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1.17

2013년분 연말정산 바뀌는 제도

  1. 현금영수증 공제율 상향 및 대중교통비 소득공제 신설
  2. 전월세 소득공제 확대
  3. 교육비 소득공제 대상 확대
  4. 소득세 소득공제 종합한도 신설
  5. 한부모 소득공제 신설
  6. 비과세 소득 대상 및 한도 확대

1. 현금영수증 공제율 상향 및 대중교통비 소득공제 신설

종전 변경
  • 신용카드, 현금영수증 : 20% 공제
  • 직불카드(체크), 선불카드 : 30% 공제
  • 신용카드 : 15% 공제, 현금영수증 : 30% 공제
  • 직불카드(체크), 선불카드 : 종전과 동일
  • 대중교통비 소득공제(카드, 현금영수증) : 이용분의 30% 공제(한도 100만원)

* 신용카드 공제는 본인의 연소득의 25% 초과 사용분에 대해 적용되며, 공제한도는 300만원과 총 급여액의 20% 중 적은 금액임.

2. 전월세 소득공제 확대

종전 변경
  • 월세액 소득공제 : 월세 지출액의 40% 공제
  • 주택임차 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및 월세액 소득공제 적용대상(국민주택규모 이하 주택)
  • 거주자간 주택임차 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이자율 : 연 4.0% 이상
  • 월세액 소득공제 : 월세 지출액의 50% 공제
  • 주택임차 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및 월세액 소득공제 적용대상 (국민주택규모 이하 주택, 주거형 오피스텔)
  • 거주자간 주택임차 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이자율 : 연 3.4% 이상
  • 목돈 안드는 전세 소득공제 : 이자상환액의 40% 공제 (한도 300만원)

* 월세액 소득공제 : 총급여 5000만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는 월세 지급액의 50%를 연 300만원 한도에서 소득공제 적용됨.
* 목돈 안드는 전세 소득공제 : 부부합산 총급여 6000만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는 담보대출금을 차입하거나 이자상환액의 40%를 연 300만원 한도에서 소득공제 적용됨.
* 2013년 8월 13일 이후부터 오피스텔 월세 및 목돈 안드는 전세 소득공제가 개정된 내용으로 적용됨.

3. 교육비 소득공제 대상 확대

종전 변경
  • 초중고등학생 급식비
  • 초중고등학교 방과후 학교 수업료 (교재구입비 제외)
  • 초중고등학생, 어린이집, 유치원, 학원·체육시설 (취학전 아동) 급식비
  • 초중고등학교, 어린이집, 유치원, 학원·체육시설 (취학전 아동) 방과후 수업료·특별활동비 (교재구입비 포함)
  • 교육비 공제대상 기관에 전공대학 추가

* 공제 한도는 취학전 아동, 초·중·고등학생은 연 300만원, 대학생은 연 900만원으로 종전과 동일함.

4. 소득세 소득공제 종합한도 신설

종전 변경
  • 없음
  • 8개 항목 공제한도 2500만원 초과시 과세표준에 합산
    (의료비, 교육비, 신용카드, 보험료(보장성), 주택자금, 지정기부금, 청약저축, 우리사주 조합 및 창투조합 등 출자금)

* 단, 인적공제, 근로소득공제, 연금저축공제 등은 한도와 관련 없음

5. 한부모 소득공제 신설

종전 변경
  • 없음
  • 배우자 없이 20세 이하 자녀가 있으면 100만원 소득공제

* 단 부녀자공제와 중복 불가

6. 비과세 소득 대상 및 한도 확대

종전 변경
  • 출산/육아 관련 비과세 대상 근로소득 (육아휴직 급여, 수당, 출산전후휴가 급여)
  • 해외 건설근로자 : 비과세 한도 월 300만원
  • 원양/외향선원 : 비과세 한도 월 200만원
  • 생산직 근로자 연장근로수당 비과세 대상(월 정액급여 100만원 이하로 직전연도 총 급여액 2,000만원 이하인 자)
  • 출산/육아 관련 비과세 대상 근로소득(종전과 동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
  • 해외 건설근로자 : 종전과 동일
  • 원양/외향선원 : 비과세 한도 월 300만원일
  • 생산직 근로자 연장근로수당 비과세 대상 (월 정액급여 150만원 이하로 직전연도 총 급여액 2,500만원 이하인 자)
  • 지방이전 공공기관 종사자의 이주수당 비과세 (월 20만원 이내)

연말정산_대중교통

Atachment
첨부파일 '1'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1. 대학원 교육비의 연말정산

