로가 이어지는 경우에는 이를 전날 시작된 근로의 연장으로 보아 근로기준법에 의한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다만, 다음날 대체휴식을 부여해야할 것인지, 그 휴식시간에 대해 임금지급을 해야하는지에 대해서는 법에 정해진 사항이 아니므로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에 정해진 바에 따라야 합니다. 그러한 명시규정이 없다면 관행을 어떠한지를 검토해 보아야 합니다.

아래 노동부 행정해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철야근무 후 대체휴식을 부여한 경우 임금 지급 여부

  • 철야근무로 인한 심신의 피로를 회복시켜 주기 위해 사용자가 대체휴식을 부여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는 무급으로 부여한 것으로 볼 수 있고, 근로자가 이에 따라 출근하지 아니한 경우 철야근무에 따른 무급 대체휴식에 동의한 것으로 볼 수 있음. 다만, 이 대체휴식을 근로기준법에 의한 주휴일로 할 수는 없으며, 결근으로도 처리할 수 없음. 그러나, 근로자가 사용자의 대체휴식 부여에 불구하고 근로를 제공한 경우 사용자는 이에 대한 임금을 지급해야 할 것임 (근기 68207-2500, 2001. 8. 2)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임금 연장근로,야간근로,휴일근로에 따른 수당은 어떻게 계산합니까?
» 임금 야간근무후 다음날 휴식을 부여하는 경우 유급인가 무급인가?
임금 감시적 단속적 근로자의 야간수당은 어떻게 계산합니까? 1
임금 감시단속직 3교대 근로자 급여 산출과 연차수당 계산 방법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