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밍숑숑 2013.08.19 15:07

안녕하세요.

서비스업 사무종사자입니다.

저희는 단기간근로자 20명 정도 고용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질문 1. 단기간 근로자 연차부여 시간

예시)

일 5.5시간씩 주 6일을 근무자의 ( 5.5 x 6 = 소정근로시간 33시간 )

연차시간은 통상근로자의 연차시간에 비례하여 99시간으로 산출되는데 (15일 x (33/40) x 8 = 99시간 )

99시간이라면

1일 근로시간이 5.5시간이므로 → 99시간 / 5.5시간 = 18일

or 99시간 / 6.6시간 = 15일 ( 통상근로자의 연차일수와 동일)

둘중 어떻게 지급해야하나요?

일년동안 미사용시 연차수당을 99시간만큼의 주면되는데,

실제 연차를 사용하거나 1년 미만자 퇴사시 1달 만근시 지급할 때는

어떠한 방식(5.5시간? 6.6시간?)으로 줘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2. 시간급의 범위

연차 시간이 99시간이라면

99시간 X 시간급 = 연차수당 일텐데

시간급은 주휴수당이 포함된 시급이여야 하는지 아니면 그냥 시급이여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3. 소정근로시간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차부여방법은?

단시간근로자이다 보니 주로 파트타이머가 대부분이고, 주 40시간이내(1일 8시간)에서 유연성 있게

근로를 하고 있습니다. (연장근로시 1주 12시간 미만 준수 및 연장근로시 가산임금률 50% 지급)

그런데 소정근로시간 명확시 명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여서 연차를 지급하려고하니 에로점이 많습니다.

그래서 소정근로시간을 1주 40시간으로 정하는 근로계약을 체결하려고 합니다.

1주 40시간의 근로계약을 맺고 난 뒤

실 근로가 35시간일 경우에도 연차지급은 근로계약서 상의 명시된 소정근로시간(40시간) 으로 해야하는지..

아니면 실 근로시간(35시간)으로 산출 해야하는지....

역으로

35시간의 근로계약을 맺고 난뒤

실 근로가 40시간이라면 계약서상의 시간(35시간)으로 해야하는지 아님 실 근로시간(40시간) 으로 해야하는지..

질문4) 연장근로의 범위

단기간 근로자는 1주 12시간을 초과하면 안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근로하였을 경우 연장근로시간으 6시간 (일요일 8시간은 휴일근로) 이여야 하는지

 

 아니면 14시간으로 되어 근로기준법 위반인지 궁금합니다.

월      화          수          목        금      토          일

휴       8h     8h+2h    8h+2h    8h    8h+2h      8h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경남
회사 업종 예술 여가 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50~9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3.08.19 15:43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해당 근로자의 연차부여 시간은 99시간이 아니라. 1년에 약 82.2 시간입니다. 하루 5.5 시간의 소정 근로시간 근무자의 경우 1년에 약 15일이 나옵니다.

    시간급이라는 것은 1일 통상시급으로 기본급과 고정 수당을 포함함 1달 임금액을 월 소정근로시간으로 나눈 액수입니다. 당연히 주휴수당이 포함됩니다.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적용하지 않는 일반사업장의 경우, 1주 40시간 범위내에서 1일 8시간을 초과할 경우, 해당 근로자의 8시간 초과분은 연장근로가 됩니다. 1주 40시간의 소정근로시간을 약정할 경우 이를 기준으로 연차유급휴가를 지급해야 합니다. 35시간으로 1주 소정근로시간을 책정한 경우라면 이를 기준으로 연차를 부여합니다.

    1주 12시간의 연장근로에 위반되지 않습니다. 일요일 근무는 연장근로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다만, 일요일이 주휴일일 경우 휴일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근로시간 24시간 근무일때 수당관련(감시담당승인 관련) 1 2013.09.10 2268
근로계약 근로계약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약서 문의 2 2013.09.10 4237
비정규직 파견직 계약만료 후 재 사용 조건 2013.09.10 1002
근로시간 연장근로시 가산임금의 기준이 되는 통상임금 산정시 월의 통상임... 1 2013.09.10 1482
근로계약 포괄임금계약 1 2013.09.10 989
근로계약 하루만에 그만두었는데 손해배상에 들어가는지 궁금해서 3 2013.09.10 4050
임금·퇴직금 근로조건 변경관련 1 2013.09.10 1681
비정규직 고참알바에게 폭언과 사직종용을 받고 있습니다. 1 2013.09.09 1326
근로계약 기간제근로자(계속근로 2년)의 재계약 진행시 검토할 사항 1 2013.09.09 1652
고용보험 퇴직사유에 관련하여 문의 사항이 있습니다. 1 2013.09.09 1253
기타 근로자의 동의 없이 사무실 내부에 cctv 설치 하였을 경우 1 2013.09.09 11001
임금·퇴직금 퇴사 후 급여 및 개인 경비 미지급 1 2013.09.09 3600
근로시간 휴게시간 부여 관련 2 2013.09.09 1667
근로계약 근로계약서 상에 퇴금액이 명시되어 있는 경우.. 3 2013.09.09 1169
기타 32개 파견허용업종에 포함여부에 관한 건. 1 2013.09.09 6098
해고·징계 부당해고.... 1 2013.09.09 952
근로시간 근로시간 재 문의드립니다 2 2013.09.09 841
기타 실업급여추가질문 1 2013.09.09 683
임금·퇴직금 퇴직금 계산 1 2013.09.09 889
여성 성희롱발언... 1 2013.09.09 1044
Board Pagination Prev 1 ... 1680 1681 1682 1683 1684 1685 1686 1687 1688 1689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