    근로자 본인의 대학원 교육비의 경우 1. 회사가 근로자 본인에게 지급한 대학원 관련비용 비과세 근로소득으로 총급여액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예 : 회사가 근로자에게 대학원 관련비용 300만원을 포함하여 연간 총급여로 5,300만원을 지급하였다면, 과세대상이 되는 총...
    교육비 조회10304 file
    Read More
  2. 국민연금 연말정산 소득공제

    국민연금 연말정산 소득공제 근로자가 국민연금법에 따라 납부한 개인부담금(연금보험료)을 납입한 경우에는 종합소득금액에서 연금보험료를 전액 소득공제합니다. 일반 근로자의 국민연금뿐만 아니라 다음의 공적연금도 같이 적용됩니다. - 공무원연금법, 군인연금법, ...
    국민연금 조회7680 file
    Read More
  3. 2024(2023년분) 연말정산 달라지는 것들

    2024(2023년분) 연말정산 달라지는 것들 2024년(2023년도 분) 연말정산에서 달라지는 것들 정리했습니다. 비과세 대상이 되는 식대 : 10만원→20만원 월세 세액공제 공제율(10%~12%→15%~17%), 대상주택(3억이하→4억이하) 확대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
    연도별 바뀌는 제도 조회5878 file
    Read More
  4. 2023(2022년분) 연말정산 달라지는 것들

    2023(2022년분) 연말정산 달라지는 것들 2023년(2022년도 분) 연말정산에서 달라지는 것들 정리했습니다.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에 대한 소득공제 확대 월세액 세액공제 5% 확대 전세자금 원리금 상환액 소득공제 한도 400만원으로 상향 기부금 세액공제 확대기간 연장 자...
    연도별 바뀌는 제도 조회13308 file
    Read More
  5. 2022(2021년분) 연말정산 달라지는 제도

    2021년 소비증가분에 대한 신용카드 추가 소득공제 신설 2021년 신용카드 소비금액이 2020년 대비 5%를 초과하여 증가한 경우, 증가한 금액의 10% 소득공제 및 100만 원 추가 한도를 적용받을 수 있음 적용시기 2021년 소득에 대해 연말정산하는 분부터 적용 <신용카드 ...
    연도별 바뀌는 제도 조회7429 file
    Read More
  6. 2021(2020년분) 연말정산 달라지는 제도

    연금저축 세액공제 확대 배우자 출산휴가급여에 대한 소득세 비과세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 한도액 상향, 3월~7월 신용카드 등 사용분 소득공제율 확대 야간근로수당 등이 비과세되는 생산직근로자의 총급여액요건 완화 중소기업 근로자의 구입⋅임차자금 대여이익을...
    연도별 바뀌는 제도 조회3771 file
    Read More
  7. 2020(2019년분) 연말정산 달라지는 제도

    2020(2019년분) 연말정산 달라지는 제도 산후조리원 비용도 의료비 세액공제 가능 총급여 7천만 원 이하인 근로자가 산후조리원(「모자보건법」 제2조 제10호에 따른 산후조리원)에 지출하는 비용에 대하여 출산 1회당 200만 원까지 의료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음. 산후...
    연도별 바뀌는 제도 조회2642 file
    Read More
  8. 2019(2018년분) 연말정산 달라지는 제도 (신규, 확대)

    책구입 공연 관람료, 소득공제 (신규) 2018년도분 연말정산 부터는 책을 사거나 공연 보는 데 신용카드, 현금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현금는 물론 상품권을 사용했다면 소득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카드 마일리지(포인트)나 휴대전화 소액결제를 이용했다면 ...
    연도별 바뀌는 제도 조회14899 file
    Read More
  9. 2014년 연말정산 달라지는 내용

    연말정산 주요항목별 체크사항(2014년도분) 1. 연금저축 (예금, 보험, 펀드) 세액공제 연간 가입액의 400만원까지 12% 세액공제를 된다. (400만원 * 12% = 48만원) 2. 주택청약저축 소득공제 연간 12만원 한도내에서 40% 소득공제된다. 3.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소득공제 ...
    연도별 바뀌는 제도 조회1239 file
    Read More
  10. 2013년도분 바뀌는 연말정산 제도

    2013년분 연말정산 바뀌는 제도 현금영수증 공제율 상향 및 대중교통비 소득공제 신설 전월세 소득공제 확대 교육비 소득공제 대상 확대 소득세 소득공제 종합한도 신설 한부모 소득공제 신설 비과세 소득 대상 및 한도 확대 1. 현금영수증 공제율 상향 및 대중교통비 소...
    연도별 바뀌는 제도 조회2901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