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 2014.06.20 18:18

안녕하십니까. 좋은 답변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현재 저희 회사는 2조 2교대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만, 3조2교대로의 근무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주 5일 (주40시간) 사업장으로 토요일(무급휴무일), 일요일(유급휴일)입니다.

다음과 같이 3조 2교대 12시간의 근무체제를 도입한다면 ..

- 근무방법(현재) : 주간, 야간 12시간 (근로시간 8시간, 잔업 2시간 50분 - 석식 40분 = 실제잔업 2시간 10분)

- 근무방법(변경) : 주주주주휴휴야야야야 (1번째 휴일 : 무급휴무일, 2번째 휴일 : 유급휴일)

                             소정근로 8시간 + 잔업 2시간 10분 (잔업 2시간 50분 - 석식시간 40분)

1. 취업규칙의 변경 신고를 해야 합니까? / 현장이 3조 2교대로 근무하면 주 40시간 사업장은 아니지 않습니까?

   만약 그러하다면 각각 다른 근무체계 및 취업규칙으로 운용해도 되는 지요?

2. 3조2교대 근무시간에 대해 네이버 조회를 많이 해보았습니다만 총 근로시간은 12시간이나 그 중에 소정근로 8시간

    잔업시 식사 및 휴식시간을 빼고 계산하는게 정확하지요?

3. 2번과 같이 소정근로 8시간과 잔업 2시간 10분으로해서 3조2교대 근무를 짜면 연간 주간 근로시간, 연간 야간 근로시간, 연간 주휴일등을

    어떻게 계산해야 합니까? 주 5일제 에서는 209시간인데 3조2교대일 경우는 몇시간으로 잡아서 계산해야 할지요?

4. 주휴일이 꼭 일요일은 아니어도 된다고 알고있습니다. 3조 2교대를 할 경우에 2일간의 휴일이 부여되는데요.. 이중 하루를 주휴로 취급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다른 사무직들은 일요일을 주휴일로 하고, 현장은 주휴일을 다르게 운용하는 것이 문제가 없을지요? 또한 그 경우

     3조 2교대의 근무자들은 약정휴일에 근무시는 연장이나 휴일 츨근으로 하더라도 실제 일요일이나 토요일 근무시 평일로 취급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질문이 장황합니다만, 3조 2교대를 처음 운용하려니 이것저것 애매한 부분이 상당히 많습니다. 죄송합니다만 조언 부탁드립니다.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부산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20~4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4.06.24 11:18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상담내용만으로 야간근무시 시업과 종업시간을 알 수 없어 야간가산 적용여부를 정확하게 답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주간- 77.5시간

    야간- 77.5시간.

    주간 연장 -2.2시간*365/12/4= 17시간*0.5(연장가산)=8,5시간.

    야간 연장 -2.2시간*365/12/4=17시간*0.5=8.5시간.


    주휴-35시간(교대근무의 특성상 주휴는 취업규칙 변경등으로 비번일로 정해도 무방합니다.)따라서 일요일에 근무가 배치되더라도 별도의 특근수당을 지급할 필요는 없습니다.

    3조 2교대로 변경하는 경우 월 소정근로시간이 약 207시간이 됩니다. 여기에 야간시간대 가산이 추가될 것입니다.

    따라서 이전 2조 맞교대에 비해 근로시간 단축에 해당하는바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이라 보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별도의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절차를 거칠 필요는 없으나 근로자들의 의견을 청취할 필요는 있습니다.



    휴게시간 및 식사시간의 경우 근로자의 지휘감독에서 벗어나 근로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이라면 휴게시간으로보 보고 임금을 지급하지 않아도 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기타 정직기간 중간수입 공제 1 2014.06.28 1018
기타 이 회사... 그만둬야 하나요? 1 2014.06.28 609
해고·징계 체불임금 과 부당한 대기발령 관련 2 2014.06.27 866
해고·징계 학원이고 강사가 일방적으로 퇴사 통보를 했습니다. 1 2014.06.27 6221
임금·퇴직금 한달 일하고 퇴사했는대 급여 받을 수 있는거죠? 1 2014.06.27 2363
임금·퇴직금 연봉계약 미체결 과 차별대우에 관한 질의 2 2014.06.27 1161
임금·퇴직금 녹즙배달 임금체불 상담드려요. 1 2014.06.27 2093
임금·퇴직금 식대와 차량유지비의 통상임금에의 포함여부 1 2014.06.27 25589
고용보험 실업급여 문의드립니다. 1 2014.06.27 715
노동조합 교섭기간중 교섭위원 변경 가능 여부 1 2014.06.27 1274
근로시간 이렇게 일해도 괜찮은건가요?? 1 2014.06.27 699
기타 감시단속직인가요? 1 2014.06.27 1741
근로계약 퇴직전 근로계약서 작성 및 고용보험 자격 획득 1 2014.06.26 840
근로계약 묵시적인 계약 연장과 사직 관련 1 2014.06.26 875
해고·징계 징계(2개월 정직처분) 1 2014.06.26 2229
해고·징계 사표쓰라는 소리를 요즘 자꾸 합니다. 1 2014.06.26 733
임금·퇴직금 일당 지급의 부당 여부 1 2014.06.26 1221
기타 사직서 관련 문의드립니다 1 2014.06.26 1480
기타 업무중 교통사고 보상과 연차 문의 1 2014.06.26 5161
임금·퇴직금 2013년도 소급분 미지급 문의사항 1 2014.06.26 1129
Board Pagination Prev 1 ... 1522 1523 1524 1525 1526 1527 1528 1529 1530 1531 ... 5862 Next
/ 5862